본문 바로가기
사회

서울 지하철

by 복날집 2023. 9. 19.

관련없는 사진

서울 지하철 1호선(서울 地下鐵 1號線)은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중구 서울역하고 동대문구 청량리역을 잇는 대한민국 최초의 도시 철도[1]다.

서울 지하철 역사상 한강 이남 지역이 배제된 최초의 노선이어서 종로선(鐘路線)이라는 별칭으로 불리기도 하였으나, 공식적인 명칭은 아니다.[2]

양 끝으로 경부선, 장항선, 경인선 및 경원선 등과 직결 운행하여 수송편의를 도모하고 있어서, 이 노선을 경유하는 다양한 운행 계통들을 수도권 전철 1호선이라고 통칭한다.

노선 색상은 원래 ●빨간색이었으나, 2000년 수도권 전철 안내 체계 개편에 따라 운영 비효율로 인하여 당시부터 더 많은 범위를 겸행하는 국철 구간의 계통색인 ●남색으로 단일화하였고, 색의 뜻은 미래다.

통행방향은 어디서든 좌측통행이다.

운영
<nowiki /> 수도권 전철 1호선 § 운행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총 연장 7.8 km로 현재 대한민국의 도시 철도 중에서 제일 짧으나, 이 노선을 운행하는 운행 계통인 수도권 전철 1호선이 경원선, 경부선, 장항선, 경인선 등을 경유하기 때문에 대한민국 그 어느 운행 계통보다 방대한 연계성을 자랑한다. 이 곳에서 운행되는 운행 계통들은 대부분 인천광역시, 경기도나 충청남도 등지로 연계된다. 해당 노선은 서울교통공사, 한국철도공사(코레일) 등 두 양사가 운영하고 있다.

차량
서울교통공사 1000호대 VVVF 전동차
서울교통공사 1000호대 저항제어 전동차
한국철도공사 311000호대 • 312000호대 전동차[3]
좌측 통행
서울 지하철 1호선은 서울교통공사 운영구간 중 유일무이하게 좌측 통행 방식이다. 대한민국 철도 환경은 원래 우마, 차량, 철도 차량이 좌측 통행인 일본의 영향을 받아 건설된 것이 많으며 이로 인하여 일반적인 철도 노선은 좌측 통행을 한다. 따라서 당초부터 좌측 통행 방식으로 설계된 경부선이나 경원선과의 연계를 전제했기 때문에 1호선도 좌측 통행 방식으로 설계되었다. 통행뿐만 아니라 차량, 토목, 신호 등 거의 대부분의 핵심 기술도 일본식 기술을 도입하였다.

역사
일제 강점기
1939년 사철 회사인 경춘철도주식회사가 현재의 서울 지하철 1호선과 동일한 구간의 지하철을 건설하여 경춘선과 연계하는 것을 계획하였고 총독부로부터 착공 인가까지 받았으나[4] 자금이 부족하여 실행되지 못하였다.

개요
<nowiki /> 이 부분의 본문은 1기 지하철입니다.
1968년에 원활한 도로교통을 위해 서울전차가 폐지된 것은 서울로 이주해 온 도시 노동자들에게는 대량 수송이 가능한 대중교통이 하나 사라진 것이나 다름없었다. 결국 대한민국 철도청이 지하철에 대해 연구하였으나 다른 과제로 인해 묻혀버렸고, 당시 서울특별시장 윤치영과 김현옥에 의해 최초의 지하철 건설이 시작되었다.

1호선 건설의 본격 추진
<nowiki /> 이 부분의 본문은 1기 지하철 § 지하철 건설의 본격 추진입니다.
예전에 철도청장을 지냈었던 양택식이 김현옥 후임으로 부임하면서 재임중에 지하철을 건설하겠다고 하였으나 김학렬 당시 경제부총리의 반대에 부딪혔다. 박정희는 결국 양택식의 편을 들어주었고, 일본과의 기술 제휴를 통해 지하철을 건설하겠다고 하였다.

서울 지하철 1호선 건설과 경부·경인·경위안 각 선의 전철화 사업은 엔 차관에 의해 이루어졌으며, 서울 지하철 1호선은 차량·신호·통신 분야 등에서 일본의 기술 협력에 의해 건설되었으며 개업 당시의 전철은 모두 일제였다. 지하철 건설에 일본은 8,000만달러의 차관을 공여하고, 장기간에 걸쳐 현지 지도 및 일본 국내 연수를 실시해 왔다.그 때문에, 현시점에서도 지시 확인 등, 기본적인 운용은 일본식이다.

종로선(서울 1호선)은 일반철도와의 직결 운행을 도입하였다. 이는 기존 청량리 - 성북, 서울 - 인천·수원간 철도를 (복선) 전철화하여 1호선과의 직결을 통해 서울을 제외한 수도권에 통근형 전동차를 운행하여 서울로의 진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이다.

지하철 1호선의 개통
<nowiki /> 이 부분의 본문은 1기 지하철 § 1호선의 시공과 개통입니다.
우선 초창기 서울 지하철의 계획은 다음과 같았다.

* 제1호선 서울역 ∼ 청량리 9.54 km (1971∼1974년 건설)

제2호선 영등포 ∼ 왕십리 35.5 km (1974∼1985년 건설)
제3호선 미아동 ∼ 퇴계로 경유 ∼ 불광동 21.5 km (1977∼1979년 건설)
제4호선 강남 포이동 ∼ 율곡로 경유 ∼ 대림동 34.5 km (1979∼1985년 건설)
제5호선 연희동 ∼ 종로 ∼ 천호동( ~ 광주대단지) 32 km (1978∼1985년 건설)

지하철 개통 기념 승차권
이 계획에 따라 1974년 8월 15일에 1호선 및 국철(기존선 전철화)이 개통되었다. 당시 조간신문들은 일제히 1호선의 준공을 축하하는 기사를 썼다. 하지만 광복절 기념행사에서 박정희 당시 대통령의 영부인 육영수 여사가 재일교포 문세광에 의해 피격되어 타계하면서 1호선 준공 기념식은 침울하게 치러졌다. 또한 이 사건으로 인하여 당시 양택식 시장은 결국 사퇴하고 구자춘이 새로운 서울특별시장으로 부임하게 되었다.

개통 후
비록 지하철 1호선 9개 역(당시 기준)에 운행 구간은 7.8 km 밖에 되지 않았으나 당시 기술로는 아주 획기적인 것이었다. 1974년 8월 15일 개통 이후 수도권 전철(성북 - 인천·수원)과 직결 운행을 시작하면서 수도권 지역으로 사통팔달 연결되기 시작하면서 이후 통근수요 증가 및 전동열차 운행구간 연장에 따라 이용객들이 점차 많아지게 되고 혼잡률도 극심해져 서울 지하철 1호선은 지옥철이라는 별명도 얻게 되었다. 하지만 서울 지하철 2호선이 구자춘 시장에 의해 을지로 순환선으로 노선을 확정하여 1984년에 완전 개통, 이후 3호선과 4호선이 1985년에 개통되면서 이러한 혼잡률은 많이 적어졌다. 이후 서울 지하철 3호선과 서울 지하철 4호선의 계획이 확정되어 공사에 착수한 1981년 9월 1일 서울특별시 지하철공사(현 서울교통공사)가 설립되어 운영을 맡게 되면서 발전을 거듭하게 되었다. 2005년 12월 21일에는 동대문역과 신설동역의 사이에 서울 지하철 6호선과의 환승역인 동묘앞역이 신설되었다.

이후 2018년부터 서울 지하철 1호선을 청량리역에서 망우역까지 4.5km 연장을 서울시에서 검토하는 중이며 이 사업이 확장되면 서울교통공사 운영구간이 확장되는 첫 사례가 된다.

 

서울 지하철 2호선(서울 地下鐵 2號線) 혹은 수도권 전철 2호선(首都圈 電鐵 2號線)은 대한민국 서울 지하철 노선이자, 수도권 전철의 운행 계통이다. 서울 주요 지역을 순환한 을지로순환선, 성수역과 신설동역을 잇는 성수지선[내용주 1], 신도림역과 까치산역을 잇는 신정지선으로 구성된다.

운행 계통은 을지로순환선을 시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순환한 내선순환, 외선순환과 성수지선, 신정지선을 왕복하는 운행 계통이 있다. 노선 안내 등에 사용되는 색상은 ■녹색이다.

2012년 기준으로 서울 지하철 2호선은 대한민국에서 가장 붐비는 노선으로 서울 지하철 전체 이용 승객의 31%인 일평균 204만 8000명이 이 노선을 이용하고 있다.[2] 전 구간을 서울교통공사가 담당한다. 통행방향은 어디서든 우측통행이다.

개요
<nowiki /> 1기 지하철 § 3핵도시 구상과 거대 순환선 2호선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플랩식 행선 안내기, LED 행선 안내기 도입 이전까지 1기 지하철 구간에서 사용하였다. 서울 지하철 2호선에는 2010년까지 남아 있었으며 2005년에 일부 역사에 새로운 행선 안내기가 설치됐지만, 사업자의 계약 문제로 얼마 뒤 철거되었고, 2010년 새 사업자가 선정되어 행선 안내기가 LCD 방식 신형으로 교체되면서 현재는 모두 철거되었다.
구자춘 전 서울시장의 3핵도시 구상[내용주 2]에 따라 1972년의 계획[내용주 3]을 파기하고 계획한 노선으로, 1986년 서울 아시안 게임과 88 서울 올림픽을 대비하기 위하여 건설되었다는 특징도 있다.

서울 도심과 부도심을 이으며 도심에서 방사형으로 뻗어나가는 서울 지하철 및 수도권 전철 각 노선을 잇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혼잡도가 높은 편이며, 특히 오전 8시 ~ 오전 9시, 교대 - 강남 구간은 아침 출근 시간대를 기준으로 대한민국 철도 노선 중 최고의 혼잡률인 225%의 혼잡률을 보였다. 2호선의 전동차 정원은 1576명[내용주 4] 인 것을 감안하면 이는 가장 혼잡한 시간대에는 한 편의 전동차가 평균 3514.5명의 인원을 수송하였음을 보여준다.

운영
운행
외선·내선 순환
서류 상의 기준점은 시청역이나, 운영 및 열차 운행에 있어서는 성수역과 신도림역이 기준점이 된다. 내선 순환은 순환선을 시계 방향으로 도는 운행 계통이며, 외선 순환은 시계 반대 방향으로 돈다. 이전에는 노선의 별칭을 따라 이 운행 계통을 을지로 순환선으로 불렀으나 현재는 잘 쓰이지 않는다. 모든 열차가 각 역에 정차하며, 대부분의 열차는 차량기지 인근에 위치한 성수역 혹은 신도림역을 출발하여 본선을 몇 바퀴를 돈 뒤 다시 성수역 또는 신도림역에서 운행을 마치는 형태로 운행된다. 이외에도 막차 시간대에는 을지로입구역, 서울대입구역, 삼성역, 홍대입구역 종착 열차가 있으며 이들은 해당 역의 주박선에서 주박을 하고, 다음 날 새벽에 첫차로 운행 후 차량기지로 입고한다. 순환선 전 구간을 한 바퀴 운행하는 데 걸리는 표준 시간은 1시간 27분 (87분) ~ 1시간 30분 (90분)이나 출·퇴근 시간 등에는 지연으로 인하여 다소 늦어질 수 있다. 10량 75개 편성이며 운행 시에는 앞쪽 운전실에 기관사, 뒤쪽 운전실에 차장이 근무하는 2인 승무제를 시행하며 이는 1호선, 3호선, 4호선 (코레일 포함)과 같다.

1996년 12월 31일부터 1999년 11월 22일까지 당산철교가 재시공으로 사용이 중지되었을 때 내선 순환은 당산역까지, 외선 순환은 홍대입구역이나 합정역까지만 운행된 적이 있었다.[내용주 5]

성수지선
성수 - 신설동 구간을 운행하는 지선 운행 계통이다. 2호선이 1980년 10월 31일 1단계 개통으로 신설동 - 성수 - 종합운동장 구간이 처음 개통된 이래로 1982년 12월 23일 2단계 개통으로 종합운동장 - 교대 구간이 연장 개통될 당시까지만 해도 본선 구간의 일부로 운행되었다. 그러나 1983년 9월 16일 성수 - 을지로입구 3단계 구간이 연장 개통하면서 을지로입구 - 종합운동장 구간이 본선이 되고, 신설동 - 성수 구간이 성수지선으로 분리되어 현재와 동일한 운행 계통을 구축하게 되었다. 성수역에서 시종착하는 열차들은 성수지선을 통하여 군자차량사업소로 입고하거나 기지에서 출고한다. 수도권 전철 1호선을 운행하는 서울교통공사 1000호대 VVVF 전동차와 서울교통공사 1000호대 저항제어 전동차 역시 서울 지하철 1호선 동묘앞역에서 종착 후 신설동역 구내의 1호선 및 2호선의 연결선을 이용하여 2호선 신설동역 유령 승강장 (지하 3층)을 통과한 후, 군자차량기지로 입고한다. 이 때문에 종종 성수지선 전동차가 용답역 또는 신답역에 1분 이상 정차하는 경우도 있다.[3] 성수지선은 4량 5개편성이며 신정지선과 마찬가지로 편성량이 짧아 1인 승무제를 시행하여 전동차 뒤쪽 운전실에 차장이 별도로 근무하지 않는다.

신정지선
신도림~까치산 구간을 운행한 지선 운행 계통이다. 신도림역과 신정차량사업소 사이의 입출고선을 연장한 방식으로 건설되었으며, 까치산역에서 5호선으로 갈아탈 수 있다. 또한, 까치산역 인근에 5호선과의 연결선이 있어서 서울 지하철 5호선 개통 당시 5호선 전동차와 7·8호선 전동차를 고덕차량기지와 방화차량기지로 운송하는데 사용되기도 하였다. 신정네거리역에서 까치산역, 신도림역에서 도림천역구간이 단선이기 때문에 선행열차가 신정네거리역에서 까치산역으로 들어가거나, 도림천역에서 신도림역으로 간 경우, 후속열차는 선행열차가 되돌아 나올 때까지 대기하여야 하기 때문에 (대략 10분) 배차간격이 긴 편이다. 또한 도림천역과 양천구청역 사이에 있는 신정차량사업소와의 연결선을 통하여 열차가 입출고하기 때문에 지선 열차가 양천구청역이나 도림천역에서 대기하는 경우도 있다. 또한 신정지선은 6량 4개편성이며 성수지선과 마찬가지로 편성 량수가 적어 1인 승무제를 시행하여 전동차 뒤쪽 운전실에 차장이 별도로 근무하지 않는다.

차량
군자차량사업소, 신정차량사업소에 배치되어 있으며, 입·출고 시에는 각 차량기지와 연결된 지선을 이용한다.

서울교통공사 2000호대 저항제어 전동차 - MELCO형. 현재 운행종료 및 폐차 상태.
서울교통공사 2000호대 초퍼제어 전동차 - GEC형. 한때 3·4호선에서 운행했던 적이 있음. 일부는 4호선에서 이적
서울교통공사 2000호대 VVVF 전동차 - 현재 본선, 성수지선, 신정지선에서 운행하고 있다.
역사

2단계 개통 기념 승차권
1977년: 착공
1980년 5월 28일: 구청앞 - 대운동장 구간 역명 결정[4]
1980년 8월 28일: 구청앞역에서 신설동역으로, 대운동장역에서 종합운동장역으로 개칭[5]
1980년 10월 31일: 신설동 - 종합운동장 구간 14.3 km 개통
1982년 12월 9일: 종합운동장 - 교대 구간 역명 결정[6]
1982년 12월 23일: 종합운동장 - 교대 구간 5.5 km 개통
1983년 6월 30일: 을지로입구 - 교대 구간 역명 결정[7]
1983년 9월 16일: 을지로입구 - 성수 구간 7.9 km 개통과 동시에 신설동 - 성수 5.4 km 구간이 성수지선으로 별개로 분리
1983년 10월 17일: 문래역에서 신도림역으로, 문래3가역에서 문래역으로 변경[8]
1983년 12월 17일: 교대 - 서울대입구 6.7km 구간 개통[9]
1984년 5월 18일: 동교역에서 홍대입구역으로 변경[10]
1984년 5월 22일: 서울대입구 - 을지로입구 19.8 km 개통으로 을지로 순환선 완성
1985년 3월 1일: 화양역에서 건대입구역으로 변경[11]
1985년 10월 18일: 서울 지하철 3호선·4호선의 연장 개통으로 을지로3가역, 교대역, 서울운동장역 (현 동대문역사문화공원역), 사당역이 환승역이 됨
1985년 10월 24일 : 서울운동장역에서 동대문운동장역으로 변경[12]
1992년 3월 20일: 기지역에서 용답역으로 역명 변경
1992년 5월 22일: 신정지선 신도림 - 양천구청 2.7 km 구간 개통
1996년 2월 29일: 신정지선 양천구청 - 신정네거리 1.9 km 구간 개통
1996년 3월 20일: 신정지선 신정네거리 - 까치산 1.4 km 구간이 서울 지하철 5호선 연장 개통과 동시에 개통
1996년 12월 31일: 당산 - 합정 2 km 구간이 당산철교 재시공으로 운행 중단
1999년 11월 22일: 당산 - 합정 2 km 구간이 당산철교 재시공 완료로 재개통
2001년 8월 3일: 신당역 6호선 환승 통로 개통
2004년 10월 1일: 구로공단역에서 구로디지털단지역으로 변경
2005년 10월 20일: 신답 - 신설동 사이에 용두역 개통
2009년 10월 29일 : 동대문운동장역에서 동대문역사문화공원역으로 변경[13]
2010년 5월 27일: 성내역에서 잠실나루역으로 변경[14]
2010년 9월: 신호체계를 독일 지멘스 사의 ATP/ATO로 변경
2014년 12월 18일: 왕십리역에서 왕십리(성동구청)역으로 변경[15]
2016년 12월 15일: 신천역에서 잠실새내역으로 변경[16]
2019년 12월 26일: 동대문역사문화공원역에서 동대문역사문화공원(DDP)역으로, 낙성대역에서 낙성대(강감찬)역으로 변경[17]

지선 연장 계획
성수지선 연장 계획
한때 신설동역에서 서쪽이나 북쪽으로 연장을 검토한 적이 있었다. 그러나 연장 계획은 우이신설경전철로 대체되었으며, 2017년 9월 2일에 개통하였다.

신정지선 연장 계획
강서구에서는 신정지선이 서울 지하철 9호선 가양역까지 연장되어야 한다고 주장하였으나, 기술적인 문제로 화곡-가양 구간을 별도의 노선으로 건설하기로 하였다. 이후 화곡-가양 노선은 서해선(대곡-소사) 원종역과 홍대입구역을 잇는 가칭 원종-홍대입구선 광역철도 노선 신설 계획으로 바뀌었으며, 원종홍대선과 신정지선을 연결하기 위하여 신정지선을 5호선을 따라 까치산역에서 화곡역까지 1개역 연장하는 서울시 도시철도 계획이 수립되어 추진 중인 상태이다.

현재 박남춘 인천시장 취임 이후, 인천광역시에서는 서울 지하철 2호선 청라 연장 사업을 홍대입구~청라국제도시 구간 연장 사업으로 추진되도록 하고있고, 신정차량사업소 이전과 병행 추진하고 있다.

역 추가 설치 계획
신정교역 신설 계획
목동신시가지 14단지 입주민들의 교통편의를 위해 도림천역과 양천구청역 사이에 신정교역(가칭)을 신설할 계획에 있다.

 

서울 지하철 3호선(서울 地下鐵 三號線)은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에 있는 지축역과 서울특별시 송파구에 있는 오금역을 잇는 서울특별시의 도시 철도 노선이다. 통행방향은 어디서든 우측통행이다.

서울 지하철 4호선과 함께 서울 지하철 2호선의 역할을 극대화하고 지하철 이용률 증대측면에서 도심을 방사선형으로 관통하는 노선의 필연적인 필요성에 의해서 건설된 노선으로 (3호선은 서북쪽에서 동남쪽으로, 4호선은 동북쪽에서 서남쪽으로 관통) 서울 서북부 지역과 서울 동남부 지역을 대각선으로 연결한다.

역사
1975년 당시 서울특별시장인 구자춘에 의해 기존 계획이 파기된 이후, 1980년 4호선과 함께 건설업체 컨소시엄에 의해 사철로 건설한다는 계획이 발표되었다. 그러나 사철 건설을 통해 얻을 수 있는 수익은 대기업의 부동산 투자를 일부 제한하는 1978년 8.8조치로 인해 거의 대부분이 운임이 되면서 사업성이 떨어지게 되어 사철의 건설은 실패하고 컨소시엄도 해산되었으며, 서울특별시 지하철건설본부(현 서울특별시 도시기반시설본부)에 의해 건설되고 서울특별시 지하철공사에 의해 운영되게 되었다.

1985년 두 차례에 걸친 노선 개통으로 1기 지하철인 구파발 ~ 양재 간 23개 역을 이으며 운행을 시작했다. 1993년 10월 30일에 2기 지하철 계획 중 하나로 포함된 지축역과 양재 ~ 수서 구간이 개통되었다. 이후 1997년 3월 3기 지하철 계획 중 하나로 수서 - 가락시장 - 오금 연장 구간이 처음 계획되었고, 중간에 경찰병원역을 추가한 채 2004년 착공하여 2010년 2월 18일 연장 구간이 개통되었다.

한편 1996년에는 지축역을 기점으로 하는 일산선이 대한민국 철도청(현 한국철도공사)의 주도로 건설되어 현재까지 상호 열차가 직결 운행을 하고 있다.

연표
1980년 2월 : 구파발역 - 양재역 구간 착공
1983년 9월 13일 : 구파발역 ~ 양재역 구간 역명 결정[2]
1985년 3월 1일 : 장충역을 동대입구역으로 역명 변경[3]
1985년 4월 1일 : 홍은역에서 홍제역으로, 홍제역에서 무악재역으로 역명 변경[4]
1985년 7월 12일 : 구파발역 ~ 독립문역 (8.0 km, 7개 역) 개통.
1985년 10월 18일 : 독립문역 ~ 양재역 (18.2 km, 16개 역) 개통[5]
1987년 5월 1일 : 중앙청역을 경복궁역으로 역명 변경[6]
1989년 12월 : 양재역 - 수서역 구간 착공
1990년 4월 1일 : 지축역 역명 결정 및 화물터미널역을 남부터미널역으로 변경[7]
1990년 7월 13일 : 지축역 ~ 구파발역 (1.5 km, 1개 역) 개통
1993년 10월 30일 : 양재역 ~ 수서역 (7.5 km, 7개 역) 개통.
2000년 5월 1일 : 일산선, 수도권 전철 3호선으로 통합
2009년 10월 29일 : 경찰병원역 역명 결정[8]
2010년 2월 18일 : 수서역 ~ 오금역 (3.0 km, 3개 역) 개통.
2013년 1월 3일 : 경복궁(정부중앙청사)역을 경복궁(정부서울청사)역으로 변경[9]
운영
<nowiki /> 수도권 전철 3호선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노선 전 구간을 서울교통공사에서 운영하고 있으며, 열차는 지축역에서 일산선과 직결하여 대화역까지 운행하기도 하며, 구파발역까지만 운행하기도 한다. 서울교통공사 소속 전동차가 대화행으로, 한국철도공사 소속 전동차가 구파발행으로 운행하는 경우도 많다. 각 공사 소속 전동차는 정해진 시간표에 따라 편성한다.

차량
서울교통공사 3000호대 VVVF 전동차
한국철도공사 3000호대 전동차[10]
한국철도공사 341000호대 전동차[11]

 

역 목록

거리 영업
거리 소재지
320 구파발 Gupabal 舊把撥 1.5 1.5 서울특별시 은평구
321 연신내 Yeonsinnae ● 서울 지하철 6호선 2.0 3.5
322 불광 Bulgwang 佛光 ● 서울 지하철 6호선 1.3 4.8
323 녹번 Nokbeon 碌磻 1.1 5.9
324 홍제(서울문화예술대) Hongje(Seoul Culture Arts Univ.) 弘濟(서울文化藝術大) 1.6 7.5 서대문구
325 무악재 Muakjae 毋岳재 0.9 8.4
326 독립문 Dongnimmun 獨立門 1.1 9.5
327 경복궁(정부서울청사) Gyeongbokgung(Government Complex-Seoul) 景福宮(政府서울廳舍) 1.6 11.1 종로구
328 안국 Anguk 安國 1.1 12.2
329 종로3가 Jongno 3(sam)-ga 鍾路3(三)街 ● 수도권 전철 1호선
● 수도권 전철 5호선 1.0 13.2
330 을지로3가 Euljiro 3(sam)-ga 乙支路3(三)街 ● 서울 지하철 2호선 0.6 13.8 중구
331 충무로 Chungmuro 忠武路 ● 수도권 전철 4호선 0.7 14.5
332 동대입구(신라면세점) Dongguk Univ.(The Shilla Duty Free) 東大入口 0.9 15.4
333 약수 Yaksu 藥水 ● 서울 지하철 6호선 0.7 16.1
334 금호 Geumho 金湖 0.8 16.9 성동구
335 옥수 Oksu 玉水 ●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0.8 17.7
336 압구정(현대백화점) Apgujeong(Hyundai Department Store) 狎鷗亭 2.1 19.8 강남구
337 신사 Sinsa 新沙 ● 신분당선 1.5 21.3
338 잠원 Jamwon 蠶院 0.9 22.2 서초구
339 고속터미널 Express Bus Terminal 高速터미널 ● 서울 지하철 7호선
● 서울 지하철 9호선 1.2 23.4
340 교대(법원·검찰청) Seoul Nat'l Univ. of Education(Court & Prosecutor's Office) 敎大(法院·檢察廳) ● 서울 지하철 2호선 1.6 25.0
341 남부터미널(예술의전당) Nambu Bus Terminal(Seoul Arts Center) 南部터미널(藝術의殿堂) 0.9 25.9
342 양재(서초구청) Yangjae(Seocho-gu Office) 良才(瑞草區廳) ● 신분당선 1.8 27.7
343 매봉 Maebong 1.2 28.9 강남구
344 도곡 Dogok 道谷 ●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0.8 29.7
345 대치 Daechi 大峙 0.8 30.5
346 학여울 Hangnyeoul 鶴여울 0.8 31.3
347 대청(서울주택도시공사) Daecheong(SH Corporation) 0.9 32.2
348 일원 Irwon 逸院 1.2 33.4
349 수서 Suseo 水西 수서고속철도(SRT)
●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1.8 35.2
350 가락시장 Garak Market 可樂市場 ● 서울 지하철 8호선 1.4 36.6 송파구
351 경찰병원 National Police Hospital 警察病院 0.8 37.4
352 오금 Ogeum 梧琴 ● 수도권 전철 5호선 0.8 38.2

 

서울 지하철 4호선(서울 地下鐵 四號線)은 대한민국 서울특별시의 노원구 당고개역과 서울특별시의 서초구 남태령역을 잇는 서울특별시의 도시 철도 노선이다. 통행방향은 우측통행이다.

역사
1980년 2월: 상계~사당 구간 착공
1983년 9월 13일: 상계~사당 구간 역명 결정[2]
1985년 3월 1일: 갈월역에서 숙대입구역으로 변경[3]
1985년 4월 1일: 돈암역에서 성신여대입구역으로 변경[4]
1985년 4월 20일: 상계~한성대입구 11.8km 구간 개통
1985년 10월 18일: 한성대입구~사당 16.5km 구간 개통으로 전 구간 개통[5]
1985년 10월 24일: 서울운동장역에서 동대문운동장역으로, 삼선교역에서 한성대입구역으로, 이수역에서 총신대입구역으로 변경[6]
1989년 12월: 상계~당고개 구간 착공
1993년 4월 21일: 상계~당고개 구간 개통
1994년 4월 1일: 과천선, 안산선과의 직결 운행을 위해 남태령역 신설
2022년 3월 19일: 당고개~진접 구간 (진접선) 개통
개요
서울 지하철 3호선과 함께 서울 지하철 2호선의 효율성을 극대화하고, 명동, 남대문 등 서울의 도심과 수유리, 미아리, 창동, 노원구 등의 강북의 도시 교통 음영 지역을 원활하게 이어주기 위해 건설되었다. 1975년 당시 서울특별시장 구자춘에 의하여 기존 지하철 건설 계획이 파기된 이후 1980년 3호선과 함께 건설업체 컨소시엄에 의해 사설 철도로 건설될 것이 발표되었다. 그러나 대기업의 부동산 투자를 제한하는 1978년 8월 8.8조치로 인하여 사철 건설을 통해 얻을 수 있는 수익은 대부분이 운임이 되면서 사업성이 떨어지게 되어 사철 건설은 실패하고, 서울특별시 지하철건설본부가 건설하고 서울특별시 지하철공사 (現 서울교통공사)가 운영하게 되었다. 최초 준공 구간은 상계역 - 한성대입구역으로, 1985년에 한성대입구역 - 사당역이 개통되어 최종 준공되었으며, 1993년 4월 2기 지하철을 구성하는 당고개역이 신설되었다. 또한 1994년 4월 과천선과의 연계를 위하여 남태령역을 신설하여 오늘에 이른다. 전 구간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특징
서울역 - 동작 구간
4호선을 계획할 당시, 본래의 노선 계획은 동대문운동장역에서 남산을 관통하여 용산구를 지난 후 강남으로 이어지는 것이었다. 그러나 주한미군 용산기지의 영내를 통과할 수 없어서 불가피하게 서쪽으로 우회하는 형태로 건설되게 되었다. 이로 인하여 수도권 전철 1호선과 운행 구간이 많이 중복되었고, 이들을 모두 환승역으로 건설할 수는 없었기 때문에 양끝의 이촌역과 동대문역, 중간 지점인 지하 서울역에서 환승하도록 하였다. 용산역과 신용산역, 남영역과 숙대입구역은 위치적으로 매우 근거리에 해당하나 환승체계가 구축되어 있지 않다. 현재는 경원선 용산역~지상 청량리 구간의 운행 계통이 1호선에서 경의중앙선이라는 독립된 계통으로 분리되어, 수도권 전철 1호선과의 환승은 동대문역과 서울역, 창동역에서 이루어진다.

한강 이남 구간
4호선의 한강 이남 구간은 동작역~사당역 구간 4.5km으로 짧은 편이다.

역 번호
서울 지하철 4호선이 사용하는 역 번호는 409번~434번이다. 408번 이전은 진접선 당고개역 ~ 진접역 연장 구간에 부여되었으며, 435번 이후로는 과천선과 안산선이 사용한다. 하행(오이도행)은 갈수록 역번호가 늘어나며 반대로 상행(진접행)은 갈수록 역번호가 줄어든다.

과천선 직결
<nowiki /> 이 부분의 본문은 과천선 § 절연 구간 및 X자 교차터널입니다.
대한민국 철도청(現 한국철도공사) 시절 철도법에 의하여 건설된 과천선과 서울특별시가 도시철도법에 의하여 건설한 4호선의 통행 방식 및 전력공급 방식이 달라 논의 끝에 결국 계획에 없던 입체 교차 터널 및 절연 구간을 신설하였다.

서울역 / 충무로 / 방학역 연결선
1985년 3·4호선 개통 당시 전동차 반입에 문제가 발생하였다. 1호선 지하 서울역과 4호선 서울역 구간은 역 승강장간 선로 고도 구배 30/1000(경사도 약 1.718358도)를 충족, 임시로 연결 터널과 선로를 활용하여 가설 차량을 반입하려 했으나, 지반 강도 문제로 계획을 취소하고 창동역(당시 경원선 전철도 창동역 종착) 북쪽에 임시 가설 선로와 중랑천 도하 교량을 설치 하여 3호선과 4호선 전동차를 창동기지로 반입하였다. 또한 충무로역과 동대문역 사이에서 3호선 충무로역 남단으로 루프식 연결 터널을 설치, 3호선 열차 반입 작업을 하였다. 현재 방학역 연결선이 동부간선도로 건설로 폐선된 상태이다.

운영
<nowiki /> 수도권 전철 4호선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서울교통공사에서 운영하고 있으며, 서울교통공사 소속 직류전용 전동차는 사당역까지 운행하며[7], 직·교류겸용 전동차는 과천선, 안산선 직결 운행으로 안산역, 오이도역까지 운행한다.

차량
서울교통공사 4000호대 VVVF 전동차
한국철도공사 341000호대 전동차[8]
1985년 4월 20일부터 1994년 3월 31일까지는 서울교통공사 4000호대 초퍼제어 전동차가 운행하였다.

역 목록
역 번호 역명 로마자 역명 한자 역명 접속 노선 역간
거리 영업
거리 소재지
↑ 진접선 별내별가람역 방면
409 당고개 Danggogae 堂嶺驛 - 0.0 서울특별시 노원구
410 상계 Sanggye 上溪 1.2 1.2
411 노원 Nowon 蘆原 ● 서울 지하철 7호선 1.0 2.2
412 창동 Chang-dong 倉洞 ● 수도권 전철 1호선 1.4 3.6 도봉구
413 쌍문 Ssangmun 雙門 1.3 4.9
414 수유(강북구청) Suyu (Gangbuk-gu Office) 水踰(江北區廳) 1.5 6.4 강북구
415 미아(서울사이버대학) Mia (Seoul Cyber Univ.) 彌阿(서울사이버大學) 1.4 7.8
416 미아사거리 Miasageori 彌阿十字路口 1.5 9.3
417 길음 Gireum 吉音 1.3 10.6 성북구
418 성신여대입구(돈암) Sungshin Women's Univ. (Donam) 誠信女大入口(敦巖) ● 서울 경전철 우이신설선 1.4 12.0
419 한성대입구(삼선교) Hansung Univ. (Samseongyo) 漢城大入口(三仙橋) 1.0 13.0
420 혜화(서울대학교병원) Hyehwa 惠化 0.9 13.9 종로구
421 동대문 Dongdaemun 東大門 ● 수도권 전철 1호선 1.5 15.4
422 동대문역사문화공원 Dongdaemun History & Culture Park 東大門歷史文化公園 ● 서울 지하철 2호선
● 수도권 전철 5호선 0.7 16.1 중구
423 충무로 Chungmuro 忠武路 ● 수도권 전철 3호선 1.3 17.4
424 명동 Myeong-dong 明洞 0.7 18.1
425 회현(남대문시장) Hoehyeon (Namdaemun Market) 會賢(南大門市場) 0.7 18.8
426 서울역 Seoul Station 首爾驛 ● 수도권 전철 1호선
● 인천국제공항철도
●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경부선
경의선 0.9 19.7 용산구
427 숙대입구(갈월) Sookmyung Women's Univ. (Garwol) 淑大入口(葛月) 1.0 20.7
428 삼각지 Samgakji 三角地 ● 서울 지하철 6호선 1.2 21.9
429 신용산 Sinyongsan 新龍山 0.7 22.6
430 이촌(국립중앙박물관) Ichon (National Museum of Korea) 二村(國立中央博物館) ●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1.3 23.9
431 동작(현충원) Dongjak (Seoul National Cemetery) 銅雀(顯忠院) ● 서울 지하철 9호선 2.7 26.6 동작구
432 총신대입구(이수) Chongsin Univ. (Isu) 總神大入口(梨水) ● 서울 지하철 7호선 (이수역) 1.8 28.4
433 사당 Sadang 舍堂 ● 서울 지하철 2호선 1.1 29.5
434 남태령 Namtaeryeong 南泰嶺 1.6 31.1 서초구
↓ 과천선 선바위역 방면
이용객 변동
당고개역 ~ 남태령역 구간만 해당된다.

노선 일평균 인원수 (명/일) 각주
2000년 2001년 2002년 2003년 2004년 2005년 2006년 2007년 2008년 2009년
4호선 승차 631,638 632,293 641,039 628,342 638,702 630,800 627,585 614,859 604,256 611,036 [9]
하차 630,415 632,741 639,422 630,241 641,066 635,131 631,798 619,625 614,566 620,199
승하차 1,262,054 1,265,034 1,280,461 1,258,584 1,279,768 1,265,931 1,259,381 1,234,484 1,218,822 1,231,235
노선 2010년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4호선 승차 622,237 632,985 626,110 626,536 631,110 615,418 614,292 596,182 577,521 577,994
하차 630,992 642,956 635,560 632,534 635,281 620,140 619,710 600,614 584,673 586,038
승하차 1,253,229 1,275,941 1,261,670 1,259,070 1,266,391 1,235,558 1,234,002 1,197,096 1,162,194 1,164,032
노선 2020년
4호선 승차 394,908
하차 397,902
승하차 792,810
미래
2019년 2월 20일 ‘제2차 서울특별시 10개년 도시철도망 구축계획(안)’에 따라 전 구간 급행화할 계획이 있다.[10]

 

서울 지하철 5호선(서울 地下鐵 5號線)은 서울특별시 강서구에 있는 방화역과 서울특별시 강동구에 있는 상일동역 및 서울특별시 송파구에 있는 마천역을 잇는 서울교통공사의 도시 철도 노선이다. 서울 지하철과 수도권 전철 5호선의 일부를 이룬다. 모든 구간이 지하이며, 모든 역에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노선 색은 보라색이다. 전 구간을 서울교통공사에서 운영하고 있다. 통행 방향은 우측통행이다.

역사
연혁
1989년 3월 27일 : 5호선 착공
1995년 11월 15일 : 왕십리역 ~ 상일동역 구간 개통
1996년 3월 20일 : 방화역 ~ 까치산역 구간 개통 (마곡역 제외)
1996년 3월 30일 : 강동역 ~ 마천역 구간 개통
1996년 8월 12일 : 까치산역 ~ 여의도역 구간 개통
1996년 12월 30일 : 여의도역 ~ 왕십리역 구간 개통[1]
1997년 3월 26일 : 광희문역에서 청구역으로 변경
2008년 6월 20일 : 마곡역 영업시작
2009년 10월 29일 : 동대문운동장역에서 동대문역사문화공원역으로 변경[2]
2014년 12월 18일 : 왕십리역에서 왕십리(성동구청)역으로 변경[3]
2019년 12월 26일 : 동대문역사문화공원역에서 동대문역사문화공원(DDP)역으로 변경[4]
2020년 8월 8일 : 하남선 상일동역 ~ 하남풍산역 구간 개통 (강일역 제외) 및 수도권 전철 5호선으로 통합
운영
열차 운행
이 노선은 방화행, 상일동행, 마천행,하남검단산행 등이 주를 이루며, 영업 운행하는 모든 열차가 각 역에 정차한다. 방화 ~ 상일동역 구간과 방화 ~ 마천 구간을 왕복 운행하는 열차가 기본을 이루며, 두 계통의 열차는 방화 ~ 강동 구간을 같은 선로로 운행하고 강동역 이동 구간은 각 방면의 Y자 선로를 별개로 사용한다.

차량
서울교통공사 5000호대 전동차
경정비는 방화차량사업소하고 고덕차량사업소, 중정비는 고덕차량사업소에서만 시행한다.

운임
수도권 전철에 속한 다른 노선들과 같은 운임 체계를 사용하며, 환승 통로를 이용하여 수도권 전철에 속하는 다른 노선으로 갈아탈 때 별도로 추가되는 요금은 없다. 승차할 때는 자동 발매기에서 구입한 승차권이나 교통카드(T-Money 등), 교통 카드의 기능이 탑재되어 있는 일부 신용카드를 사용할 수 있으며, 수도권 전철 내의 다른 역에서 발매된 승차권이라도 역시 사용할 수 있다. 수도권 통합 요금제의 적용을 받으며, 서울특별시·경기도·인천광역시 버스(경기도 시외버스, 김포공항·인천공항 리무진 제외)에서 갈아탈 때는 기본 운임이 면제·할인된다.

역 번호
기점인 방화역의 510부터 시작하여 종점인 하남검단산역의 553에서 끝난다. 지선에 해당하는 구간의 역번호는 서울 지하철 5호선 본선의 마지막 역인 상일동역의 553부터 매겨 554 ~ 560번까지 부여되었다. 그러나 둔촌동역부터 이어지는 역들이 상일동역 뒤에 연결되는 역으로 오인될 소지가 있으므로 현재는 한국철도공사가 수도권 전철 1호선의 번호를 매기는 방식을 따라 강동역 이후 본선에서 갈라지는 분기선이라는 의미에서 Point의 첫 글자인 P를 맨 앞에 붙이고 강동역의 역번호(548)로부터 번호를 매긴 P549 ~ P555의 번호를 사용하고 있다. 하행인 상일동행과 마천행은 역 번호가 커지나 반대로 상행인 방화행은 역 번호가 작아진다.

연결선
까치산역 ~ 신정역 구간에 서울 지하철 2호선 신정지선과의 연결선이 방이역 ~ 오금역 구간에 서울 지하철 8호선 가락시장역과의 연결선이 각각 설치되어 있다. 까치산역 연결선은 서울교통공사 5000호대 전동차 일부를 반입할 때에 사용되었으며, 방이역 연결선은 서울교통공사 8000호대 전동차의 반입에 사용되었으며, 현재는 서울교통공사 8000호대 전동차가 고덕차량사업소에서 중검수를 받기 위하여 이동할 때에 사용된다.

본선과 마천지선 간 연결선 복선화 계획
2019년 2월 20일 ‘제2차 서울특별시 10개년 도시철도망 구축계획(안)’에 따라 길동역과 둔촌동역 사이의 연결선을 복선화해 하남선과 직결 운행할 계획이 있다.[5]

역 목록
본선
역 번호 역명 로마자 역명 한자 역명 접속 노선 역간
거리 영업
거리 소재지
510 방화 Banghwa 傍花 0.0 0.0 서울특별시 강서구
511 개화산 Gaehwasan 開花山 0.9 0.9
512 김포공항 Gimpo Int'l Airport 金浦空港 ● 서울 지하철 9호선
● 인천국제공항철도
● 김포 도시철도
● 수도권 전철 서해선 1.2 2.1
513 송정 Songjeong 松亭 1.2 3.3
514 마곡(홈앤쇼핑) Magok(Home & Shopping) 麻谷 1.1 4.4
515 발산 Balsan 鉢山 1.2 5.6
516 우장산 Ujangsan 雨裝山 1.1 6.7
517 화곡 Hwagok 禾谷 1.0 7.7
518 까치산 Kkachisan 喜鵲山 ● 서울 지하철 2호선 1.2 8.9
519 신정(은행정) Sinjeong(Eunhaengjeong) 新亭(銀杏亭) 1.3 10.2 양천구
520 목동 Mok-dong 木洞 0.8 11.0
521 오목교(목동운동장앞) Omokgyo
(Mokdong Stadium) 梧木橋
(木洞運動場) 0.9 11.9
522 양평 Yangpyeong 楊坪 1.1 13.0 영등포구
523 영등포구청 Yeongdeungpo-gu Office 永登浦區廳 ● 서울 지하철 2호선 0.8 13.8
524 영등포시장(한림대 한강성심병원) Yeongdeungpo Market
(Hallym Univ. Hanggang Sacred Heart Hospital) 永登浦市場 0.9 14.7
525 신길 Singil 新吉 ● 수도권 전철 1호선 1.1 15.8
526 여의도 Yeouido 汝矣島 ● 서울 지하철 9호선 1.0 16.8
527 여의나루 Yeouinaru 汝矣渡口 1.0 17.8
528 마포 Mapo 麻浦 1.8 19.6 마포구
529 공덕 Gongdeok 孔德 ● 서울 지하철 6호선
● 인천국제공항철도
●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0.8 20.4
530 애오개 Aeogae 1.1 21.5
531 충정로(경기대입구) Chungjeongno(Kyonggi Univ.) 忠正路(京畿大入口) ● 서울 지하철 2호선 0.9 22.4 서대문구
532 서대문(강북삼성병원) Seodaemun(Kangbuk Samsung Hospital) 西大門(江北三星医院) 0.7 23.1 종로구
533 광화문(세종문화회관) Gwanghwamun
(Sejong Center for the Perfoming Arts) 光化門
(世宗文化會館) 1.1 24.2
534 종로3가(탑골공원) Jongno 3(sam)-ga(Tapgol Park) 鍾路3街(塔骨公園,仁寺洞) ● 수도권 전철 1호선
● 수도권 전철 3호선 1.2 25.4
535 을지로4가 Euljiro 4(sa)-ga 乙支路4街 ● 서울 지하철 2호선 1.0 26.4 중구
536 동대문역사문화공원 Dongdaemun History & Culture Park 東大門歷史文化公園 ● 서울 지하철 2호선
● 수도권 전철 4호선 0.9 27.3
537 청구 Cheonggu 靑丘 ● 서울 지하철 6호선 0.9 28.2
538 신금호 Singeumho 新金湖 0.9 29.1 성동구
539 행당 Haengdang 杏堂 0.8 29.9
540 왕십리(성동구청) Wangsimni(SeongDong-Gu Office) 往十里
(城東區廳) ● 서울 지하철 2호선
●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경원선 0.9 30.8
541 마장 Majang 馬場 0.7 31.5
542 답십리 Dapsimni 踏十里 1.0 32.5 동대문구
543 장한평 Janghanpyeong 長漢坪 1.2 33.7
544 군자(능동) Gunja(Neung-dong) 君子(陵洞) ● 서울 지하철 7호선 1.5 35.2 광진구
545 아차산(어린이대공원후문) Achasan
(Rear Entrance to Seoul Children's Grand Park) 峨嵯山
(어린이大公園後門) 1.0 36.2
546 광나루(장신대) Gangnaru
(Presbyterian Univ. & College & Seminary) 廣나루
(長神大) 1.5 37.7
547 천호(풍납토성) Cheonho
(Pungnaptoseong) 千戶
(風納土城) ● 서울 지하철 8호선 2.0 39.7 강동구
548 강동 Gangdong 江東 ● 수도권 전철 5호선 (마천행) 0.8 40.5
549 길동 Gil-dong 吉洞 0.9 41.4
550 굽은다리(강동구민회관앞) Gubeundari
(Gangdong Community Center) (江東區民會館) 0.8 42.2
551 명일 Myeongil 明逸 0.7 42.9
552 고덕(강동경희대병원) Godeok(Kyung Hee Univ. Hospital at Gangdong) 高德 1.2 44.1
553 상일동 Sangil-dong 上一洞 1.1 45.2
↓ 하남선 강일역 방면

https://ko.wikipedia.org/wiki/%EC%84%9C%EC%9A%B8_%EC%A7%80%ED%95%98%EC%B2%A0_1%ED%98%B8%EC%84%A0
https://ko.wikipedia.org/wiki/%EC%84%9C%EC%9A%B8_%EC%A7%80%ED%95%98%EC%B2%A0_2%ED%98%B8%EC%84%A0
https://ko.wikipedia.org/wiki/%EC%84%9C%EC%9A%B8_%EC%A7%80%ED%95%98%EC%B2%A0_3%ED%98%B8%EC%84%A0
https://ko.wikipedia.org/wiki/%EC%84%9C%EC%9A%B8_%EC%A7%80%ED%95%98%EC%B2%A0_4%ED%98%B8%EC%84%A0
https://ko.wikipedia.org/wiki/%EC%84%9C%EC%9A%B8_%EC%A7%80%ED%95%98%EC%B2%A0_5%ED%98%B8%EC%84%A0  위키백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