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이플스토리》(영어: MapleStory, 일본어: メイプルストーリ-)는 위젯 스튜디오에서 제작하고 넥슨 코리아가 서비스하는 세계 최초의 2D 사이드 스크롤 방식 온라인 게임이다. 전 세계 9개국 이상에서 서비스 되고 있으며, 약 13억 명 이상의 사용자가 가입되어 있다. 만화책 코믹 메이플스토리는 이 작품의 설정을 기반으로 하여 제작되었다.
플레이어는 롤플레잉 비디오 게임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것처럼 "메이플 월드"를 여행하며 몬스터를 물리치고 캐릭터의 기술과 능력을 개발한다. 플레이어는 채팅, 거래 등 다양한 방법으로 다른 사람과 상호 작용할 수 있다. 플레이어 그룹은 파티를 맺어 몬스터를 사냥하고 보상을 공유할 수 있으며, 길드를 구성하여 서로 더 쉽게 상호 작용할 수도 있다. 또한 플레이어는 게임 내 "캐시 샵"을 방문하여 다양한 캐릭터 외형이나 게임플레이 개선 사항을 실제 돈으로 구매할 수도 있다.
2010년 7월, 한국어판 게임은 "빅뱅"이라는 패치로 개정되었다. 다른 버전도 이에 따라 빅뱅 업데이트를 받았다. 그해 후반에 한국어 버전은 플레이어 대 플레이어(PvP)와 직업을 게임에 도입하는 카오스 업데이트를 받았다. 속편인 메이플스토리 2(MapleStory 2)는 2015년 7월에 출시되었으며 업데이트된 3D 그래픽과 유사한 스토리라인을 갖추고 있다. 2020년 현재 메이플스토리는 전 세계적으로 1억 8천만 명 이상의 등록 사용자를 보유하고 있으며 평생 수익 30억 달러 이상을 기록했다.
연혁
2002년 11월 18일: 1차 클로즈 베타테스트 시작
2003년 1월 21일: 2차 클로즈 베타테스트 시작
2003년 4월 29일: 정식 서비스 시작(PC 정식출시)
2003년 12월: 일본 메이플스토리 정식 서비스 시작
2004년 7월: 모바일 메이플스토리 출시 (휴대 전화 기종)
2005년 2월: 메이플스토리 회원 수 1100만명 돌파
2005년 6월: 싱가포르, 홍콩 메이플스토리 정식 서비스 개시
2005년 10월: 메이플스토리 회원 수 1300만명 돌파
2006년 7월: 유럽 시장 진출
2006년 2월 10일: 메이플스토리 회원 수 1400만명 돌파[8]
2007년 4월 12일: 유럽 메이플스토리 정식 서비스 개시
2007년 4월 24일: 메이플스토리 회원 수 1500만명 돌파[9]
2008년 4월: 메이플스토리 회원 수 1800만명 돌파[10]
2008년 6월: 브라질 메이플스토리 정식 서비스 개시
2008년 10월 5일: 베트남 메이플스토리 정식 서비스 개시
2010년 4월 15일: 닌텐도 DS용 메이플스토리 DS 출시[11]
2011년 10월 22일: 브라질 메이플스토리 서비스 종료
2012년 6월 29일: 태국 메이플스토리 서비스 종료
2014년 3월: 황선영 디렉터 취임[12]
2016년 10월 13일: <메이플스토리M> 출시
줄거리
메이플스토리의 줄거리는 메이플 월드(Maple World), 그란디스(Grandis) 등 여러 다른 세계에서 진행된다. 감독관이라 불리는 힘을 가진 사람들에 의해 창조된 그들은 각 세계에 시간의 초월자, 생명의 초월자, 빛의 초월자라는 세 명의 수호자를 배정하여 두 세계를 모두 관리하게 했다. 첫 번째 주요 아크는 메이플 월드의 적대자인 검은 마법사를 중심으로 전개된다. 검은 마법사는 한때 빛의 초월자였으며 실험이 잘못되어 그의 순수한 빛의 핵이 타락할 때까지 백마도사라고 불렸다. 여섯 명의 영웅은 자신들을 봉인하는 대가를 치르고 다음 몇 세기 동안 검은 마법사를 봉인하는 데 성공했다. 현재, 블랙 윙스(Black Wings)라고 불리는 블랙 메이지(Black Mage)의 군대가 다시 떠오르기 시작했고 그를 부활시키려고 시도했다. 자신의 부활을 두려워한 시그너스 황후는 검은 날개단과 검은 마법사의 지휘관들을 막기 위해 시그너스 기사단을 창설했다. 검은 마법사의 봉인이 약해지기 시작하면서, 전설 속의 영웅들도 다시 돌아오기 시작했다. 검은 마법사가 봉인에서 풀려난 후 시그너스는 자유로운 영혼을 지닌 탐험가, 시그너스 기사단, 검은 날개에 대항하는 저항군, 메이플의 여섯 영웅, 그리고 다른 세계에서 온 몇몇 용감한 모험가들을 하나로 뭉친 메이플 동맹을 창설했다.
연합은 계속해서 블랙윙과의 싸움을 벌여 블랙헤븐 전투에서 결정적인 승리를 거두었고, 그 동안 연합의 영웅은 신성한 기운이 깃든 챔피언, 대적(Adversary)으로 깨어났다. 얼마 지나지 않아 검은 마법사는 세상을 파괴하고 자신의 이미지대로 재창조하기 위해 아케인 리버(Arcane River)라는 차원을 만들었다. 적군은 아케인 강을 여행하며 얼라이언스가 검은 마법사가 자신들의 세계를 멸망시키는 것을 막기 위해 최종 공세를 시작하기 전에 마지막 검은 마법사 사령관과 전투를 벌였다. 대적은 검은 마법사를 성공적으로 처치하고 메이플 월드를 멸망으로부터 구했다.
검은 마법사의 죽음과 함께 검은 마법사의 계략으로 인해 메이플 월드와 천천히 융합된 그란디스 영역에서 두 번째 주요 아크가 시작되었다. 그란디스의 적대자인 제랑 다르무어(Gerand Darmoor)는 자신의 종족인 하이 플로라(High Flora)가 다른 모든 종족보다 우월하다고 믿었고, 그래서 그는 모든 생명체를 자신의 이미지로 개조하려고 했다. 그를 막기 위해 그란디스의 여러 세력이 메이플 동맹에 합류했다. 검은 마법사가 죽은 후, 얼라이언스는 다르무어와 그의 사도들과 싸우기 위해 군대를 보냈다.
게임플레이
메이플스토리는 2D 스크롤링 플랫폼 게임이다. 게임 컨트롤은 키보드와 마우스를 사용하여 실행된다. 키보드는 다양한 게임 기능에 사용되며 대부분은 사용자의 요구에 맞게 재배치될 수 있다. 마우스는 주로 플레이어가 아닌 캐릭터를 트리거하고 아이템을 조작하는 데 사용된다. 게임 플레이는 던전을 탐험하고 실시간으로 몬스터와 싸우는 데 중점을 둔다. 플레이어는 몬스터와 싸우고 퀘스트를 완료하며 "메소스"라는 게임 내 화폐, 경험치 및 다양한 아이템을 획득한다. 플레이어는 게임 내 직업을 획득하여 장비, 액세서리 또는 물약을 제작할 수 있다.
플레이어는 온라인에서 다른 사람과 상호 작용할 때 다양한 옵션을 사용할 수 있다. 몬스터로부터 전리품과 경험치를 배포하는 파티를 구성할 수 있다. (게임에서 두 플레이어를 이성애 커플로 인식하는 게임 내 결혼, 캐릭터 이름 아래에 길드 이름이 나열된 길드 또는 가족, 후배와 선배의 건축 모임) 플레이어는 다른 플레이어의 명성이라는 게임 내 인기 통계를 높이거나 낮출 수 있다. "메소스" 또는 기타 게임 내 아이템에 대한 거래 활동에 참여할 수 있다.
설정
<nowiki /> 메이플스토리의 세계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캐릭터
<nowiki /> 메이플스토리의 캐릭터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음악
현재 메이플스토리의 메인 작곡가는 NECORD(ASTERIA)이다. 넥슨은 2016년 자체 음악 프로듀싱팀인 ASTERIA와 사운드팀인 NECORD를 설립하고 자체적으로 음악 프로듀싱과 앨범 발매에 나섰다. 2017년에는 헝가리 부다페스트에서 오케스트라와 함께 음악을 녹음했다.
게임의 음악은 좋은 평가를 받았으며, 오랫동안 서비스된 게임인 만큼 플레이를 멈춘 이들에게 추억을 자극했다. 아쿠아로드 마을인 아쿠아리움의 '아쿠아리움' 음악은 한국의 일부 음악교과서에도 수록되어 있다.
2006년부터 2015년까지의 음악은 스튜디오 EIM이 작곡했으며, 2014년부터 프렌드스토리(FriendStory), 블럭버스터: 블랙 헤븐(Blockbuster: Black Heaven)을 시작으로 공식 음원이 공개되기 시작했다. 이때 스튜디오 EIM을 아웃소싱한 M2U가 Ariant Coliseum 음악과 Ereve 음악을 작곡하였다.
2010년 슈퍼스타K 2에서 TOP6에 진입한 김은비는 메이플스토리의 홍보모델인 메이플걸이 되었으며, 다른 메이플걸스와 달리 'I'm My Fan'이라는 곡을 발표했다. 2015년 현직 프로가수 타루가 노래를 불렀고, 2017년부터 세컨드문이 메이플스토리 관련 오프라인 행사에서 노래를 부르기 시작한 것은 2016년 홀로그램 뮤지컬 코믹 메이플스토리의 음악을 맡았기 때문이다. 그리고 2018년부터는 국카스텐 하현우와 국카스텐 밴드 스스로가 해당 게임과 관련된 노래를 부르기 시작했다. 2021년에는 비와이도 노래를 불렀다.
S.I.D-Sound는 2011년 메이플스토리 8주년 이벤트, 2013년 RED 테마곡, 2014년 프렌드스토리 OST 등 일부 음악을 작곡했다.
2015년 SQUARE MUSIQ은 프로모션 곡인 Violeta Over Flowers와 Blockbuster: Black Heaven의 곡인 Promise of Heaven의 보컬 등 일부 곡을 작곡했다.
2020년에 ESTIMATE와 ESTi는 Yum Yum Island 음악, Adel 음악 테마, Ristonia 음악, Grand Athenaeum Episode VI: Sharenian Knights 음악 및 Hotel Arcs 음악과 같은 일부 음악을 작곡했다.
개발
메이플스토리는 대한민국에서 개발 및 출시되었으며 2010년 현재 10개 지역으로 현지화되었다. 다른 퍼블리셔가 해당 지역에 대한 게임 라이선스를 부여함에 따라 프록시 블록이 배치되어(한국어 버전을 제외하면 KSSN이 필요함) 플레이어는 다음을 수행해야 한다. 현지화된 버전을 재생해 보세요. 2011년 7월 7일, 레벨업! 게임즈는 브라질 현지화 계약을 갱신하지 않을 것이라고 발표했다.
빅뱅이라는 제목의 업데이트가 2010년 7월 한국 메이플스토리에 출시되었으며, 다른 지역 서버도 곧 이어 출시되었다. 빅뱅은 게임의 핵심 코딩을 바꾸고 게임의 여러 측면을 바꾸었다. Chaos라는 업데이트에는 직업과 PvP가 도입되었다.
2015년 3월 4일, 넥슨은 마스터의 북미 서버에 대한 새로운 업데이트인 블랙 헤븐(Black Heaven)을 발표했다. 업데이트 이전과 3월 9일 이전에 등록한 플레이어는 3월 14일 이전과 업데이트가 적용된 후에 로그인한 경우 무료 이그니션 팩을 받았다. 블랙 헤븐은 2015년 3월 11일에 출시되었다.
2015년 12월 1일, 넥슨은 리부트 세계에 접근할 수 있는 북미 서버용 메이플스토리 리부트 업데이트를 출시했다. 이 세계에서는 거래가 비활성화되고, 메소 드랍율이 증가하며, 플레이어 클래스에 특정한 무기/장비 드랍이 발생한다. 리부트에는 다른 세계와 동일한 몬스터가 있지만 능력치와 경험치가 증가한다.
2016년 12월 14일, 메이플스토리는 게임의 최신 업데이트인 5차 전직을 발표했다. 플레이어가 게임에서 레벨 200에 도달하면 직업 전직 퀘스트를 완료해야 5차 전직 스킬을 완전히 사용할 수 있다. 5차 직업 스킬은 앞선 4가지 직업 스킬과 달리 3가지 스킬로 구성된다. 공유 스킬이라는 첫 번째 스킬은 모든 캐릭터가 공유하고 사용할 수 있는 스킬이다. 두 번째는 특정 클래스만이 사용할 수 있는 스킬인 '클래스별'이고, 세 번째는 해당 특정 직업만이 사용할 수 있는 스킬인 '잡스킬'이다.
2022년 7월 20일, 넥슨은 북미 서버용 데스티니: 리마스터 업데이트를 출시했다. 이번 업데이트는 원래 스토리라인을 간소화하면서 스킬을 업데이트하고 새로운 스토리라인 콘텐츠를 추가하여 모든 Explorer 클래스(최신 Explorer 클래스인 Pathfinder 제외)를 개편했다. 새로운 보스인 칼로스도 게임에 추가되었다.
2023년 7월, 넥슨은 2023년 10월과 11월에 모든 직업에 새로운 스킬을 제공하는 6차 전직이 출시될 것이라고 발표했다.
플레이어 및 수익
글로벌 메이플스토리(GMS)에서는 2010년까지 백만 명이 넘는 플레이어가 캐시샵에서 아이템을 구매했다. 2006년 넥슨은 메이플스토리가 전 세계적으로 총 3,900만 명의 사용자 계정을 보유하고 있다고 발표했다. 메이플스토리 글로벌은 2011년까지 800만 명 이상의 사용자를 보유했다. 2014년 기준으로 전 세계 매출 기준 상위 10대 MMO에 속했다. 2020년 기준으로 이 게임은 전 세계적으로 1억 8천만 명 이상의 등록 사용자를 확보했다.
2011년까지 이 게임은 18억 달러의 수익을 올렸다. 2013년부터 2017년까지 이 게임은 2013년 3억 2,600만 달러, 2014년 2억 4,000만 달러, 2015년 2억 5,300만 달러, 2016년 8,300만 달러, 2017년 2억 7,900만 달러 등 총 11억 8,100만 달러의 수익을 올렸다. 2020년 현재 이 게임은 전 세계적으로 30억 달러 이상의 수익을 올렸다.
미디어 믹스
모바일 게임
메이플스토리 모바일 게임은 대한민국에서 2004년 4월 서비스를 시작한 이후, 현재까지 누적 다운로드 수 1,000만 회 이상을 기록하였으며, 2007년 12월 일본의 이동통신사 NTT 도코모를 통해 모바일 메이플스토리 4종 서비스를 시작했다.[13]
다음은 메이플스토리 모바일 게임을 출시 순서로 나열한 표이다.
게임명 주인공 출시일 보스 정보 이용료 통신사 홈페이지 비고
메이플스토리 나만의 QT 세상 나먼 2004년 7월 16일 큐티몬 2,000원 SKT, KT [1][깨진 링크([2] 과거 내용 찾기])]
메이플스토리 전사편 로이 2004년 7월 16일 주니어 발록 2,000원 SKT, KT [3][깨진 링크([4] 과거 내용 찾기])]
메이플스토리 마법사편 로엔 2004년 9월 24일 멜러디 2,000원 SKT, KT [5][깨진 링크([6] 과거 내용 찾기])]
메이플스토리 궁수편 로린 2005년 4월 21일 마왕 2,000원 SKT, KT [7][깨진 링크([8] 과거 내용 찾기])]
메이플 퍼즐 (없음) 2007년 5월 31일 (없음) 2,500원 SKT [9][깨진 링크([10] 과거 내용 찾기])]
메이플스토리2007 로이(전사)
로린(궁수)
로엔(마법사) KT 2007년 5월 30일
SKT 2007년 5월 31일
LGU+ 2007년 8월 9일 주니어 발록
크림슨 발록
자쿰
왕도깨비
에레고스 SKT/KT 3,000원
LGU+ 2,500원 ALL [11][깨진 링크([12] 과거 내용 찾기])]
메이플메이트 (없음) 2008년 4월 17일 (없음) 추가 부분 유료 SKT [13][깨진 링크([14] 과거 내용 찾기])]
메이플스토리 도적편 로빈 SKT 2008년 5월 15일
KT 2008년 7월 10일
LGU+ 2008년 8월 1일 멜러디
웨어울프
예티
호문스큘러
크림슨 발록 3,000원 ALL [15] 역대 100만건 이상 누적 다운로드 돌파[14]
메이플스토리 핸디월드[15] 없음. SKT 2008년 6월 19일
KT 2009년 12월 10일 판매 안함[16] SKT, KT [16][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메이플스토리 해적편 카이린 KT 2009년 4월 22일
SKT 2009년 4월 23일
LGU+ 2009년 4월 27일 거대주황버섯
거대듀얼비틀
거대메카티안
롬바드
거대모래거인
프랑켄로이드
거대다크예티
거대판다곰
에레고스 3,000원 ALL [17][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역대 1000만건 이상 누적 다운로드 돌파[17]
메이플스토리 시그너스기사단 미하일(소울마스터)
오즈(플레임위자드) LGU+ 2010년 5월 24일
KT 2010년 5월 26일
SKT 2010년 5월 27일
피아누스
검은마녀
변신술사
자쿰
혼테일 4,000원 ALL [18]
메이플스토리 라이브 아랑(듀얼블레이드)
레이(메카닉)
엘리야(데몬슬레이어)
티어(엔젤릭버스터) SKT 2011년 6월 28일
KT 2011년 7월 4일
안드로이드 2012년 2월 16일
iOS 2012년 2월 17일 쉐도우블레이드[18]/스텀피
알리샤르
피아누스
이베흐
태륜
렉스
카이드
혼테일
핑크빈
아카이럼[19]
매그너스[20]
사자왕 반 레온
아우프헤벤
오베론 5,000원/무료(안드로이드 T Store, Play Store)
4.99$/무료(iOS App Store) SKT,KT [19][깨진 링크([20] 과거 내용 찾기])]
업데이트로 새로운 맵, 직업군, 보스, 아이템 등 추가
메이플스토리 히어로즈 없음 SKT,KT,LG 2012년
없음 무료 ALL [21][깨진 링크([22] 과거 내용 찾기])] 안드로이드에서만 구동 가능(iOS 및 일반 핸드폰 버전은 출시되지 않았음)
포켓 메이플스토리 아랑(듀얼블레이드)
레이(메카닉)
엘리야(데몬슬레이어)
티어(엔젤릭버스터)/카일(카이저)
제논
루미너스
메르세데스
오즈(플레임위자드)/키네시스 안드로이드 2014년
iOS 2015년 2월 26일 부분 유료화 ALL 카카오톡 게임 통해서 다운 가능
스타플래닛 모바일 안드로이드 2015년 5월 14일 레지레지롱 무료 메이플 스타플레닛과 연계가능
메이플스토리M 안드로이드, iOS 2016년 10월 13일 부분 유료화 ALL PC 메이플과 동일하게 마을과 필드에서 다른 유저와 만날 수 있으며, 자동사냥 기능이 추가됨.
닌텐도 DS 시리즈용 게임
<nowiki /> 이 부분의 본문은 메이플스토리 DS입니다.
온라인 게임을 원작으로 하여 닌텐도 DS용으로 이식되어 2010년 4월에 발매되기도 했다. 전사, 궁수, 마법사, 도적의 총 4개의 직업군으로 플레이할 수 있으며, 직업군 간에 이야기가 서로 연결되는 방식이다. 메이플스토리 DS와 함께 발매한, 메이플스토리 DS + DSi 한정판도 있다.[출처 필요] 닌텐도 3DS용 소프트인 "메이플스토리 운명의 소녀"가 2013년 4월 25일 출시되었다.
애니메이션
<nowiki /> 이 부분의 본문은 메이플스토리 (애니메이션)입니다.
메이플스토리는 애니메이션으로도 제작되었다. 2007년 9월 18일 넥슨은 일본 도쿄의 뉴오타니 호텔에서 《메이플스토리》의 텔레비전 애니메이션 제작 발표회를 열었다. 애니메이션은 총 25편으로 제작되어 2007년 10월 7일부터 일본의 TV 도쿄 채널에서 방송되었다.[21] 넥슨이 기획했으며 일본의 주식회사 매드하우스가 공동 제작사로 참여하였다.
만화책
《코믹 메이플스토리》라는 만화책 시리즈가 1권부터 100권으로 완결되었다.
《빅토리 메이플》이라는 만화가 메이플스토리 공식 홈페이지에서 연재되다가 2008년 말, 서적으로 출간되었다. 메이플스토리의 실제 게임 화면을 이용해 만든 만화이다. 스카니아 서버의 유저이자 초기 메이플스토리 공식 가이드북 저자 싸비가 지었다.
《빅토리 메이플》 이후 《빅토리 메이플 스타》가 2010년에 발매되어 29권으로 완결되었다.
메이플 홈런왕은 메이플 친구들이 야구를 하는 만화다. 현재는 메이플홈런왕 2탄이 출간되었다. (재미북스)
《수학도둑》은 《코믹 메이플스토리》의 도도의 분신이 다른 차원으로 가는 구멍으로 떨어져 수학을 이용해 문제들을 해결해 나가는 만화책이다. 이 밖에도 《한자도둑》《영어도둑》등이 있다.
장난감
딱지: 에리트F·B에서는 메이플스토리 딱지를 만들어 판매하고 있다. 그러나 게임의 몬스터 정보와는 조금 다를 수도 있다. 현재 약 300~400여 종의 일반 딱지가 있다.
원형 딱지는 2011년 이전형으로, 7개당 300원, 사각형(소형)은 2011년형으로 역시 7개당 300원, 사각형(대형)은 2011년 이후에 출시된 형태로서 7개 500원이 정가이다.
카드 게임: 2008년 3월에, 넥슨은 메이플스토리 i-TCG(트레이딩 카드게임)를 한국에 출시하였으며, 미국의 유명한 보드 게임 제작사인 위자드 오브 코스트(Wizard of Coast)사가 개발에 참여하였다. 메이플스토리 i-TCG는 스타터 덱과 부스터 팩의 형태로 판매되고 있으며, 부스터 팩에는 9장의 일반 카드와 1장의 메이플스토리 아이템 쿠폰이 포함되어 있어, 쿠폰만을 얻기 위해 메이플스토리 i-TCG를 구매하는 경우도 있다. 메이플스토리 i-TCG는 해외판 메이플스토리를 기준으로 제작되었기 때문에, 한국에 서비스되고 있는 메이플스토리에는 등장하지 않은 부분도 포함하고 있다.
현재 한국에 발매된 메이플스토리 i-TCG 부스터 팩의 종류
1판: <새로운 모험의 시작>
2판: <보스몬스터의 등장>
3판: <두근두근 나의 펫>
4판: <NPC의 지령>
5판: <자쿰의 재림>
6판: <해적, 심해의 위협>
수상 경력
2003년: 디지털 콘텐츠 온라인 부문 대상 수상
2006년: 대만 GameStar 선정 최우수 온라인 게임상 수상
2007년: 넥슨 웹어워드코리아 2007 게임/스포츠 부문 우수상 (메이플스토리 공식 사이트)
2007년: 넥슨 웹어워드코리아 2007 게임/스포츠 부문 최우수상 (메이플걸 브랜드 사이트)
2007년: 2007 대한민국 만화·애니메이션·캐릭터 대상 캐릭터 부문 우수상 수상
2008년: 日 ´웹머니 어워드 2008´ 최고상인 그랑프리 수상
2009년: 모바일 메이플스토리 해적편, 2009 대한민국게임대상 모바일 게임부문 우수상
2010년: 메이플스토리DS, 2010 대한민국 게임대상 우수상, 인기상 수상
각주
“CODA SOUND”. CODASOUND. 2016년 1월 1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1월 11일에 확인함.
“한때 작곡가라 불리던 때가 있었더랬지 feat. 메이플스토리” [There was a time when I was called a composer. feat. MapleStory]. 《Naver Blog》. Naver. 2021년 7월 6일. 2022년 2월 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2월 8일에 확인함.
LoudBell Studio (2021년 1월 12일). 《큐베이스 믹싱 - 번들 플러그인만 사용해서 작업하기 - Cubase bundle plugin 을 활용한 Dynamic Mixing 과정 - Maple Story CokeTown》 [Cubase Mixing - Working using only bundled plugins - Dynamic Mixing process using Cubase bundle plugin - Maple Story CokeTown]. YouTube. 2022년 9월 2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9월 22일에 확인함.
“게임 음악 - M2U” [Game Music - M2U]. Clesson. 2022년 2월 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0년 11월 29일에 확인함.
“Work|ESTIMATE”. Estimate. 2023년 6월 11일에 확인함.
“MapleStory - OST : Products ESTIMATE”. Estimate. 2020년 5월 20일. 2022년 2월 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2월 8일에 확인함.
NECORD MUSIC (2021년 4월 27일). 《Whale Belly|메이플스토리 OST : AWAKE》 [Whale Belly|MapleStory OST: AWAKE]. YouTube. 2022년 9월 22일에 확인함.
“넥슨 ‘메이플스토리’ 회원 1400만명 돌파”. 파이낸셜뉴스. 2006년 2월 10일.
“넥슨 메이플스토리 29일 서비스 4주년”. 전자신문. 2007년 4월 24일. 2007년 5월 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0년 6월 23일에 확인함.
“메이플스토리 출시 5주년 맞아”. 아시아경제. 2008년 4월 29일.
“메이플스토리 '닌텐도DS'로도 즐긴다... '메이플스토리DS' 15일 발매”. 게임조선. 2010년 4월 8일.[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Sunyoung Hwang”. LinkedIn. 2020년 5월 1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9월 26일에 확인함.
뉴스와이어 2007년 12월 21일.
메이플스토리 도적편, 100만 다운로드 돌파 (파이낸셜뉴스)
모바일 상에 다중접속 플레이를 개발해, 같은 진행 방식으로 최대 4명까지 무선 네트워크 플레이를 지원했다.
SKT의 경우 2000원, 데이터정액 미가입자는 4,000원, KT의 경우, 무료나 월정액 1개월 4천원, 2개월 7천원, 3개월 9천원이었다.
대한민국 게임대상 후보작 넥슨모바일 '메이플스토리 해적편[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전자신문)
듀얼블레이드 모드에서만 등장
데몬슬레이어 모드에서만 등장
엔젤릭버스터 모드에서만 등장
국산 인기게임 ‘메이플스토리’ 애니메이션 되어 일본 안방행 한겨레 2007년 9월 19일.
보스몬스터에 대한 추가능력치
외부 링크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메이플스토리
위키책에 이 문서와
관련된 문서가 있습니다.
메이플스토리
메이플스토리 대한민국 공식 홈페이지
메이플스토리 대한민국 테스트서버
메이플스토리 일본 공식 홈페이지
메이플스토리 중화민국 공식 홈페이지
메이플스토리 중국 공식 홈페이지
메이플스토리 미국 공식 홈페이지
메이플스토리 유럽 공식 홈페이지[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메이플스토리의 채널 - 유튜브
https://ko.wikipedia.org/wiki/%EB%A9%94%EC%9D%B4%ED%94%8C%EC%8A%A4%ED%86%A0%EB%A6%AC 위키백과
《서든어택》(Sudden Attack)은 넥슨지티(전 게임하이)가 개발한 온라인 1인칭 슈팅 게임이다.
게임플레이
일반 게임에서는 레드, 블루와 같이 2개의 팀으로 게임이 진행된다. 레드팀은 Tanzirilo Independence Force이고, 블루팀은 United Great Force이다.
생존모드 라는 맵도 있다: 시범단지, 파이널존, 제32구역, 아포칼립스, 제3보급구역를 말한다. 시범단지와 제32구역은 개인 생존 모드, 파이널존은 2인이 서로 한 팀을 맺어 생존을 하는 맵이고 , 제3보급구역은 개인전과 팀전 모두를 플레이할 수 있다. 생존 모드는 맵에 아이템이 드랍되어 있다. 이 것을 파밍하며 생존하는 것이다. 시간이 지날 수록 경기 구역은 좁아지게 된다.[2][3]
아포칼립스는 개인전이며 라운드마다 재난에서 살아남으면 점수를 얻는다. 이 점수를 500점 이상 채우면 1위를 차지한다.
3가지 유형의 게임 화폐가 존재한다: 캐시, SP, 포인트. 캐시는 실제 돈에 기반을 두며 휴대전화 지불, 계좌 이체 등을 통해 교환하는 방식이다. 포인트는 게임을 플레이하면서 얻을 수 있다. SP는 게임 이벤트를 통해 받거나 서든어택 플리마켓이라는 곳에서 거래 가능한 아이템을 판매하여 얻을 수 있다.
같이 보기
넥슨
넥슨 코리아
이스포츠
OGN
각주
나카노 신지 (2007년 7월 25일). “오픈 서비스를 7월 26일에 개시, 대규모 업데이트와 각종 캠페인을 개시” (일본어). 게임와치. 2008년 2월 1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8년 3월 17일에 확인함.
경기 구역 밖에 있으면 HP가 소모된다.
서든어택의 생존모드는 배틀그라운드, 또는 포트나이트와 거의 비슷하다.
넥슨 ‘서든어택’ 표절 논란 - ZD Net Korea
외부 링크
위키책에 이 문서와
관련된 문서가 있습니다.
서든어택
대한민국 서든어택 공식 웹사이트 (넥슨 코리아 퍼블리싱)
대한민국 서든어택 공식 페이스북
대한민국 서든어택 공식 트위치
(일본어) 일본 서든어택 공식 웹사이트 (넥슨 퍼블리싱)(서비스종료)
(중국어) 중화인민공화국 공식 웹사이트(서비스 종료) Archived 2017년 2월 20일 - 웨이백 머신
(베트남어) 베트남 공식 웹사이트(서비스 종료)
(중국어) 대만 공식 웹사이트(서비스 종료)
남미 공식 웹사이트(서비스 종료)
터키 공식웹사이트(서비스 종료)
https://ko.wikipedia.org/wiki/%EC%84%9C%EB%93%A0%EC%96%B4%ED%83%9D 위키백과
《리그 오브 레전드》(League of Legends, LoL[A], 롤)는 중국 IT기업 텐센트 산하의 라이엇 게임즈에서 서비스 및 운영 중인 멀티플레이어 온라인 배틀 아레나(Multiplayer Online Battle Arena, 약칭: MOBA) 비디오 게임이다.[1]. 리그 오브 레전드의 제작자는 도타 올스타즈의 제작자 중 한 명인 스티브 피크(구인수)이며, 워크래프트의 유즈맵 DotA(Defense of the Ancients)를 바탕으로 제작되었다. PC용 온라인 게임으로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와 MacOS 환경에서 플레이가 가능하다.
2008년 10월 7일 《리그 오브 레전드: 운명의 충돌》이란 이름으로 처음 발표되었으며, 2009년 4월 10일에 클로즈 베타를 시작하였다. 2009년 10월 22일에 오픈 베타를 거쳐 북아메리카에서는 2009년 10월 27일부터 정식 서비스를 시작하였고, 중국에서는 2011년 9월 22일, 대한민국에서는 2011년 12월 4일부터 서비스를 시작했다. AOS는 최초의 MOBA 장르게임인 스타크래프트의 유즈맵 Aeon Of Strife에서 따 왔다.
리그 오브 레전드의 플레이 방식은 5명의 챔피언으로 구성된 양팀이 겨루는 PVP 방식으로, 맵의 반으로 갈라 차지한 상태에서 상대방의 본진을 장악, 혹은 자신의 본진을 방어하는 것이 주 목표이다. 플레이어들은 각자 '챔피언' (Champion)이라 불리우는 고유의 능력과 플레이 스타일을 지닌 캐릭터를 골라 플레이한다. 경기가 시작되면 챔피언들은 경험치와 골드를 획득, 상대팀 공략을 위한 아이템을 구매해가며 능력치를 높이게 된다. 리그 오브 레전드의 기본 모드인 '소환사의 협곡'에서는 한 팀이 상대팀의 본진에 있는 '넥서스'를 파괴하면 승리하게 된다.
출시 이래 리그 오브 레전드를 향한 평가는 긍정적이다. 각계 평론가들은 게임의 접근성, 캐릭터 디자인, 제작 가치 등의 측면에서 높이 평가했다. 출시 이래 오랫동안 운영되어 온 만큼 계속해서 재평가를 초래했으나 대체로 긍정적인 편이며, 이를 바탕으로 역대 최고의 게임 중 하나로도 평가되고 있다. 그러나 게임 내 플레이어들의 폭력적, 가학적 행동은 게임 출시 초기부터 비판을 받아왔으며, 라이엇 측의 근본적인 문제 해결 시도에도 불구하고 계속되는 문제점으로 지적받고 있다.
2019년 리그 오브 레전드의 동시접속자 수는 800만 명을 돌파하였으며 그 대중적 인기에 힘입어 음악 앨범, 코믹스, 단편 소설, 애니메이션 시리즈에 이르기까지 여러 미디어 믹스의 출시가 이루어졌다. 또 게임 본편과 연계되는 스핀오프 게임으로서 모바일 게임 《전략적 팀 전투》 (일명 롤토체스), 수집형 카드 게임 《리그 오브 레전드: 와일드 리프트》와 《레전드 오브 룬테라》, 턴제 RPG 게임 《몰락한 왕: 리그 오브 레전드 이야기》 등이 출시되었다. 여기에 작중 세계관을 바탕으로 한 MMORPG 게임이 개발 중에 있다.
라이엇 게임즈는 리그 오브 레전드의 지역 및 국제 리그 대회를 개최하고 있으며, 현재 세계 최대 규모의 E스포츠 리그로 꼽히고 있다. 전체 리그의 세계 선수권 대회로 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 (롤드컵)이 매년 개최되고 있다. 2019년 대회는 1억 명의 시청자를 불러모았으며 결승전의 동시 시청자수는 4400만 명으로 집계되어 역대 최고 기록으로 남아 있다. 지역 및 국제 리그 경기는 트위치, 유튜브, 빌리빌리 등의 플랫폼으로 생중계되며 북미 지역에서는 케이블 스포츠 방송사 ESPN에서도 방송되고 있다.
게임 플레이
등장인물
리그오브레전드의 스크린샷
<nowiki /> 리그 오브 레전드의 등장인물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리그 오브 레전드에는 암살자, 전사, 마법사, 원거리 탱커 , 서포터, 탱커의 역할군을 가진 약 150개 이상의 '챔피언' 호칭의 등장인물이 있다. 챔피언들은 녹서스, 데마시아, 아이오니아, 자운, 밴들 시티, 프렐요드, 공허, 그림자 군도 등 각자의 소속이 있으며 방대한 스토리로 서로 연관되어 있다.
전장
소환사의 협곡을 단순화한 그림. 노란색 경로는 "라인"이라 불리며 게임 시작부터 끝까지 미니언이라는 자동적으로 생성되는 병사들이 상대방 진영으로 진격하는 통로이고 파랑 밑 빨강 점은 라인을 방어하는 포탑이다.포탑들은 앞에 있는 포탑이 먼저 부서지지 않는 이상 뒤에 있는 포탑을 먼저 부술 수 없다. 각 진영의 왼쪽 아래/오른쪽 위 구석에는 넥서스가 있는데 이 넥서스를 파괴해서 승리하는 것이 이 게임의 목표이다. 중간의 검은 점선은 "강"으로 두 진영을 가르는 경계선이 된다.
리그 오브 레전드에 쓰이는 전장은 소환사의 협곡, 칼바람 나락 등이 있으며 이외에 특별 게임 모드로 따로 제작된 전장도 추가되어 있다.
소환사의 협곡(Summoner`s Rift) : 리그 오브 레전드의 대표적인 전장으로 5 대 5로 구성되어 맞붙게 되는 전장이다. 각각의 팀은 상대편 진영의 넥서스를 파괴해야 승리를 할 수 있다.
칼바람 나락(Howling Abyss) : 5 대 5로 구성되며 공격로가 하나밖에 없는 전장이다. 소환사의 협곡과 동일하게 상대편 진영의 넥서스를 파괴해야 승리한다.
그 외에도 특별 한정 모드들인 'U.R.F. 모드', '초월 모드', '전설의 포로 왕 모드', '불의 축제 모드', '헥사 킬 모드', '단일 챔피언 모드', '니가가라 하와이 모드', '돌격! 넥서스 모드', '아레나 모드' 등이 존재한다.
소환사
리그 오브 레전드에서 유저를 일컫는 용어이다. 게임을 통하여 소환사는 영향력 포인트(IP[2])를 이용하여 챔피언을 구매할 수 있었다. 그러나 시즌 7이 종료된 이후로 기존 마법공학 제작소의 '파랑 정수(BE)'와 기존의 화폐인 영향력 포인트(IP)가 통합되어 파랑 정수를 기존의 IP 개념으로 대체하였다. 소환사의 레벨은 기존에는 30까지만 올릴 수 있었지만 시즌 7이 끝난 후 레벨 제한이 풀리게 되어 레벨을 무제한으로 올릴 수 있게 되었다.
시스템 권장사양
최소 사양 권장 사양
PC[3]
운영 체제 Windows XP SP2 이상, Windows Vista 또는 Windows 7 또는 Windows 10
CPU 2.0 GHz 이상 2.4 GHz 이상
램 메모리 1 GB 이상[4] 4 GB 이상
하드 디스크 3,698 GB 이상 12 GB 이상
네트워크 인터넷 연결 필요
LoL+ 프렌즈
모바일에 설치 가능한 애플리케이션으로 모바일로 채팅, 친구 요청 전송/수락, 프로필 변경, 스킨, 챔피언 등의 구매가 가능하다.
평가
평가
통합 점수
통합사 점수
메타크리틱 78/100[5]
평론 점수
평론사 점수
1UP.com A-[6]
유로게이머 8/10[7]
게임 레볼루션 B+[8]
게임스파이 4/별[9]
게임존 9/10[10]
IGN 9.2/10[11]
대한민국 PC방 사용시간 점유율
기간 점유율(%)
2018년 5월[12] 25.49%
2018년 6월[13] 26.46%
2020년 6월[14] 47.26%
2020년 7월[15] 48.49%
2020년 8월[16] 46.32%
e스포츠 리그
베이징 국가체육장에서 열린 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 2017의 결승전 모습. SK 텔레콤 T1과 삼성 갤럭시가 진출했다.
<nowiki /> 리그 오브 레전드 e스포츠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리그 오브 레전드는 세계 최대 규모의 e스포츠 리그를 갖추고 있다. 뉴욕 타임스는 e스포츠 리그야말로 '메인 볼거리'라 평했다.[17] 초창기였던 2016년 기준 리그 오브 레전드 e스포츠 대회의 온라인 시청자수와 오프라인 관람객 규모는 미국의 NBA, 월드 시리즈, 스탠리 컵을 뛰어넘는 수준으로 기록됐다.[18] 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 결승전의 경우 라이엇 게임즈가 집계한 관람규모는 2019년 4400만 명, 2020년 4500만 명으로 역대 최고를 기록했다.[19][20] 하버드 비즈니스 리뷰는 e스포츠 산업의 탄생을 보여주는 완벽한 사례로 리그 오브 레전드 리그를 꼽았다.[21]
2021년 4월 기준으로 라이엇 게임즈는 전세계적으로 총 12개 지역 리그를 운영중에 있으며,[22][23][24] 대한민국, 중국, 유럽, 북미 리그의 경우 프랜차이즈 체계로 운영되고 있다.[25][26][27][28][29] 리그 대회의 경기는 트위치, 유튜브 등의 중계 플랫폼을 통해 유저들에게 생방송된다.[20] 간혹 리그 중계권을 라이엇 측에서 스포츠 채널에 판매하는 경우가 있는데, 북미 리그 플레이오프 경기의 경우 스포츠 전문 케이블 TV 채널 ESPN에서 방송된다.[30] 중국에서는 2020년 가을 빌리빌리에서 월드 챔피언십과 미드 시즌 인비테이셔널 방영권을 구매하였으며 계약금은 약 1억 1300만 달러로 보도되었다.[31][32][33] 다만 중국 국내 리그와 지역별 리그의 중계권은 후야 라이브가 소유하고 있다.[34]
수많은 리그와 높은 인기를 바탕으로 프로게이머 선수 시장도 활성화되어 있는데, 리그 오브 레전드 대회에 출전하는 프로게이머들의 최고 연봉은 약 100만 달러 수준으로 오버워치 리그 선수들의 최고 연봉의 3배 이상으로 알려져 있다.[35] 이는 종전의 e스포츠 업계 뿐만 아니라 일반 투자업계에도 관심을 끌고 있는데, 미국의 농구선수 출신의 릭 폭스는 에코 폭스라는 프로팀을 창단한 적이 있었다.[36] 2020년 에코 폭스는 이블 지니어스에 3300만 달러에 매각되었다.[37]
미디어 믹스
<nowiki /> 리그 오브 레전드의 미디어 믹스 목록 문서에 이 부분의 추가 정보가 있습니다.
게임
2019년 리그 오브 레전드 출시 10주년을 맞이한 라이엇 게임즈는 본 게임의 IP와 직접적으로 연계되는 다양한 게임들이 개발 중에 있다고 발표하였다.[38][39] 그 첫번째 사례로 2020년 3월 《전략적 팀 전투》 (Teamfight Tactics, 일명 롤토체스)가 iOS와 안드로이드 어플로 출시되었다. 이 게임은 윈도우와 macOS 클라이언트와의 크로스플랫폼 플레이도 가능하다.[40]
2020년 4월에는 리그 오브 레전드의 등장 캐릭터를 대상으로 한 PC용 무료 디지털 수집형 카드 게임 《레전드 오브 룬테라》 (Legends of Runeterra)가 발매되었다.[41][42][43] 해당 게임의 안드로이드, iOS, 기타 콘솔용으로 리그 오브 레전드: 와일드 리프트가 출시됐다.[44][a] 와일드 리프트의 경우 리그 오브 레전드의 캐릭터 모델과 환경을 그대로 이식한 것이 아니라 완전히 처음부터 다시 제작했다는 것이 라이엇 측의 설명이다.[47] 2020년 12월 라이엇 게임즈의 IP 엔터테인먼트 부사장을 맡고 있는 그렉 스트리트 (Greg Street)는 리그 오브 레전드를 원작으로 한 MMORPG 게임이 개발 중에 있다고 처음으로 발표하였다.[48]
2021년에는 싱글유저용 턴제 RPG 게임인 《몰락한 왕: 리그 오브 레전드 이야기》가 플레이스테이션 4와 5, 엑스박스 원과 엑스박스 시리즈 X/S, 닌텐도 스위치, 윈도우용으로 출시됐다.[49] 이 게임은 라이엇 게임즈의 퍼블리싱 브랜드인 라이엇 포지가 처음으로 유통하였으며, 라이엇이 개발하지 않은 최초의 리그 오브 레전드 캐릭터 게임이 되었다.[50] 같은 브랜드의 후속작으로 《누누의 노래: 리그 오브 레전드 이야기》가 제작되었는데, 챔피언 누누가 예티 윌럼프와 함께 엄마를 찾으러 나선다는 이야기의 3인칭 어드벤처 게임이다. 해당 게임은 게임 《RiME》을 제작한 테킬라 웍스에서 개발하였으며[51] 2023년 11월 1일 윈도우와 닌텐도 스위치로 출시되었다.[52]
음악
라이엇 게임즈가 가장 먼저 미디어 믹스화에 나선 분야는 음악으로, 게임 속 챔피언들이 밴드나 뮤직그룹을 결성한다는 설정을 선보이고 있다. 2014년에는 '펜타킬' 스킨 출시 홍보를 위해 가공의 헤비메탈 밴드 펜타킬 (Pentakill)을 선보였다.[53][54] 첫 공개 당시 펜타킬의 멤버로는 케일, 카서스, 모데카이저, 올라프, 소나, 요릭이 있었으며, 2021년에는 비에고가 신규 멤버로 추가되었다. 펜타킬의 첫 앨범은 라이엇 게임즈 사내 음악팀이 제작하되, 실제 헤비메탈 밴드 머틀리 크루의 드러머 토미 리와 인더스트리얼 락밴드 나인 인치 네일스의 전 멤버 대니 로너가 카메오로 참여하였다. 2017년 발매된 두번째 앨범 《Grasp of the Undying》은 아이튠즈 메탈 차트 1위를 달성하기도 했다.[54]
2018년 11월 펜타킬의 후속 밴드 가공의 케이팝 걸그룹, K/DA가 소개됐다. 아리, 아칼리, 이블린, 카이사의 4명으로 구성된 K/DA는 펜타킬과 마찬가지로 동명의 스킨 출시 홍보를 위해 제작되었다.[55] 첫 싱글 앨범 《POP/STARS》는 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 2018 대회 사전 공연을 통해 처음으로 공개되었다. 당시 이 곡은 유튜브 4,000만 조회수 돌파를 기록하며, 리그 오브 레전드의 팬들은 물론 게임을 잘 모르는 사람들에게서도 두루 호응을 얻었다.[56] 2년간의 공백기를 거쳐 2020년 8월에는 선공개 싱글곡 "The Baddest"를 공개하고, 이어 11월에는 5곡 트랙 분량의 정규 데뷔앨범인 《All Out》을 발매했다.[57]
2019년 라이엇 게임즈는 가공의 힙합 그룹인 트루 대미지 (True Damage)를 선보였다.[58] 챔피언 멤버로는 야스오, 아칼리, 키아나, 세나, 에코가 선정됐다.[59] 실제 보컬로는 키키 파머, 투트모세, 베키 G, 덕워스, 소연이 참여하였다. 데뷔곡 "Giants"는 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 2019 개막식 공연에서 각 캐릭터들의 홀로그램 실황과 함께 처음으로 공개되었다.[59] 트루 대미지의 인게임 의상은 명품 브랜드 루이비통과의 콜라보레이션으로 진행됐다.[60]
2023년에는 하트스틸 (Heartsteel)이란 이름의 케이팝 보이그룹을 선보였다. 챔피언 멤버로는 아펠리오스, 요시, 세트, 이즈리얼, 케인, 크산테가 선정됐다. 보컬로는 케이팝 보이그룹 엑소의 멤버 백현을 비롯해 SuperM, 캘 스크루비, ØZI, 토비 루가 참여했다. 데뷔 싱글 앨범 《Paranoia》는 그해 10월에 발매됐다.[61]
만화와 애니메이션
2018년 라이엇 게임즈는 마블 코믹스와의 콜라보 계획을 발표하였다.[62] 이전에도 라이엇 측은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코믹스 작품 출판을 실험하던 차였다.[63][64] 《더 버지》의 섀넌 랴오 (Shannon Liao)는 이번 코믹스가 "라이엇으로서는 그간 잔상으로 자주 등장했던 수년간의 이야기를 펼칠 드문 기회"라고 소개했다.[62] 첫 코믹스 작품으로는 2018년 〈League of Legends: Ashe—Warmother〉가 발매됐으며 이후 〈League of Legends: Lux〉라는 또다른 코믹스도 공개됐다.[65] 2019년에는 〈League of Legends: Lux〉의 인쇄판이 출간됐다.[66]
2019년 리그 오브 레전드 10주년 기념 영상에서 라이엇 게임즈는 사상 첫 TV 애니메이션 시리즈인 《아케인》의 제작 계획을 발표하였다.[67][68] 《아케인》은 라이엇 게임즈와 프랑스의 애니메이션 스튜디오 포르티슈 프로덕션와의 합작으로 제작된다.[68] 《아케인》의 주제는 이상적인 도시 '필토버'와 그 지하에 위치하며 핍박받는 자매도시, '자운'에서 벌어지는 이야기라는 정보가 공개됐다.[68][69][70] 크리에이티브 개발국장 그렉 스트리트는 할리우드 리포터와의 인터뷰에서 "맘 편히 볼 수 있는 작품은 아닐 것. 이번 작품을 통해 탐구하려는 진지한 주제가 몇 가지 있기 때문에, 아이들이 시청한다거나, 다른 걸 기대한다거나 하는 건 바라지 않는다"며 작품의 성격을 밝혔다.[67]
《아케인》은 2020년에 공개될 전망이었으나 코로나19 범유행으로 한차례 연기,[71] 2021년 11월 6일 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 2021 대회와 맞물려 넷플릭스를 통해 공개되었다.[72] 중국에서는 텐센트 비디오를 통해 시청이 가능하다.[68] 성우진으로는 헤일리 스타인펠드, 징크스 역에 엘라 퍼넬, 제이스 역에 케빈 알레한드로, 케이틀린 역에 케이티 렁이 출연하였다.[73] 공개 당시 평론가들로부터 호평을 얻었으며, IGN의 라파엘 모토메이어는 《아케인》이 비디오 게임의 실사판·애니화의 저주를 끝마칠 수 있겠다며 극찬했다.[74] 시즌 1 공개 후 높은 관심을 바탕으로 넷플릭스는 차기 시즌 기획에 나섰다고 발표하였다.[68]
같이 보기
라이엇 게임즈
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
미드 시즌 인비테이셔널
리그 오브 레전드 올스타전
리그 오브 레전드 챔피언스 코리아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리그
리그 오브 레전드 유러피언 챔피언십
리그 오브 레전드 챔피언십 시리즈
리그 오브 레전드: 와일드 리프트
각주
내용주
"LoL"을 발음대로 읽으면 "엘오엘"이 된다.
참조주
“美, 텐센트의 심장 게임까지 저격...中 IT기업 전방위 압박”. 2023년 11월 21일에 확인함.
“보관된 사본”. 2015년 11월 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10월 26일에 확인함.
“리그오브레전드 웹사이트/게임 다운로드”. 라이엇 게임즈. 2014년 6월 26일에 확인함.
윈도우 비스타, 윈도우 7 사용시 2 GB
“League of Legends for PC”. 《Metacritic》. 2011년 6월 2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1년 5월 19일에 확인함.
“League of Legends for PC from 1UP”. 1UP. 2011년 10월 1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1년 5월 19일에 확인함.
“League of Legends – Review – PC”. 《Eurogamer》. 2009년 11월 27일. 2011년 7월 2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1년 5월 19일에 확인함.
Hunt, Geoff. “League of Legends Review for the PC”. Game Revolution. 2013년 1월 2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1년 5월 19일에 확인함.
“GameSpy The Consensus League of Legend Review”. GameSpy. 2011년 4월 2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1년 5월 19일에 확인함.
“League of Legends – PC – Review”. GameZone. 2011년 5월 1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1년 5월 19일에 확인함.
Jackson, Leah B. (2014년 2월 13일). “League of Legends Review – PC Review at IGN”. 2012년 8월 2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4년 2월 21일에 확인함.
“2018년 5월 월간게임동향”. 《게임트릭스》. 2018년 6월 5일. 2018년 6월 13일에 확인함.
“2018년 6월 월간게임동향”. 《게임트릭스》. 2018년 7월 3일. 2018년 7월 15일에 확인함.
“게임트릭스 - PC방 게임전문 리서치 서비스!”. 2020년 9월 27일에 확인함.
게임트릭스 (2020년 8월 4일). “2020년 7월 월간게임동향”. 2020년 8월 31일에 확인함.
“게임트릭스 - PC방 게임전문 리서치 서비스!”. 2020년 9월 27일에 확인함.
Segal, David (2014년 10월 10일). “Behind League of Legends, E-Sports's Main Attraction”. 《The New York Times》 (미국 영어). ISSN 0362-4331. 2015년 9월 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0년 9월 7일에 확인함.
Hardenstein, Taylor Stanton (Spring 2017). “"Skins" in the Game: Counter-Strike, Esports, and the Shady World of Online Gambling”. 《UNLV Gaming Law Journal》 7: 119. 2021년 1월 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1월 4일에 확인함. A year later, the same championship was held in the 40,000-seat World Cup Stadium in Seoul, South Korea while another 27 million people watched online-more than the TV viewership for the final round of the Masters, the NBA Finals, the World Series, and the Stanley Cup Finals, for that same year.
Webb, Kevin (2019년 12월 18일). “More than 100 million people watched the 'League of Legends's World Championship, cementing its place as the most popular esport”. 《Business Insider》. 2020년 12월 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0년 12월 24일에 확인함.
Huang, Zheping (2021년 4월 7일). “Tencent Bets Billions on Gamers With More Fans Than NBA Stars”. 《Bloomberg News》. 2021년 4월 1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4월 18일에 확인함.
Di Fiore, Alessandro (2014년 6월 3일). “Disrupting the Gaming Industry with the Same Old Playbook”. 《Harvard Business Review》. 2018년 6월 2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0년 12월 24일에 확인함.
Heath, Jerome (2021년 4월 12일). “All of the teams qualified for the 2021 League of Legends Mid-Season Invitational”. 《Dot Esports》. 2021년 4월 1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4월 18일에 확인함.
Webster, Andrew (2020년 7월 21일). “League of Legends esports is getting a big rebrand in an attempt to become more global”. 《The Verge》. 2020년 9월 1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4월 20일에 확인함.
Lim, Jang-won (2021년 4월 20일). “MSI preview: 11 teams heading to Iceland; VCS unable to attend once again”. 《Korea Herald》. 2021년 4월 2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4월 20일에 확인함.
Ashton, Graham (2017년 4월 30일). “Franchising Comes to Chinese League of Legends, Ending Relegation in LPL”. 《Esports Observer》. 2021년 1월 2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4월 20일에 확인함.
Wolf, Jacob (2018년 3월 27일). “EU LCS changes to include salary increase, franchising and rev share”. 《ESPN》 (영어). 2019년 5월 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0년 12월 24일에 확인함.
Samples, Rachel (2020년 4월 5일). “LCK to adopt franchise model in 2021”. 《Dot Esports》. 2020년 11월 2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4월 18일에 확인함.
Wolf, Jacob (2020년 9월 3일). “LCK determines 10 preferred partners for 2021”. 《ESPN》. 2020년 9월 2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4월 20일에 확인함.
Spangler, Todd (2020년 11월 20일). “Ten Franchise Teams for 'League of Legends's North American eSports League Unveiled”. 《Variety》. 2018년 9월 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0년 12월 24일에 확인함.
Blakeley, Lindsay; Helm, Burt (December 2016). “Why Riot Games is Inc.'s 2016 Company of the Year”. 《Inc.》. 2018년 5월 2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1월 4일에 확인함.
Esguerra, Tyler (2020년 8월 3일). “Riot signs 3-year deal granting Bilibili exclusive broadcasting rights in China for international events”. 《Dot Esports》. 2021년 1월 2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4월 18일에 확인함.
“Bilibili inks three-year contract to broadcast League of Legends in China”. 《Reuters staff》. 2019년 12월 6일. 2019년 12월 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4월 20일에 확인함.
Chen, Hongyu (2020년 8월 14일). “Bilibili Shares 2020 LoL Worlds Chinese Media Rights With Penguin Esports, DouYu, and Huya”. 《Esports Observer》. 2021년 1월 2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4월 20일에 확인함.
Chen, Hongyu (2019년 10월 29일). “Huya to Stream Korean League of Legends Matches in Three-Year Exclusive Deal”. 《The Esports Observer》. 2020년 10월 2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4월 18일에 확인함.
Capps, Robert (2020년 2월 19일). “How to Make Billions in E-Sports”. 《The New York Times》 (미국 영어). ISSN 0362-4331. 2020년 12월 2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0년 12월 24일에 확인함. According to Miller, the top players make closer to $300,000, which is still relatively cheap; League of Legends player salaries can reach seven figures.
Soshnick, Scott (2015년 12월 18일). “Former NBA Player Rick Fox Buys eSports Team Gravity”. 《Bloomberg News》 (영어). 2017년 9월 1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0년 10월 19일에 확인함.
Yim, Miles (2019년 11월 18일). “People are investing millions into League of Legends franchises. Will the bet pay off?”. 《The Washington Post》. 2021년 1월 1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4월 19일에 확인함.
Lee, Julia (2019년 10월 15일). “League of Legends 10th Anniversary stream announcements”. 《Polygon》. 2020년 10월 2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0년 10월 18일에 확인함.
Beckhelling, Imogen (2019년 10월 16일). “Here's everything Riot announced for League of Legends's 10 year anniversary”. 《Eurogamer》. 2020년 10월 1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0년 10월 18일에 확인함.
Harris, Olivia (2020년 3월 19일). “Teamfight Tactics Is Out Now For Free On Mobile With Cross-Play”. 《GameSpot》. 2020년 8월 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1월 10일에 확인함.
Cox, Matt (2020년 5월 6일). “Legends Of Runeterra review”. 《Rock, Paper, Shotgun》 (미국 영어). 2020년 12월 1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0년 12월 24일에 확인함.
Yin-Poole, Wesley (2020년 4월 4일). “League of Legends card game Legends of Runeterra launches end of April”. 《Eurogamer》 (영어). 2020년 10월 2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0년 10월 18일에 확인함.
Goslin, Austen (2020년 1월 12일). “Legends of Runeterra will go into open beta at the end of January”. 《Polygon》. 2020년 10월 2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0년 10월 18일에 확인함.
Webster, Andrew (2019년 10월 15일). “League of Legends is coming to mobile and console”. 《The Verge》. 2020년 10월 1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0년 10월 18일에 확인함.
Fischer, Tyler (2019년 10월 16일). “League of Legends Coming to Consoles and Phones”. 《ComicBook.com》. 2020년 10월 1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0년 10월 18일에 확인함.
Halliday, Fergus (2020년 10월 26일). “Every champion confirmed for League of Legends: Wild Rift”. 《PC World》. 2020년 10월 1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1월 12일에 확인함.
Beckhelling, Imogen (2019년 10월 16일). “Here's everything Riot announced for League of Legends's 10 year anniversary”. 《Eurogamer》 (영어). 2020년 10월 1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0년 10월 18일에 확인함. League of Legends: Wild Rift is a redesigned 5v5 MOBA coming to Android, iOS and console. It features a lot of the same game play as LOL on PC, but has built completely rebuilt from the ground up to make a more polished experience for players on other platforms.
Prescott, Shaun (2020년 12월 18일). “Riot is working on a League of Legends MMO”. 《PC Gamer》 (미국 영어). 2020년 12월 2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0년 12월 18일에 확인함.
Tapsell, Chris (2020년 10월 31일). “Single-player League of Legends "true RPG" Ruined King coming early 2021”. 《Eurogamer》 (영어). 2020년 11월 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0년 11월 1일에 확인함.
Clayton, Natalie (2020년 10월 31일). “League of Legends's RPG spin-off Ruined King arrives next year”. 《Rock, Paper, Shotgun》 (미국 영어). 2020년 11월 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0년 11월 1일에 확인함.
Tack, Daniel (2021년 11월 16일). “Tequila Works Announces Song Of Nunu: A League of Legends Story”. 《Game Informer》 (영어). 2021년 11월 2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11월 27일에 확인함.
“Song of Nunu: A League of Legends Story launches November 1 for Switch and PC, later for PS5, Xbox Series, PS4, and Xbox One”. 《Gematsu》 (미국 영어). 2023년 9월 14일. 2023년 12월 8일에 확인함.
Jones, Alistair (2020년 3월 6일). “League of Legends's Metal Band is Getting Back Together”. 《Kotaku UK》. 2020년 9월 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0년 9월 6일에 확인함.
Lawson, Dom (2017년 8월 6일). “Pentakill: how a metal band that doesn't exist made it to No 1”. 《The Guardian》 (영국 영어). ISSN 0261-3077. 2020년 9월 1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0년 9월 6일에 확인함.
Lee, Julia (2018년 11월 5일). “K/DA, Riot Games' pop girl group, explained”. 《Polygon》 (영어). 2019년 4월 2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0년 9월 6일에 확인함.
Carpenter, Nicole (2020년 10월 28일). “League of Legends K-pop group K/DA debuts new music video”. 《Polygon》. 2021년 1월 1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1월 11일에 확인함.
Webster, Andrew (2020년 8월 27일). “League of Legends's virtual K-pop group K/DA is back with a new song”. 《The Verge》 (영어). 2020년 9월 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0년 9월 6일에 확인함.
Chan, Tim (2019년 11월 16일). “The True Story of True Damage: The Virtual Hip-Hop Group That's Taking Over the Internet IRL”. 《Rolling Stone》 (미국 영어). 2020년 9월 1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0년 9월 6일에 확인함.
Lee, Julia (2019년 11월 11일). “True Damage, League of Legends's hip-hop group, explained”. 《Polygon》 (영어). 2020년 8월 2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0년 9월 6일에 확인함.
Webster, Andrew (2019년 11월 11일). “Designing League of Legends's stunning holographic Worlds opening ceremony”. 《The Verge》 (영어). 2020년 8월 2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0년 9월 6일에 확인함.
Stubbs, Mike. “‘League Of Legends’ Band Heartsteel Release Debut Single PARANOIA”. 《Forbes》. Forbes. 2023년 10월 24일에 확인함.
Liao, Shannon (2018년 11월 19일). “League of Legends turns to Marvel comics to explore the game's rich lore”. 《The Verge》 (영어). 2020년 7월 1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0년 9월 6일에 확인함.
Lee, Julia (2017년 8월 18일). “Darius' story revealed in Blood of Noxus comic”. 《The Rift Herald》 (영어). 2020년 7월 1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0년 9월 6일에 확인함.
Liao, Shannon (2018년 11월 19일). “League of Legends turns to Marvel comics to explore the game's rich lore”. 《The Verge》 (영어). 2020년 7월 1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0년 9월 6일에 확인함. So far, Riot has limited its comic book ambitions to panels published on its site, which are timed to certain champion updates or cosmetic skin releases. Notably, a comic featuring Miss Fortune, a deadly pirate bounty hunter and captain of her own ship who seeks revenge on the men who betrayed her, was released last September.
“Marvel and Riot Games Give Lux from 'League of Legends' Her Own Series in May”. Marvel Entertainment. 2021년 4월 24일. 2020년 11월 1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1월 17일에 확인함.
“'League of Legends: Lux' Will Come to Print for the First Time This Fall”. Marvel Entertainment. 2020년 10월 2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1월 17일에 확인함.
Shanley, Patrick (2019년 10월 15일). “Riot Games Developing Animated Series Based on 'League of Legends'”. 《The Hollywood Reporter》. 2020년 9월 2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0년 9월 6일에 확인함.
Rosario, Alexandra Del (2021년 11월 21일). “'Arcane' Renewed For Season 2 By Netflix”. 《Deadline Hollywood》 (미국 영어). 2021년 11월 2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11월 23일에 확인함.
Marshall, Cass (2019년 10월 15일). “League of Legends is getting its own animated series called Arcane”. 《Polygon》 (영어). 2020년 10월 2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0년 9월 6일에 확인함.
Capel, Chris J. (2019년 10월 16일). “League of Legends Arcane animated series will show the origins of Jinx and Vi”. 《PCGamesN》. 2020년 9월 2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1월 16일에 확인함.
Summers, Nick (2020년 6월 11일). “'League of Legends's TV show 'Arcane' has been pushed back to 2021”. 《Engadget》 (영어). 2020년 9월 1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0년 9월 6일에 확인함.
Goslin, Austen (2021년 5월 3일). “League of Legends animated series is heading to Netflix”. 《Polygon》. 2021년 5월 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5월 3일에 확인함.
Cremona, Patrick (2021년 11월 3일). “Arcane: release date, cast and trailer for the League of Legends Netflix series”. 《Radio Times》. 2021년 11월 2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11월 21일에 확인함.
Motamayor, Rafael (2021년 11월 20일). “Arcane Season 1 Review”. 《IGN》. 2021년 11월 2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11월 21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리그 오브 레전드
(한국어) 리그 오브 레전드 위키데이터에서 편집하기 - 공식 웹사이트
(영어) 리그 오브 레전드 위키아
리그 오브 레전드 인벤
https://ko.wikipedia.org/wiki/%EB%A6%AC%EA%B7%B8_%EC%98%A4%EB%B8%8C_%EB%A0%88%EC%A0%84%EB%93%9C 위키백과
《콜 오브 듀티》(Call of Duty)는 1인칭 및 3인칭 슈팅 컴퓨터/비디오 게임 미디어 프랜차이즈 시리즈이다. 초기에는 PC 전용으로 발매되고 추후 가정용 콘솔이나 휴대용 콘솔 전용으로 발매되기도 하였으며 시리즈 외 스핀 오브 작품도 다수 발매되었다. 초기에는 《콜 오브 듀티》, 《콜 오브 듀티 2》, 《콜 오브 듀티 3(콘솔)》과 같은 제 2차 세계 대전을 소재로 다뤘으며, 《콜 오브 듀티 4: 모던 워페어》를 시작으로 현대전을 다룬 작품도 등장했다. 2007년 11월에 발매된 《콜 오브 듀티 4: 모던 워페어》, 《콜 오브 듀티: 월드 앳 워》, 《콜 오브 듀티: 모던 워페어 2》, 《콜 오브 듀티: 블랙 옵스》는 냉전을, 《콜 오브 듀티: 모던 워페어 3》와 《콜 오브 듀티:블랙 옵스 2》는 근 미래전을, 《콜 오브 듀티 고스트》는 2025년경을 배경으로 하고있다. 콜 오브 듀티 모바일이 출시되었다.
현재 액티비전에서 배포, 소유하고 있으며 개발은 주로 인피니티 워드에서 개발하고 있고 그 외 트레이아크, 그레이 메터 인터엑티브, 노키아, 에작트 엔터테인먼트, 스파크 언리미티드, 아마즈 엔터테인먼트, n-스페이스, Aspyr, 리벨레온 디벌로먼츠, 아이디어웍스 게임 스튜디오, 슬레지헤머 게임즈, n시게이트 게임즈에서 개발하기도 했으며 아이디 테크 3, Treyarch NGL, IW 5.0 등 사용된 엔진 또한 다양하다. 게임 시리즈 외 피규어, 카드 게임, 만화책 등 다양한 미디어 믹스 작품이 나오기도 한다. 2011년 11월 기준, 콜 오브 듀티 시리즈 통틀어서 약 1억장이 팔리고[1] 2011년에 발매된 온라인 게임 《콜 오브 듀티: 모던 워페어 3》는 동시접속자 수를 160만명을 기록하고 있으며, 모바일도 나온 상태이다.[2] 콜오브 듀티 모바일
주요 시리즈
이 문단의 내용은 출처가 분명하지 않습니다.
이 문단을 편집하여, 신뢰할 수 있는 출처를 표기해 주세요. 검증되지 않은 내용은 삭제될 수도 있습니다. 내용에 대한 의견은 토론 문서에서 나누어 주세요. (2020년 8월)
콜 오브 듀티 시리즈 타이틀
출시일 타이틀 PC 6세대 7세대 8세대 핸드헬드 개발자
2003 콜 오브 듀티 윈도우, macOS 빈칸 X360, PS3 빈칸 N-게이지 인피니티 워드
2005 콜 오브 듀티 2 윈도우, macOS 빈칸 X360 엑스박스 원 (BC) 휴대 전화 인피니티 워드
2006 콜 오브 듀티 3 빈칸 PS2, Xbox X360, PS3, Wii 엑스박스 원 (BC) 빈칸 트레이아크
2007 콜 오브 듀티 4: 모던 워페어 윈도우, macOS 빈칸 X360, PS3, Wii 엑스박스 원, PS4 (Remastered) NDS 인피니티 워드
2008 콜 오브 듀티: 월드 앳 워 윈도우 플레이스테이션 2 X360, PS3, Wii 엑스박스 원 (BC) NDS, 윈도우 모바일 트레이아크
2009 콜 오브 듀티: 모던 워페어 2 윈도우, macOS 빈칸 X360, PS3 빈칸 빈칸 인피니티 워드
2010 콜 오브 듀티: 블랙 옵스 윈도우, macOS 빈칸 X360, PS3, Wii 엑스박스 원 (BC) NDS 트레이아크
2011 콜 오브 듀티: 모던 워페어 3 윈도우, macOS 빈칸 X360, PS3, Wii 빈칸 NDS 인피니티 워드/Sledgehammer
2012 콜 오브 듀티: 블랙 옵스 II 윈도우 빈칸 X360, PS3 엑스박스 원 (BC), Wii U 빈칸 트레이아크
2013 콜 오브 듀티: 고스트 윈도우 빈칸 X360, PS3 엑스박스 원, PS4, Wii U 빈칸 인피니티 워드
2014 콜 오브 듀티: 어드밴스드 워페어 윈도우 빈칸 X360, PS3 엑스박스 원, PS4 빈칸 en:Sledgehammer Games
2015 콜 오브 듀티: 블랙 옵스 III 윈도우 빈칸 X360, PS3 엑스박스 원, PS4 빈칸 트레이아크
2016 콜 오브 듀티: 인피니트 워페어 윈도우 빈칸 빈칸 엑스박스 원, PS4 빈칸 인피니티 워드
2017 콜 오브 듀티: WWII 윈도우 빈칸 빈칸 엑스박스 원, PS4 빈칸 en:Sledgehammer Games
2018 콜 오브 듀티: 블랙 옵스 4 윈도우(배틀넷) 빈칸 빈칸 엑스박스 원, PS4 빈칸 트레이아크
2019 콜 오브 듀티: 모던 워페어 윈도우(배틀넷) 빈칸 빈칸 엑스박스 원, PS4 빈칸 인피니티 워드
2020 콜 오브 듀티: 콜드워 윈도우(배틀넷) 빈칸 빈칸 엑스박스 원, PS4, PS5 빈칸 비녹스(주)
각주
“Call of Duty: Modern Warfare 3 breaks sales records”. Telegraph. 2012년 11월 26일에 확인함.
Dutton, Fred (2012년 5월 9일). “Call of Duty Elite has 10 million users, 2 million pay • News •”. Eurogamer.net. 2012년 11월 26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콜 오브 듀티
콜 오브 듀티 공식 웹사이트
https://ko.wikipedia.org/wiki/%EC%BD%9C_%EC%98%A4%EB%B8%8C_%EB%93%80%ED%8B%B0 위키백과
《바람의나라》는 기원 후 18년에서 23년 사이 동아시아를 배경으로 한 김진의 만화 《바람의나라》를 소재로 하여 넥슨이 제작한, 현재 서비스 중인 그래픽 도입 MMORPG 중에선 가장 오래된 게임이다.[1]
바람의나라는 고구려 2대 왕인 유리왕의 아들 대무신왕 무휼의 정벌담에, 차비 연, 아들 호동 왕자와 낙랑 공주의 사랑 이야기가 중첩되는 만화가 김진의 역사 서사극 바람의나라를 원작으로 하는 전쟁 이야기를 배경으로 그렸다.
1994년 12월 기획되어 1995년 12월 25일 베타테스트를 실시하였으며, 1996년 4월 5일 정식 서비스를 시작하였다. 바람의나라는 대한민국 내 온라인 게임 중 처음으로 대한민국 외의 국가에서도 서비스를 시작했다. 2013년 7월 10일에 넥슨컴퓨터박물관 IT보존연구실장이 소스코드를 복원하는 기술적인 측면뿐만 아니라 오리지널 버전의 감성과 철학도 함께 복원하는 것이라며 이전에 참여한 바람의나라 제작진과 함께 초기버전을 복원한다고 발표하였고, 2014년 5월 복원이 완료되었다.
서비스 연혁[2]
1994년 12월 바람의나라 기획
1995년 12월 25일 바람의나라 베타서비스 실시
1996년 4월 5일 바람의나라 정식 서비스 실시
1996년 11월 아이네트 인터넷 플랫폼 아이월드에서 무료 서비스 개시
1997년 10월 영문판 바람의나라 전 세계 영어권 사용자 대상으로 서비스 개시
1998년 2월 문화체육부-전자신문사 주관 이달의 우수게임 선정
1999년 1월 바람의나라 미국(Nexus TK), 호주 글로벌 유력 게임 전문 차트 인터넷 월드차트 15위[3]
1999년 5월 바람의나라 미국 (Nexus TK),현지 상용화
1999년 7월 99년 상반기 천리안 콘텐츠 대상(최우수 엔터테이먼트 부분)
1999년 7월 바람의나라 프랑스 (Le Royaume des Vents) 현지 상용화
2000년 9월 바람의나라 일본 (風の王國) 현지 상용화
2001년 3월 바람의나라 인도네시아 (Nexia) 발표
2002년 3월 바람의나라 인도네시아 (Nexia) 현지 상용화
2003년 6월 바람의나라 프랑스 (Le Royaume des Vents) 서비스 종료
2004년 5월 인도네시아어판 바람의나라(Nexia) 서비스 종료
2005년 2월 일어판 바람의나라(風の王國) 서비스 종료
2005년 8월 부분유료화 선언, 동시접속자 13만명 기록
2006년 4월 바람의나라 10주년
2008년 12월 바람의나라 소설책 출간
2010년 9월 '세계 최초의 상용화 그래픽 MMORPG' 기네스북 등재
2011년 7월 누적 회원 수 1,800만명 보유
2013년 7월 넥슨컴퓨터박물관, 바람의나라 초기버전 복원발표
2014년 5월 바람의나라 초기버전 복구 완료, 서비스 시작
참조
넥슨 '바람의 나라' 기네스북 등재
서비스 연혁[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대한민국에서 만든 게임 최초로 50위 안에 진입
외부 링크
대한민국 공식 웹사이트
미국 공식 웹사이트
공식 구버전 웹사이트
《워크래프트》(Warcraft)는 블리자드 엔터테인먼트가 제작한 비디오 게임, 소설 및 기타 매체의 프랜차이즈다. 이 시리즈는 《워크래프트: 오크와 인간》, 《워크래프트 II: 타이드 오브 다크니스》, 《워크래프트 III: 레인 오브 카오스》,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 《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 총 5가지 핵심 게임으로 구성되어 있다. 가장 먼저 발표한 세 개의 게임은 실시간 전략 시뮬레이션 컴퓨터 게임이며, 네 번째 게임은 MMORPG이다. 가장 최근에 발표된 《워크래프트 리포지드》는 《워크래프트 III》의 리마스터작이다.
컴퓨터 게임
출시 타임라인
1994 워크래프트: 오크와 인간
1995 워크래프트 II: 타이드 오브 다크니스
1996 워크래프트 II: 비욘드 더 다크 포탈
1997
1998
1999 워크래프트 II: 배틀넷 에디션
2000
2001
2002 워크래프트 III: 레인 오브 카오스
2003 워크래프트 III: 프로즌 쓰론
2004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
2005
2006
2007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 불타는 성전
2008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 리치 왕의 분노
2009
2010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 대격변
2011
2012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 판다리아의 안개
2013
2014 하스스톤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 드레노어의 전쟁군주
2015
2016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 군단
2017
2018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 격전의 아제로스
첫 세개의 워크래프트 게임들은 모두 전략 시뮬레이션 게임으로 도스와 매킨토시용 모두 발매되었다.
1998년도에는 블리자드 엔터테인먼트는 워크래프트: 부족의 지배자라는 워크래프트 시리즈의 어드벤쳐 게임의 출시를 중지하였다.
세계적으로 사랑을 받은 MMORPG게임인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는 2004년도에 발매해 한국에서도 큰 사랑을 받고 있다.
기타 매체
카드 수집 게임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 트레이딩 카드 게임》 - 2006년 ~ 2013년
《하스스톤: 워크래프트의 영웅들》 - 2014년 ~ 현재
소설
워크래프트
피와 명예 (Of Blood and Honor) -2000
용의 날 (Day of the Dragon) -2001 (2001, 황금가지)
부족의 지배자 (Lord of the Clans) -2002 (2002, 황금가지)
최후의 수호자 (The Last Guardian) -2002
워크래프트: 고대의 전쟁 (Warcraft: War of the Ancients Trilogy)
영원의 샘 (The Well of Eternity) -2004
악마의 영혼 (The Demon Soul) -2004
세계의 분리 (The Sundering) -2005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
증오의 순환 (Cycle of Hatred) -2006
호드의 탄생 (Rise of the Horde) -2006
어둠의 물결 (Tides of Darkness) -2007
어둠의 문 넘어 (Beyong the Dark Portal) -2008
용의 밤 (Night of the Dragon) -2008
아서스: 리치왕의 탄생 (Arthas: Rise of the Lich King) -2009 (2010, 제우미디어)
스톰레이지 (Stormrage) -2010 (2010, 제우미디어)
부서지는 세계: 대격변의 전조 (The Shattering: Prelude to Cataclysm) -2010 (2011, 제우미디어)
스랄: 위상들의 황혼 (Thrall: Twilight of the Aspects) -2011
늑대의 심장 (Wolfheart) -2011
전쟁의 물결 (Tides of War) -출시예정
영화
<nowiki /> 이 부분의 본문은 워크래프트: 전쟁의 서막입니다.
설정
배경
<nowiki /> 이 부분의 본문은 워크래프트의 등장인물 목록 § 대륙입니다.
등장인물
<nowiki /> 이 부분의 본문은 워크래프트의 등장인물 목록입니다.
외부 링크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워크래프트
워크래프트 위키데이터에서 편집하기 - 공식 웹사이트
https://ko.wikipedia.org/wiki/%EC%9B%8C%ED%81%AC%EB%9E%98%ED%94%84%ED%8A%B8 위키백과
《리니지》(영어: Lineage)는 대한민국의 중세 판타지 MMORPG 시리즈이다.
시리즈 목록
PC
리니지 (1998)
리니지 토너먼트 (2002)
리니지 2 (2003)
Project TL (미정)
모바일
리니지 몬퀘스트 (2002)
리니지 포켓캡슐 (2003)
리니지 공성영웅전 (2003)
리니지 포션팡팡 (2004)
리니지 아덴전기 (2004)
리니지 모바일 - 헤이스트 (2014)
리니지 2: 혈맹 (2016)
리니지 레드나이츠 (2016)
리니지 2: 레볼루션 (2016)
리니지M (2017)
리니지2M (2019)
리니지W (2021)
개발사
엔씨소프트
넷마블
스네일 게임즈
배급사
엔씨소프트
넷마블
스네일 게임즈
플랫폼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
맥 OS
iOS
안드로이드
윈도우 폰
첫 번째 게임 리니지
1998년 9월 3일
최근 게임 리니지W
2021년 11월 4일
《로스트아크》(Lost Ark←잃어버린 방주[1])는 대한민국의 비디오 게임 기업 스마일게이트RPG가 개발·배급하는 온라인 MMORPG(대규모 다중 사용자 온라인 롤플레잉 게임)이다.
2014년 11월 12일 공개되었다.[2] 론칭 첫날 동시 접속자수는 25만 명이며 이후 1주일 내의 동시 접속자수는 35만 명을 넘었다.[3] DirectX 9 이상을 지원하는 환경에서 플레이할 수 있다.[4] 2014년 11월 12일 최초로 공개되었다. 2015년 8월에 비공개로 Focus Group Test (FGT)를 진행, 2016년 8월 24일 1차 CBT, 2017년 9월 15일 2차 CBT, 2018년 5월 23일 Final CBT를 진행하였고 2018년 11월 7일부터 오픈 베타 테스트를, 2019년 12월 4일부터 정식 서비스를 진행하고 있다.[5]
게임소개
세계관
세계관은 다음과 같다.
여명의 시대
어둠의 왕좌
사슬전쟁
개척의 500년
의지를 계승하는 자
월드맵
현재 17개의 메인 지역과 101개의 섬들이 구현되어있다.
아르테미스
레온하트
로그힐
안게모스 산 기슭
국경지대
유디아
살란드 구릉지
오즈혼 구릉지
루테란 서부
자고라스 산
레이크 바
메드리닉 수도원
빌브린 숲
격전의 평야
루테란 동부
루테란 성
디오리카 평원
해무리 언덕
배꽃나무 자생지
흑장미 교회당
라이아 단구
보레아 영지
갈기파도 항구
크로커니스 해변
토토이크
바다향기 숲
모코코 마을
달콤한 숲
성큼바위 숲
침묵하는 거인의 숲
애니츠
항구도시 창천
등나무 언덕
소리의 숲
황혼의 연무
델파이 현
거울 계곡
아르데타인
메마른 통로
슈테른
갈라진 땅
네벨호른
바람결 구릉지
리제 폭포
토트리치
붉은 모래 사막
베른 북부
크로나 항구
베른 성
라니아 마을
파르나 숲
베르닐 삼림
페르나스 고원
발란카르 산맥
슈샤이어
얼아붙은 바다
리겐스 마을
칼날바람 언덕
머무른 시간의 호수
서리 감옥 고원
얼음나비 절벽
로헨델
은빛물결 호수
로아룬
유리연꽃 호수
바람향기 언덕
파괴된 제나일
엘조윈의 그늘
욘
시작의 땅
위대한 성
무쇠망치 작업장
미완의 정원
검은모루 작업장
기약의 땅
페이튼
이름없는 협곡
칼라자마을
울부짖는 늪지대
그림자 수도원
붉은 달 협곡
파푸니카
얕은 바닷가
니아 마을
별 모래해변
티카티카 군락지
비밀의 숲 숲
베른 남부
칸다리아 영지
벨리온 유적지
로웬
어금니의 강
웅크린 늑대의 땅
레갸르방크 평원
엘가시아
아리안오브
헤스티아 정원
필레니소스 산
플레체
플레체
프리힐리아 평원
볼다이크
칼리나리
현자의 탑
대우림
섬
로스트아크의 섬은 기에나의 바다와 프로키온의 바다에 고르게 분포하고 있으며 현재 101개의 섬, 그리고 97개의 섬의 마음이 존재한다.
미구현 대륙
림레이크 남섬
림레이크 북섬
쿠르잔
계열(클래스)
계열(클래스)은 다음과 같다
전사
전사 계열은 화끈한 파괴력과 안정적인 방어력을 가진 공수밸런스가 좋은 클래스다.
전사 (남) - 디스트로이어, 워로드, 버서커, 홀리나이트
디스트로이어
디스트로이어는 느리지만 강력한 한방이 있는 근거리 클래스이다. 기동성이 부족하지만 육중한 그라비티 해머를 자유자재로 다루며 적들에게 위협적인 공격을 가하게 된다. 단단하고, 무자비한 공격성으로 적들을 시원시원하게 쓸어버리며, 전장을 공포의 도가니로 만들어 버릴 수 있다.[6]
대표무기 : 그래비티 해머
아이덴티티 : 중력제어 시스템
적을 공격하여 중력 코어를 획득하고, 코어를 보유하고 있을 때 중력 해방 스킬을 사용하면 중력 코어가 중력 게이지로 전환된다. 중력 게이지가 가득 모이게 되면 자신의 주변에 중력 모드를 가동시켜, 디스트로이어 자신은 더욱 단단해지고 영역 안에 있는 적들은 느리고 약해지게 만듬으로써, 상대적 우월감을 느끼며 전투를 풀어나갈 수 있다.[6]
워로드
워로드는 높은 방어력과 생존력을 기반으로 전장의 선봉에서 아군을 지휘하고 보호하는 근접 클래스이다. 거대한 방패를 이용한 다양한 방어기술은 강력한 적들의 공격을 피해 없이 막아낼 수 있으며, 건랜스를 이용한 창격 기술과 포격 기술은 단순하지만 강력한 힘을 발휘한다. 또한, 적들의 시선을 끌고 파티원을 보호할 수 있는 기술을 가진 워로드는 파티의 든든한 버팀목이자 전투의 리더이다.[7]
대표무기 : 방패, 건렌스
아이덴티티 : 방어태세, 전장의 방패
전장의 상황에 따라 방어태세를 갖추거나 전장의 방패 스킬을 사용할 수 있다. 방어태세는 거대한 방패를 이용하여 몸을 보호하는 기술로 이동속도가 느려지지만 적들의 강력한 공격을 피해없이 막아낼 수 있다. 전장의 방패 스킬은 파티원이 위험에 처해 있을 때 피해를 대신 받아줄 수 있는 보호막을 생성하는 기술로 파티원을 보호하는 핵심 기술이다.[7]
버서커
버서커는 거대한 양손 대검을 사용하여 전장을 휘젓는 전형적인 근접 전사이다. 높은 공격력과 방어력으로 전 클래스를 통틀어 공수의 밸런스가 가장 안정적인 클래스이며, 폭주 모드를 활용하면 전장을 순식간에 뒤집을 수 있는 엄청난 잠재력도 지니고 있는 강력한 클래스이다.[8]
대표무기 : 대검
아이덴티티 : 폭주모드
공격을 할 때마다 일정량의 분노 게이지를 얻게 되고, 이 분노 게이지가 차게되면 폭주 상태에 돌입할 수 있게 된다. 폭주 상태에 돌입한 버서커는 공격과 이동 속도가 크게 상승하게 되고, 해당 상태에서만 사용 가능한 스킬이 추가되어 더욱 강력한 공격을 가할 수 있다.[8]
홀리나이트
홀리나이트는 신념의 검과 신앙의 힘을 사용하는 서포트형 클래스다. 성서를 이용한 신성 스킬 및 버프를 활용해 아군을 후방에서 지원하거나 검을 이용한 징벌 스킬들을 통해 전장의 선봉에 설 수 있다.[9]
대표무기 : 한손검
아이덴티티 : 신앙게이지
신앙게이지 홀리나이트는 전투 중 획득 가능한 신앙게이지를 이용하여 자신의 검을 강화하거나 파티원의 전투 능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신의 집행자 스킬을 사용할 경우 신앙의 힘을 자신의 검에 집중시켜 검을 이용한 모든 공격 사거리와 피해량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신성의 오라 스킬을 사용할 경우에는 자기 주변에 오라를 펼쳐 자신을 제외한 파티원들의 전투 능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9]
전사 (여) - 슬레이어
슬레이어
슬레이어는 거대한 양손 대검을 들고 전장을 휘젓는 전형적인 근접 전사이다. 높은 공격력과 방어력으로 전 클래스를 통틀어 공수의 밸런스가 가장 안정적인 클래스이기도 하다. 폭주 모드를 활용하면 전장을 순식간에 뒤집을 수 있는 엄청난 잠재력도 지니고 있는 강력한 클래스이다.[10]
대표무기 : 대검
아이덴티티 : 폭주모드
폭주 모드 공격을 할 때마다 일정량의 분노 게이지를 얻게 되고, 이 분노 게이지가 차게되면 폭주 상태에 돌입할 수 있게 된다. 폭주 상태에 돌입한 슬레이어는 공격과 이동 속도가 크게 상승하게 되고, 해당 상태에서만 사용 가능한 스킬이 추가되어 더욱 강력한 공격을 가할 수 있다.[10]
무도가
무도가 계열은 빠른 스피드를 바탕으로 적들을 쉴새 없이 몰아치는 클래스다.
무도가 (남) - 스트라이커
스트라이커
스트라이커는 질풍처럼 적들을 몰아붙이는 무도가 클래스다. 빠른 움직임에 다양한 체술을 두루 갖추고 있기 때문에 순식간에 적을 타격한 후 화려한 공중 콤보를 이어갈 수 있으며, 강력한 엘리멘탈 스킬들을 활용해 전장의 판도를 뒤집을 수도 있다.[11]
대표무기 : 엘리멘탈 건틀렛
아이덴티티 : 엘리멘탈 버블
엘리멘탈 버블 스트라이커는 엘리멘탈 건틀릿을 장착한 상태에서 적을 공격하여 엘리멘탈 버블이라는 특수한 게이지를 획득할 수 있다. 엘리멘탈 버블은 최대 3개까지 생성할 수 있고, 엘리멘탈 버블을 소모하여 오의 스킬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오의 스킬은 성능에 따라 사용되는 버블의 개수가 다르다.[11]
무도가 (여) - 배틀마스터, 인파이터, 기공사, 창술사
배틀마스터
배틀마스터는 전광석화와 같이 적들을 공격하는 무도가 클래스이다. 빠른 움직임에 다양한 체술을 두루 갖추고 있기 때문에 순식간에 적을 타격한 뒤 화려한 공중 콤보를 이어갈 수 있으며, 강력한 엘리멘탈 스킬들을 활용해 전장의 판도를 뒤집을 수도 있다.[12]
대표무기 : 엘리멘탈 건틀렛
아이덴티티 : 엘리멘탈 버블
엘리멘탈 건틀렛을 장착한 상태에서 적을 공격하여 엘리멘탈 버블이라는 특수한 게이지를 획득할 수 있다. 엘리멘탈 버블은 최대 3개까지 생성할 수 있고, 엘리멘탈 버블을 소모하여 오의 스킬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오의 스킬은 성능에 따라 사용되는 버블의 개수가 다르다.[12]
인파이터
인파이터는 적들에게 파고드는 능력이 우수한 전형적인 근접 클래스이다. 주 무기인 헤비 건틀렛을 이용한 묵직한 펀치로 적들을 몰아치는 공격이 가능하다. 공격력과 방어력, 기동력이 전반적으로 모두 뛰어난 균형 잡힌 클래스로 전투 지속력 또한 우수하기 때문에 공수 양면에서 활약하는 모습을 기대해 볼 수 있다.[13]
대표무기 : 헤비 건틀렛
아이덴티티 : 기력/충격 에너지
기력과 충격 에너지는 상호 보완되는 형태를 취한다. 기력 스킬을 사용하게 되면 기력 게이지가 감소하는 대신 충격 에너지가 증가하고, 충격 스킬을 사용하면 충격 에너지가 감소하는 대신 기력 에너지가 증가되는 형태이다. 기력과 충격 에너지 스킬을 적절히 교체해가며 사용할 경우 끊임없이 적들을 몰아칠 수 있다.[13]
기공사
기공사는 내공을 사용하여 근접 및 원거리 공격을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는 중거리 클래스이다. 장법을 이용한 근접 공격과 내공을 이용한 원거리 공격을 조합하여 순간적으로 폭발적인 공격을 퍼부을 수 있으며, 이러한 특징은 다양한 전장에서 실력을 발휘할 수 있게 만들어 준다.[14]
대표무기 : 기공패
아이덴티티 : 금강선공
각종 공격 기술을 사용할 수 있게 해주는 내공과는 다르게 평소에 자연스럽게 운기 되는 기운을 체내에 축적시켜 두었다가 발동 시킬 수 있는 선천 기공이다. 자신의 능력을 최대 3단계까지 증폭할 수 있으며, 내공을 모두 소진하게 되어 일정 시간 동안 내공이 회복되지 않을 때 각 단계를 발동시키면 소진된 내공을 한 번에 회복시켜줄 뿐 아니라 금강선공이 유지되는 시간 동안 기공사의 신체능력이 증폭돼 한층 강력한 위력을 발휘할 수 있게 된다.[14]
창술사
창술사는 상황에 맞게 스탠스를 변경할 수 있는 클래스이다. 변형 창을 사용해 주변에 위치한 적들을 쓸어버릴 수 있는 난무 스탠스, 날카로운 창으로 순간 높은 피해를 줄 수 있는 집중 스탠스를 사용해 전장의 적들을 단숨에 제압할 수 있다.[15]
대표무기 : 창
아이덴티티 : 듀얼 스탠스
두 개의 스탠스를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는 창술사는 스탠스를 유지하거나 적을 공격하는 것으로 듀얼 게이지를 최대 3단계까지 획득할 수 있다. 창술사는 스탠스 변경 시 보유한 듀얼 게이지를 모두 소모하여, 보유했던 게이지 단계에 따라 그에 걸맞는 강력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15]
헌터
헌터는 거리를 두고 다양한 기술로 적들을 제압하는 원거리 클래스다.
헌터 (남) - 데빌헌터, 블래스터, 호크아이, 스카우터
데빌헌터
데빌헌터는 세 가지 총기를 사용하여 빠르게 움직이며 스타일리쉬한 전투를 펼치는 원거리 클래스이다. 대상과의 거리, 혹은 공격하고자 하는 범위에 따라 그에 알맞은 스탠스를 선택하여 더블 핸드건, 샷건, 라이플로 가장 효과적인 전투를 만들어 낼 수 있다.[16]
대표무기 : 샷건, 더블 핸드건, 라이플
아이덴티티 : 퀵 스탠스
세 가지 총기를 상황에 따라 자유자재로 변경하며 전투할 수 있다. 각 무기에 대응 되는 스킬이 존재하며, 핸드건의 경우 넓은 범위를 빠르고 화려하게 공격할 수 있고, 샷건은 가까운 적에게 강력한 대미지를 선사하며, 라이플은 멀리 떨어진 적을 견제하거나 마무리 일격을 날리기에 적합하다.[16]
블래스터
블래스터는 거대 메카닉 런처와 여러 가지 특수 중화기를 사용하는 막강한 화력과 폭발성 광역 공격에 특화된 원거리 클래스이다. 적들의 공격을 버텨내며 광역 딜링하는 스타일로 기동성은 떨어지는 편이지만 중갑을 착용하여 원거리 클래스 중에는 높은 방어력을 보유하고 있으며, 각종 중화기를 이용한 파괴력이 이러한 단점을 모두 상쇄시킨다.[17]
대표무기 : 메카닉 런쳐
아이덴티티 : 포격모드
킬 적중 시 마나 소모량에 비례하여 화력 게이지가 증가한다. 화력 게이지가 일정량 이상 모이게 되면 공격력이 단계적으로 증가함은 물론, 포격 모드를 발동할 수 있는 조건까지 갖추게 된다. 포격 모드는 초대형 중화기를 소환하여 바닥에 고정해 놓은 상태인데, 적의 공격을 피해 이동할 수 없는 위험한 상태이지만 그 위험성을 감수할 만큼의 강력한 포격 공격을 가할 수 있다.[17]
호크아이
호크아이는 민첩하게 움직이며 기계 활과 특수 화살로 적을 공격하는 명사수이다. 민첩한 이동기를 활용한 생존력이 우수하며 이를 바탕으로 비교적 긴 시간동안 안정적인 전투를 펼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상태이상 스킬과 은신을 활용하여 적의 허점을 노리는 전투가 가능하다.[18]
대표무기 : 활
아이덴티티 : 실버호크 소환
호크 게이지는 전투 중에 서서히 충전되고 호크 게이지를 모두 충전하면 실버호크를 소환할 수 있다. 실버호크는 주위의 적을 자동으로 공격하며 실버호크 전용 스킬을 사용해 다양한 적의 공격에 대처할 수 있다. 실버호크와 함께하는 전투는 장기전에서 유리한 상황을 만들어준다.[18]
스카우터
스카우터는 아르데타인의 첨단 기술을 활용하여 전투를 수행하는 클래스다. 스카우터는 냉정하고 침착하게 고도의 기술을 구사한다. 특히, 아르데타인 기술의 집약체인 드론을 이용한 공격은 적을 분석하고 궤멸시키는데 한 치의 오차도 허용하지 않을 만큼 정확하다.[19]
대표무기 : 서브 머신건, 드론
아이덴티티 : 드론과 배터리
드론과 배터리 아르데타인의 첨단기술로 무장한 스카우터는드론을 이용해 전투를 진행한다. 드론은 배터리를 소모하여 폭발적인 전투 및 전술을 가능하게 한다. 정교한 조작으로 사각을 파고드는 공격은 적을 순식간에 궤멸한다. 하이퍼 싱크 코어 에너지가 가득 차면 스카우터는 자신의 드론을 슈트로 변형시켜 장착할 수 있다. 하이퍼 싱크 상태에 돌입한 스카우터는 기동성과 화력이 비약적으로 증가하여 레이저와 빔으로 순식간에 다수의 적을 섬멸할 수 있다.[19]
헌터 (여) - 건슬링어
건슬링어
건슬링어는 세 가지 총기를 사용하여 빠르게 움직이며 스타일리쉬한 전투를 펼치는 원거리 클래스이다. 대상과의 거리, 혹은 공격하고자 하는 범위에 따라 그에 알맞은 스탠스를 선택하여 더블 핸드건, 샷건, 라이플로 가장 효과적인 전투를 만들어 낼 수 있다.[20]
대표무기 : 샷건, 더블 핸드건, 라이플
아이덴티티 : 퀵 스탠스
퀵 스탠스 건슬링어는 세 가지 총기를 상황에 따라 자유자재로 변경하며 전투할 수 있다. 각 무기에 대응되는 스킬이 존재하며, 핸드건의 경우 넓은 범위를 빠르고 화려하게 공격할 수있고, 샷건은 가까운 적에게 강력한 대미지를 선사하며, 라이플은 멀리 떨어진 적을 견제하거나, 마무리 일격을 날리기에 적합하다.[20]
마법사
마법사는 신비로운 마법 스킬로 적들을 공격하는 원거리 클래스다.
마법사 - 바드, 서머너, 아르카나, 소서리스
바드
바드는 성스러운 하프를 이용하여 적을 공격하거나 아군을 서포트하는 원거리 서포트형 클래스이다. 날카로운 음율로 적을 공격하기도 하고, 아름다운 운율로 아군을 치유하며, 파티에서는 선봉보다는 후방에서 아군을 돕거나 각종 버프를 이용해 아군을 지원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공격력은 다소 낮은 편이지만 아군을 지원하는 능력이 매우 뛰어나기 때문에 파티에서 꼭 필요로 하는 클래스이다.[21]
대표무기 : 리아네 하프
아이덴티티 : 세레나데
바드는 세레나데 스킬이라는 특수한 스킬을 보유하고 있는데 이 스킬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세레나데 버블이 필요하다. 세레나데 버블은 최대 3개로 이루어져 있고, 세레나데 버블 1개를 소모하여 세레나데 스킬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세레나데 스킬은 파티원의 공격력을 증가시키거나, 체력을 회복시키는데 사용된다.[21]
서머너
서머너는 보조 딜러나 탱커 역할을 담당할 수 있는 다양한 정령들과 함께 전투를 전개해 나가는 원거리 클래스이다. 체력과 방어력이 낮아서 일정거리 이상을 유지하며 전투를 하는 것이 좋고, 만약 적들에게 거리를 잡히면 치명적일 수 있으나, 서머너가 가진 다양한 마법 스킬과 정령들을 적절히 조합한다면 위협적인 상황은 허용조차 되지 않을 것이다.[22]
대표무기 : 매직 스태프
아이덴티티 : 고대정령 소환
거대하고 강력한 고대의 정령들을 소환할 수 있다. 고대의 기운을 모으면 정령의 구슬이 생성되는데 이 구슬의 소모량에 따라서 보다 강력한 고대의 정령을 소환할 수 있게 된다. 상황에 맞춰 강력한 고대의 정령들을 소환하여 전투를 지배해보세요.[22]
아르카나
아르카나는 마법사 클래스로 체력과 방어력이 약해 위험에 쉽게 노출 되기도 하는 반면, 현란하고 빠른 몸놀림으로 중거리 전투에서 강력한 모습을 보이며, 다이나믹한 전투로 상대를 유린 할 수도 있는 클래스이다. 스킬 한방 한방이 강력하진 않지만, 적에게 카드의 마력이 담긴 스택트 효과를 쌓고, 루인 스킬을 이용하여 스택트 효과를 폭발시킴으로 증폭된 대미지를 선사할 수 있다.[23]
대표무기 : 마법 덱
아이덴티티 : 카드 덱
카드 게이지가 가득차면 카드 덱 안에서 랜덤하게 한장의 카드를 뽑을 수 있다. 카드 덱 안에는 다양한 효과를 가진 카드들이 존재 하지만, 어떠한 카드가 나올지는 아무도 알 수 없기에, 뽑힌 카드가 무엇인가에 따라서 전장의 운명은 크게 뒤바뀔 수 있다.[22]
소서리스
소서리스는 세 가지 원소를 기본으로 한 강력한 마법을 다루는 클래스다. 소서리스는 광역 마법을 사용해 다수의 적을 손쉽게 처리할 수 있으며, 캐스팅 마법으로 강력한 적에게 높은 피해를 선사할 수도 있다. 신비한 마력 게이지를 획득해 얻을 수 있는 아이덴티티를 잘 활용한다면 전장을 지배하는 영웅이 될 수 있다.[24]
대표무기 : 마력 방출/점멸
아이덴티티 : 롱 스태프
마력 방출/점멸 소서리스는 적에게 스킬을 적중 시킬 때마다, 신비한 마력 게이지를 획득할 수 있고 마력 방출 및 점멸을 사용할 수 있다. 마력 방출 스킬은 원소 마법을 강화하고 캐스팅 시간을 줄일 수 있는 유용한 스킬이며, 점멸 스킬은 특정 지점으로 빠르게 이동할 수 있는, 보스 몬스터까지도 관통이 가능한 기술이다.[24]
암살자
암살자는 재빠른 움직임과 다채로운 공격을 통해 적들을 습격하는 근거리 클래스다.
암살자 - 데모닉, 블레이드, 리퍼, 소울이터
블레이드
블레이드는 쌍검과 장검, 총 세개의 검을 사용하는 암살자입니다. 항상 차분한 이성을 유지하며, 날렵한 쌍검과 묵직한 장검에 혼돈의 힘을 담아 빠르고 절도 있게 적들을 공격한다. 특히, 쌍검과 장검을 활용한 연계 공격은 숨쉴 틈 없는 공격을 난사해 적을 제압한다.[25]
대표무기 : 블레이드 아츠
아이덴티티 : 검
블레이드 아츠 블레이드는 공격 및 특정 스킬 적중 시, 블레이드 오브 게이지를 획득하고, 블레이드 오브가 한 개 이상 채워지면 블레이드 아츠 상태에 돌입할 수 있다. 블레이드 아츠 상태가 되면 블레이드 오브 게이지에 따라 공격속도, 이동속도 및 적에게 주는 피해가 상승하고 블레이드 아츠 상태 중에만 사용 가능한 강력한 블레이드 버스트 스킬을 사용할 수 있다.[25]
데모닉
데모닉은 거대한 무기 ‘데모닉 웨폰’을 사용하여 적들을 무참히 베는데 특화된 암살자다. 절제를 위주로 싸우는 블레이드와는 달리, 혼돈의 힘을 적극적으로 해방해 싸우는 것이 특징이다. 스킬이 적중하여 잠식 게이지가 차면 내재된 악마성이 완전히 해방, 혼돈의 힘을 사용할 수 있다.[26]
대표무기 : 데모닉 웨폰
아이덴티티 : 악마화
악마화 내제된 악마성을 해방한 데모닉은 일정시간 동안 매우 파괴적인 힘을 가지게 된다. 또한, 늘어난 체력과 속도로 적을 압도하는 플레이가 가능하며, 데몬 클로를 이용한 새로운 전투 스타일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26]
리퍼
리퍼는 대거를 이용해 단검 스킬과 그림자 스킬을 구사하는 암살자 클래스다. 리퍼는 날렵한 움직임을 이용해 적을 습격하여, 적에게 공포를 선사한다. 다양한 독을 사용하여 지속적인 피해를 줄 수도 있고, 은신을 통해 은밀하게 적의 배후로 이동해 강력한 공격을 할 수도 있다.[27]
대표무기 : 대거
아이덴티티 : 페르소나
페르소나 어둠 게이지를 가득 채우면 자신과 동일한 분신 페르소나를 소환해 은신할 수 있다. 은신 시간이 지속될수록 더욱 강한 공격이 가능하다. 또한, 페르소나를 사용하지 않고 공격을 계속한다면 혼돈 게이지를 채울 수 있다. 혼돈 게이지가 가득 차면 혼돈 상태가 되어 더욱 빠르고 치명적인 공격을 사용할 수 있다. 어느 쪽을 선택하든 당신의 존재는 적에게 공포로 각인된다.[27]
소울이터
7월 19일 업데이트 예정
스페셜리스트
스페셜리스트는 자연과 소통하여 고유 기술로 적을 제압하는 클래스다.
스페셜리스트 - 도화가, 기상술사
도화가
도화가는 붓에서 나오는 환영의 힘으로 전략적 운용이 가능한 서포터형 클래스다. 붓과 먹물로 적을 공격하거나 그림을 통해 다양한 신수를 불러낼 수 있다. 공격력은 다소 낮은 편이지만 환영의 힘으로 아군을 위험에서 구해 전장의 후방을 든든하게 지원해 주는 클래스다.[28]
대표무기 : 저무는 달 / 떠오르는 해
아이덴티티 : 붓
저무는 달 / 떠오르는 해 도화가는 적에게 스킬을 적중 시킬 때마다 조화 게이지를 획득할 수 있고 가득 채울 경우 조화의 구슬을 최대 3개까지 생성한다. 이후 조화의 구슬을 소모하며 저무는 달 및 떠오르는 해를 사용할 수 있다. 저무는 달 스킬은 필법의 힘으로 즉시 파티원 다수를 강화시킬 수 있고, 떠오르는 해 스킬은 묵법의 힘으로 단일 파티원의 체력을 회복시키는 해 구슬을 만들어내는 기술이다.[28]
기상술사
기상술사는 신비로운 환영의 힘으로 기상을 다루고 우산을 활용하여 적을 제압하는 클래스다. 변덕스러운 날씨를 이용해 특정 위치에 있는 적을 공략하거나, 우산을 접고 펼치는 화려한 움직임으로 근거리 적들을 제압하는 전투를 할 수 있다.[29]
대표무기 : 우산
아이덴티티 : 여우비
여우비 기상술사는 적에게 스킬을 적중시킬 때마다 빗방울 게이지를 획득할 수 있고, 가득 채울 경우 여우비를 사용할 수 있다. 여우비를 사용하면 일정 시간 동안 기본 공격 및 이동기가 변화되고 주변의 적에게 지속적인 피해를 주는 한편, 자신과 파티원이 받는 피해 또한 감소시킬 수 있다.[29]
게임 플레이
모험과 수집
화폐
실링 : 로스트아크 게임의 가장 기본적인 화폐이다. 가장 기본적인 획득처는 몬스터 사냥을 통하여 획득하는 것이지만 시간대비 효율이 매우 안 좋아서 대부분 실리안의 지령인 큐브 혹은 엘리트 큐브 클리어를 통한 보상으로 획득한다. 현물재화인 골드를 가지고 골드 상점에서 100골드 당 10,000실링으로 교환할 수 있다. 장비의 연마나 특성 변화 등 캐릭터를 강하게 해주는 요소들은 전부 실링으로 구매를 하여야 한다.
골드 : 유저간 유일하게 거래되는 현물재화이다. 아바타, 배틀아이템, 수집품 등 판매 할 수 있는 모든 것들을 경매소를 통하여 올리고 유저들간의 거래가 골드로 이루어진다.
깃털 : 가디언 레이드에서 사망 할 시 죽은 자리에서 즉시 부활 할 수 있도록 만들어주는 화폐이다. 카드 배틀, 메인 퀘스트를 통하여 수급할 수 있지만 수량이 제한되어 있어서 대부분 캐쉬 형태로 파는 것을 구매한다.
해적 주화 : 항해 컨텐츠인 인양, 수중탐사, 작살, 난파선을 통하여 얻을 수 있는 화폐이며 해적 주화를 통하여 선박 수리, 선원 구입, 섬의 마음 구입, 호감도 아이템 등 다양한 사용처가 있는 유용한 화폐이다.
인연의돌
시즌2 가되면서 개선된겄으로 인연의돌로 호감도 상자를 교환할 수 있다
모험의서
프롤로그와 전직을 끝마치게 되면 진행할 수 있는 컨텐츠다. 각 대륙마다 모험의서가 존재하고 메인퀘스트, 수집품, 요리, 뷰포인트, 던전, 몬스터, 보스, 또 다른 이야기, 숨겨진 이야기, 호감도, 스퀘어홀 등의 다양한 수집품들이나 조건들을 달성하면 해당 대륙의 모험의 서 달성도가 올라간다.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마다 얻을 수 있는 다양한 보상들이 존재한다.
거인의 심장
오래전 포튼쿨 전쟁에서 사망한 거인의 심장으로 세상에 몇 개 밖에 존재하지 않는 매우 귀중한 존재다. 퀘스트, 모험의 서, 특정 NPC의 호감도 신뢰, 유령선, 실리안의 지령, 특정 상인에게 구입 등을 통하여 획득할 수 있고 지혜의 섬의 NPC인 미네르바를 통하여 아이템을 교환 할 수 있다. 현재 15개의 거인의 심장중 13개만 구현이 되어있어서 14개 15개의 보상은 획득하지 못한다. 아래는 개수 별로 교환 가능 한 아이템 목록이다.
해적주화 500개
아르테미스 성수
섬의 마음 퀘스트 (지혜의 섬)
추락한 거인의 반지
회생 (돛문양)
각성 각인서 I
가라앉은 과거의 반지
아나벨 카드
선원 코이오스
추락한 거인의 목걸이
각성 각인서 II
추락한 거인의 귀걸이
푸른 심장 열매
각성 각인서 III
거인의 비밀 상자
위대한 미술품
오래전 예술의 도시 플레체에서 도난 당한 40개의 미술품들을 모험의서, 호감도, 인양, 수중탐사, 퀘스트등으로 모아서 해바라기 섬의 NPC 알폰소 베디치에게 가져다 주어 아이템으로 교환하는 콘텐츠다. 아래는 획득 가능한 아이템 목록이다.
2개 : 20,000 실링
4개 : 해적주화 500개
6개 : 장인의 망치 I 10개
8개 : 500골드
10개 : 해바라기 섬의마음
12개 : 각인도구 I 3개
14개 : 기에나 선원의 증표 50개
16개 : 선원 길잡이 다쿠쿠
18개 : 기에나 설계도 상자 3개
20개 : 이중도약 각인서
22개 : 20,000 실링
24개 : 해적주화 1000개
26개 : 선원 망루꾼 클라크
28개 : 700골드
30개 : 이중 도약 각인서 II
32개 : 돛문양 정교함
34개 : 프로키온 선원의 증표 99개
36개 : 선원 시몬 2세
38개 : 프로키온 설계도 상자 3개
40개 : 선원 정찰꾼 코이오스
모코코 씨앗
토토이크 대륙에서 만들어진 소중한 씨앗이다. 하지만 불의의 사고로 전대륙으로 퍼지게 되었고 이렇게 전대륙에 흩어진 씨앗들을 찾아서 모코코마을의 촌장인 토토마에게 가져다 주는 컨텐츠이다. 각 대륙별 필드마다 모코코 씨앗이 숨어 있고 유저들은 이 씨앗을 찾는다는 설정인데 모코코 씨앗이 그늘이나 물체에 가려져있거나 지도에 표시되어 있지 않은 숨겨진 장소에 숨어 있는 경우가 많아서 논란이 많은 컨텐츠다. 아래는 획득 가능한 아이템 목록이다.
50개 : 토토마 카드
100개 : 친절 증가 물약
150개 : 영지 선원 지원서 : 치카치카
200개 : 체력 증가 물약
250개 : 선원 지원서 : 코코리코
300개 : 능력치 증가 물약
350개 : 모카모카 카드
400개 : 낙원의 기사 자격증
450개 : 프뉴마 설계도 15개
500개 : 영지 선원 지원서 : 무코무코
550개 : 수줍은 바람 꽃가루 (전설 호감도 아이템)
600개 : 프뉴마 설계도 20개
650개 : 선원 지원서 : 포이포이
700개 : 전설 칭호 "모코코 사냥꾼"
750개 : 설치물 : 모코코 씨앗 기념비
800개 : 변신 : 창조의 알
850개 : 영지 선원 지원서 : 다정한 파루루
900개 : 벽지 : 모코코 마을
950개 : 위대한 미술품 #32
1000개 : 선박 스킨 : 블루밍 프뉴마
1050개 : 선원 지원서 : 나리나리
1100개 : 전설 칭호 "기분 좋은 향기"
1150개 : 위대한 미술품 #44
1200개 : 변신 : 모코코 씨앗
1250개 : 별난 모코코 이모티콘 팩
1300개 : 모코코 마을
1350개 : 설치물 : 잘자요 모코코 무드등
섬의 마음
섬마다 섬의 마음을 얻을 수 있는 다양한 조건들이 존재한다. 특정 NPC호감도 신뢰달성, 퀘스트 진행, 특정화폐를 통하여 구매, 플레이어간 경쟁 혹은 협동 등의 여러 가지 조건들이 존재하며 특정 조건을 이행 했을 때 얻을 수 있다. 현재 80개의 섬의마음을 획득할 수 있고 외로운 섬 오페르의 NPC인 바욤을 통하여 수집한 섬의 마음을 등록하고 아이템으로 교환 할 수 있다. 아래는 획득 가능한 아이템 목록이다.
조화의 인도 귀걸이
스킬 포인트 +3 물약
조화의 축복 장갑
조화의 축복 견갑
조화의 축복 머리장식
조화의 축복 하의
조화의 축복 상의
조화의 축복 무기
오페르의 선물 I
크림슨네일의 반짝이는 동전 2개 (한개당 500개의 해적주화 획득 가능)
조화의 굴레 반지
오페르의 선물 I
조화의 축복 목걸이
기에나 선원의 증표 99개
조화의 맹세 반지
오페르 선박 재료 설계 상자
오페르의 선물 I
선박 업그레이드 상자 I
조화의 선율 귀걸이
승리의 문장 상자
조화의 전승 귀걸이
오페르의 증표선택 상자
오페르의 선물 I
조화의 서약 반지
여신의 가호 각인서 I
조화의 손길 장갑
조화의 손길 견갑
조화의 손길 머리 장식
조화의 손길 하의
조화의 손길 상의
조화의 손길 무기
오페르의 선물 II
명예의 가호 귀걸이
오페르의 선물 II
명예의 지배 목걸이
명예의 지배 귀걸이
오페르의 섬 화폐 선택 상자 2개
오페르의 선물 II
오페르의 증표 선택 상자 2개
크림슨네일의 반짝이는 동전 8개
명예의 매듭 반지
오페르의 선물 II
빛나는 승리의 문장 상자
명예의 긍지 반지
탈 것 황금이끼 거북
명예의 인정 귀걸이
조화의 장갑 제작법
조화의 견갑 제작법
조화의 투구 제작법
조화의 하의 제작법
조화의 상의 제작법
조화의 무기 제작법
오페르의 선물 II 2개
오페르의 증표 선택 상자 3개
열세 번째의 거인의 심장
명예의 부름 귀걸이
오페르의 선물 II 2개
돛문양 엇갈린 염원
오페르 진실의 돌 선택 상자
명예의 증명 목걸이
돛문양 탐험의 끝
오페르 선원 증표 선택 상자
여신의 가호 각인서 II
기에나의 가호
선원지원서 여장부 쥬드
선박 업그레이드 상자 II
오페르 증표선택 상자 5개
감정표헌 파도의 춤
돛문양 느슨한 결속
선원지원서 벨로나
던전
가디언 레이드
특정 장비를 얻기 위하여 4인으로 구성된 조합으로 입장하는 던전 컨텐츠이다. 목숨이 4인 기준 3개 뿐이기 때문에 각 플레이어들은 가디언들의 패턴을 유심히 잘 살펴서 피할 줄 알아야된다. 가디언 레이드부터 상당한 배틀 아이템들이 요구되는데 그 중에서도 가장 많이 요구되는 배틀 아이템은 당연히 물약이고 그담으로는 가디언의 위치를 찾기 위한 신호탄이 가장 많이 요구된다.
레이드 지역
짙은 안개 능선
붉은 모래 사막
혹한의 안식처
등장하는 가디언
1티어
루메루스 (아이템 레벨 : 255~274)
우르닐 (아이템 레벨 : 275~294)
빙결의 레기오스 (아이템 레벨 : 295~314)
어둠의 레기오스 (아이템 레벨 : 315~324)
2티어
크로마니움 (아이템 레벨 : 325~334)
나크라세나 (아이템 레벨 : 335~354)
헬가이아 (아이템 레벨 : 355~374)
베르투스 (아이템 레벨: 375~384)
3티어
레바노스 (아이템 레벨: 385~394)
레기오로스 (아이템 레벨 : 395~414)
칼벤투스 (아이템 레벨 : 415~434)
용암 크로마니움 (아이템 레벨 : 435~449)
4티어
중갑 나크라세나 (아이템 레벨 : 450~459)
홍염의 요호 (아이템 레벨 : 460~479)
혹한의 헬가이아 (아이템 레벨 : 480~499)
타이탈로스 (아이템 레벨 : 500~549)
5티어
흑야의 요호 (아이템 레벨 : 545이상)
벨가누스 (아이템 레벨 : 545이상)
칼엘리고스 (아이템 레벨 : 545이상)
미구현 가디언들 (CBT에서 존재하였지만 아직 나오지 않았다)
아카테스 (2019.4.24 NEXT UPDATE ROADMAP에서 앞으로 추가 예정이라고 공지됐다)
절망의 베르투스
요구 사양
요구 사양은 다음과 같다.[30]
항목 최소사양 권장사양
운영 체제 윈도우 7 SP1 이상 (64bit 운영체제만 지원)
CPU Intel i3이상 / Ryzen 3이상 Intel i5이상 / Ryzen 5이상
그래픽 카드 NVIDIA GeForce GTX 460 이상
1080P FHD: NVIDIA GeForce GTX 660, GeForce GTX 1050
1440P QHD: NVIDIA GeForce RTX 2070
Ultra Specs(4K, UHD): NVIDIA GeForce RTX 2080
RAM 4GB 이상 8GB 이상
DirectX DirectX 9.0c 이상 (2010 6월)
사건 사고
2021년 6월 12일 DoS 공격으로 인하여 게임이 비정상적으로 종료되거나 접속 자체가 안되는 일이 발생하였다.[31]
2021년 11월 25일 내부 정보를 유출한 스마일게이트 RPG 직원이 해고당하는 사건이 발생하였다.[32][33]
각주
이종훈 (2014년 11월 20일). “지원길 대표, "액션 손맛이 끊기지 않는 MMO가 목표"”. 인벤. 2018년 11월 18일에 확인함.
박태학 (2017년 6월 29일). “'상남자에 누님까지?!' 로스트아크, 신규 클래스 3종 및 개선안 발표”. 인벤. 2018년 11월 18일에 확인함.
임영택 (2018년 11월 15일). “로스트아크, 인기 지속…동접 35만 돌파…신규 서버 `안타레스` 추가”. 매경게임진. 2018년 11월 18일에 확인함.
송예원 (2016년 8월 18일). “로스트아크, 24일 1차 CBT 시작”. THIS IS GAME. 2018년 11월 18일에 확인함.
류종화 (2019년 11월 27일). “지금까진 테스트, 로스트아크 '정식 서비스' 12월 시작한다”. 게임메카. 2021년 11월 3일에 확인함.
“로스트아크 - 클래스(디스트로이어)”. 《STOVE》. 2019년 6월 3일. 2019년 6월 3일에 확인함.
“로스트아크 - 클래스(워로드)”. 《STOVE》. 2019년 6월 3일. 2019년 6월 3일에 확인함.
“로스트아크 - 클래스(버서커)”. 《STOVE》. 2019년 6월 3일. 2019년 6월 3일에 확인함.
“로스트아크 - 클래스(홀리나이트)”. 《STOVE》. 2023년 6월 24일. 2023년 6월 24일에 확인함.
“로스트아크 - 클래스(슬레이어)”. 《STOVE》. 2023년 6월 24일. 2023년 6월 24일에 확인함.
“로스트아크 - 클래스(스트라이커)”. 《STOVE》. 2023년 6월 24일. 2023년 6월 24일에 확인함.
“로스트아크 - 클래스(배틀마스터)”. 《STOVE》. 2019년 6월 3일. 2019년 6월 3일에 확인함.
“로스트아크 - 클래스(인파이터)”. 《STOVE》. 2019년 6월 3일. 2019년 6월 3일에 확인함.
“로스트아크 - 클래스(기공사)”. 《STOVE》. 2019년 6월 3일. 2019년 6월 3일에 확인함.
“로스트아크 - 클래스(창술사)”. 《STOVE》. 2019년 6월 3일. 2019년 6월 3일에 확인함.
“로스트아크 - 클래스(데빌헌터)”. 《STOVE》. 2019년 6월 3일. 2019년 6월 3일에 확인함.
“로스트아크 - 클래스(블래스터)”. 《STOVE》. 2019년 6월 3일. 2019년 6월 3일에 확인함.
“로스트아크 - 클래스(호크아이)”. 《STOVE》. 2019년 6월 3일. 2019년 6월 3일에 확인함.
“로스트아크 - 클래스(스카우터)”. 《STOVE》. 2023년 6월 24일. 2023년 6월 24일에 확인함.
“로스트아크 - 클래스(건슬링어)”. 《STOVE》. 2023년 6월 24일. 2023년 6월 24일에 확인함.
“로스트아크 - 클래스(바드)”. 《STOVE》. 2019년 6월 3일. 2019년 6월 3일에 확인함.
“로스트아크 - 클래스(서머너)”. 《STOVE》. 2019년 6월 3일. 2019년 6월 3일에 확인함.
“로스트아크 - 클래스(아르카나)”. 《STOVE》. 2019년 6월 3일. 2019년 6월 3일에 확인함.
“로스트아크 - 클래스(소서리스)”. 《STOVE》. 2023년 6월 24일. 2023년 6월 24일에 확인함.
“로스트아크 - 클래스(블레이드)”. 《STOVE》. 2023년 6월 24일. 2023년 6월 24일에 확인함.
“로스트아크 - 클래스(데모닉)”. 《SOTVE》. 2023년 6월 24일. 2023년 6월 24일에 확인함.
“로스트아크 - 클래스(리퍼)”. 《SOTVE》. 2023년 6월 24일. 2023년 6월 24일에 확인함.
“로스트아크 - 클래스(도화가)”. 《STOVE》. 2023년 6월 24일. 2023년 6월 24일에 확인함.
“로스트아크 - 클래스(기상술사)”. 《STOVE》. 2023년 6월 24일. 2023년 6월 24일에 확인함.
“권장 PC 사양 안내”. 2018년 11월 18일에 확인함.
출처: 로스트아크 홈페이지
내부 직원의 정보 유출 정황에 대한 조치사항 안내 출처: 로스트아크 홈페이지
스마일게이트, 로스트아크 패치 유출 직원 해고 조치 출처: 디스이즈게임
외부 링크
로스트아크 위키데이터에서 편집하기 - 공식 웹사이트
https://ko.wikipedia.org/wiki/%EB%A1%9C%EC%8A%A4%ED%8A%B8%EC%95%84%ED%81%AC 위키백과
오버워치(영어: Overwatch)는 블리자드 엔터테인먼트가 개발 및 배급한 팀 기반의 1인칭 슈팅 게임이다. 2016년 5월 24일에는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 플레이스테이션 4, 엑스박스 원으로 출시되었고, 2019년 10월 15일에는 닌텐도 스위치 버전으로 출시하였다.
"영웅 슈터"로 묘사되는 오버워치는 플레이어를 6명으로 구성된 두 팀에 배정했으며, 각 플레이어는 "영웅"이라고 알려진 대규모 캐릭터 명단에서 고유한 능력을 가진 캐릭터를 선택했다. 팀은 제한된 시간 내에 지도별 목표를 완료하기 위해 노력했다. 블리자드는 출시 후 새로운 캐릭터, 지도, 게임 모드를 모두 무료로 추가했으며, 플레이어가 치장 아이템을 구매할 수 있는 옵션 전리품 상자만 추가 비용으로 지불했다.
오버워치는 블리자드의 네 번째 주요 프랜차이즈로 2014년 대규모 멀티플레이어 온라인 롤플레잉 게임인 타이탄(Titan)이 취소된 이후 탄생했다. 타이탄 팀의 일부는 팀 포트리스 2와 같은 팀 기반 1인칭 슈팅 게임의 성공과 멀티플레이어 온라인 배틀 아레나 게임의 인기에 영감을 받아 팀워크를 강조하는 영웅 기반 슈팅 게임을 만들었다. 오버워치의 일부 요소는 취소된 타이탄 프로젝트의 개념을 차용했다.
오버워치는 2014년 블리즈컨(BlizzCon) 이벤트에서 공개되었으며 2015년 말부터 2016년 초까지 비공개 베타 버전으로 진행되었다. 출시 전 공개 베타 버전에는 거의 천만 명의 플레이어가 참여했다. 오버워치는 게임의 접근성, 영웅 캐릭터의 다양한 매력, 만화 같은 아트 스타일, 즐거운 게임 플레이로 인해 게임의 평론가들로부터 보편적인 호평을 받았다. 블리자드는 출시 첫 해에 미화 10억 달러 이상의 매출을 기록했으며 3년 후에는 5천만 명 이상의 플레이어를 확보했다. 오버워치는 수많은 올해의 게임 상과 기타 찬사를 받으며 지금까지 만들어진 최고의 비디오 게임 중 하나로 간주된다. 이 게임은 블리자드가 자금을 지원하고 글로벌 오버워치 리그를 제작하는 인기 e스포츠이다.
속편인 오버워치 2는 2019년에 발표되었고 2022년에 베타 버전에 진입했다. 이 게임은 무료로 플레이할 수 있으며, 오버워치의 모든 장식 아이템이 이어지며 새로운 영웅, 맵, 게임 모드가 도입된다. 2022년 10월 3일, 다음날 오버워치 2 출시를 준비하기 위해 오버워치 서버가 종료되었다.
게임플레이
<nowiki /> 이 부분의 본문은 오버워치의 게임 방식입니다.
오버워치는 일반적으로 1인칭 슈팅 게임으로 진행되는 온라인 팀 기반 게임이었다. 이 게임은 여러 가지 게임 모드를 특징으로 하며, 주로 각각 6명의 플레이어로 구성된 두 팀이 상대하는 분대 기반 전투를 중심으로 설계되었다. 플레이어는 세 가지 클래스 유형 중 하나에서 사전 제작된 20여 명의 영웅 캐릭터 중 하나를 선택했다. 즉, 제어 지점을 공격하거나 방어할 때 대부분의 피해를 주는 데미지 영웅, 많은 양의 피해를 흡수할 수 있는 탱크 영웅, 제공하는 지원 영웅이다. 각 영웅은 체력, 달리기 속도, 기본 공격, 여러 활성 및 수동 기술, 실행 후에만 사용할 수 있는 궁극적인 능력과 같은 고유한 속성을 정의하는 고유한 스킬 키트를 가졌다. 적에게 피해를 입히고 아군을 치유함으로써 충전되었다. 오버워치 디자인의 목표는 상황에 적응하는 역동적인 팀 구성을 장려하는 것이었기 때문에 플레이어는 경기가 진행되는 동안 자신의 영웅을 변경할 수 있었다. 게임 장르는 특정 영웅과 클래스를 중심으로 한 디자인으로 인해 일부 언론인에 의해 "영웅 슈터"로 묘사되었다.
이 게임에는 캐주얼 플레이, 순위 경쟁 플레이, 블리자드의 오버워치 리그를 포함한 e스포츠 대회 지원을 위한 게임 모드가 포함되어 있다. 이러한 모드는 일반적으로 맵의 지점 제어권을 순차적으로 확보하거나 맵의 지점 사이에서 페이로드를 호위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한 팀은 공격하고 다른 팀은 방어한다. 캐주얼 매치를 위해 마련된 다른 모드로는 솔로 및 팀 데스매치, 깃발 탈환, 다양한 시즌 이벤트 중에 실행되는 고유 모드가 있다. 최신 업데이트를 통해 사용자는 제한된 스크립팅 도구 세트를 사용하여 자신만의 게임 모드를 만들 수 있었다. 경기의 승리 또는 패배에 관계없이 플레이어는 플레이어 레벨에 대한 경험치를 얻었고, 새로운 레벨을 얻으면 영웅 캐릭터의 외모를 사용자 정의하는 데 사용할 수 있지만 게임 플레이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장식 아이템이 포함된 전리품 상자를 받았다. 전리품 상자는 소액 결제를 통해 구매할 수도 있다.
줄거리
<nowiki /> 이 부분의 본문은 오버워치의 캐릭터입니다.
오버워치는 "옴닉 위기"(Omnic Crisis) 사건이 해결된 지 30년 후인 가상의 지구의 미래 60년을 배경으로 한다. 옴닉 사태 이전 인류는 번영과 기술 발전의 황금기를 누리고 있었다. 인간은 '옴닉'이라는 인공지능을 탑재한 로봇을 개발해 경제적 평등을 이루기 위해 활용됐고, 인간으로서 인간대우를 받기 시작했다. 옴닉 위기는 이를 생산하는 전 세계적으로 자동화된 "옴니움" 시설이 인류를 공격하는 치명적이고 적대적인 일련의 로봇을 생산하기 시작하면서 시작되었다. 개별 국가의 노력이 옴닉을 막는 데 실패하자 UN은 신속하게 이 위협에 맞서 싸우고 질서를 회복하기 위해 고안된 국제 태스크포스인 오버워치를 창설했다.
군인 강화 프로그램의 베테랑 병사 두 명, 가브리엘 레예스(Gabriel Reyes)와 잭 모리슨(Jack Morrison)이 오버워치를 맡았다. 오버워치는 로봇 봉기를 성공적으로 진압하고 재능 있는 많은 개인을 최전선으로 데려왔지만, 모든 사람들이 더 인기 있는 모리슨을 진정한 리더로 보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레예스가 그룹의 공식 리더가 되었기 때문에 레예스와 모리슨 사이에 균열이 발생했다. 결국 모리슨은 오버워치의 리더가되었고 레예스는 오버워치의 비밀 작전 부서인 블랙워치를 맡아 두 번째 옴닉 위기를 시작하려는 그룹 탈론과 옴닉스 그룹 인 널 섹터(Null Sector)와 같은 테러 조직과 싸우는 책임을 맡았다. 오버워치는 팀이 더 많은 멤버를 확보하면서 "오버워치 세대"라고 불리게 된 이후 수십 년 동안 전 세계의 평화를 계속 유지했지만 모리슨과 레예스 사이의 균열은 더욱 심해졌다. 어느 날 밤, 블랙워치는 탈론과 관련된 악명 높은 마피아를 체포하기 위해 파견되었다. 감옥에 잠입한 후, 레예스는 마피아가 감옥에서 탈출할 수 있도록 허용하기보다는 마피아를 처형하기로 결정했다. 이 행동으로 인해 블랙워치와 그들의 덜 영웅적인 행동이 대중에게 노출되었다. 오버워치에서 잘못된 행위와 실패에 대한 여러 가지 주장이 제기되었고, 이는 조직에 대한 대중의 항의와 회원들 간의 내분으로 이어졌고, UN이 상황을 조사하게 되었다. 이 과정에서 폭발이 일어나 스위스에 있는 오버워치 본사가 파괴되었고, 모리슨과 레예스 등이 사망한 것으로 알려졌다. UN은 오버워치를 해체하고 오버워치 유형의 활동을 금지하는 페트라스법(Petras Act)을 통과시켰다.
오버워치는 페트라 법이 제정된 지 6년 후를 배경으로 한다. 오버워치가 없으면 기업들이 장악하기 시작했고, 전 세계 곳곳에서 전투와 테러가 발생했으며, 러시아에서 두 번째 옴닉 위기가 일어날 조짐이 나타나고 있다. 오버워치의 전 멤버였던 지능적인 고릴라 윈스턴은 페트라 법에도 불구하고 다시 한 번 평화를 수호하기 위해 오버워치를 개혁하기로 결정하고 팀원들은 오랜 친구를 모집하고 그들의 싸움에서 새로운 동맹을 얻는다. 레예스와 모리슨은 전투로 인한 폭발로 사망하지 않은 것으로 밝혀졌다. 모리슨은 오버워치가 종료된 이유를 밝히기 위해 노력하는 "솔저 : 76"이라는 가면을 쓴 자경단이 되었고 레예스는 탈론에 합류했다. 그 결과 그는 죽음과 같은 외모를 가진 테러리스트 "리퍼"가 된 모이라에게 실험을 받게 된다.
개발
"오버워치"의 개발은 블리자드가 7년 간 야심차게 준비했던 대규모 다중 사용자 온라인 롤플레잉 게임 "타이탄"이 2014년 전면 백지화되면서 시작되었다.[1] 블리자드의 공동 창립자 마이클 모하임은 "타이탄"에 대한 계획을 재평가한 뒤에도 다음과 같이 말했다. "우리는 재미를 찾지 못했다. 우리는 열정을 찾지 못했다."[2] "타이탄"을 개발했던 거대한 부서는 작은 부서가 되었고, 새로운 계획을 내놓는 작업을 맡았다. "오버워치"는 1998년 "스타크래프트" 이후 블리자드가 두 번째로 시도하는 새로운 프랜차이즈 출시작이 되었다.[3][4] 크리에이티브 디렉터 크리스 멧젠은 "타이탄"과 같은 실패를 반복하지 않기 위해, "우리들은 게임의 규모와 최종 결과의 사업 기회를 무시하기 전에 그들이 이미 만들어낸 도구와 기술을 깨달으며 블리자드의 더 성공적인 게임이 어떻게 나왔어야 하는지 재고해야 했다"고 언급했다.[4] 제프 캐플런에 따르면, 팀은 브레인스토밍을 하면서 팀 내부의 많은 사람들이 플레이한 경험이 있는 1인칭 슈팅(first-person shooter, FPS)의 현 상황에 대해서 생각했다. 획기적인 작품이 많이 나왔지만 아직 혁신의 가능성이 남아있는 분야였다.[5]
캐플런은 현재 FPS 시장의 "콜 오브 듀티: 모던 워페어 2"처럼 근미래 사실주의가 게임으로 표현되는 유행, "팀 포트리스 클래식"과 "팀 포트리스 2"처럼 게임에서 로켓 점프와 갈고리와 같이 전장을 가로지르는 이동기가 등장하는 팀 기반 슈팅 유행을 언급하였다.[5] 이와 함께 승리를 위해 협동해야 하는 멀티플레이어 온라인 배틀 아레나(MOBA) 게임이 인기를 끎에 주목하면서, "팀 포트리스 2"의 대규모 속전속결식 플레이와 MOBA 본연의 소규모 협동 지향 플레이를 고찰하여 "오버워치"의 토대를 쌓았다고 밝혔다.[5] 멧젠은 "타이탄"의 개발이 취소된 충격으로 팀이 분열되었다면서, 그때 간절히 바랐던 팀워크, 함께 서로를 돕는 '사람과 장인으로서 우리를 위한 구원 이야기'를 게임 속에 녹여내고 싶었다고 말했다.[4] 모하임은 "오버워치"의 목적을 "슈팅 팬이 사랑하는 액션과 깊이를 전하면서도 더욱 넓은 범위의 사람들에게 더욱 접근하기 쉬운 굉장한 [1인칭 슈팅] 경험을 창조하는 것"이라고 설명하였다.[6] 게임의 FPS 본질에 대해 캐플런은 다음과 같이 말했다. "슈팅 게임의 핵심은 현실주의가 아니다. 실제 총으로 싸우는 것도 아니지 않나. 현실에서 일어나는 군사 분쟁을 반영할 필요는 없다."[7]
게임의 초기 개발은 최초의 영웅 '트레이서'를 제작하는 것으로 시작되었다. 이 캐릭터는 시간을 조종하는 능력을 가진 "타이탄"의 비슷한 캐릭터를 바탕으로 하였다.[8] 보조 게임 디렉터 아론 켈러에 따르면, 트레이서는 아누비스 신전을 바탕으로 만들어진 단일 전장에서 게임 내 역학이 얼마나 잘 작동하는지 시험하기 위해 사용되었다.[9] 팀은 영웅 셋(위도우메이커, 리퍼, 라인하르트)을 더 추가하여 물리 엔진을 개선하였고, 켈러는 이 단계가 현재 출시된 게임의 모습에 견주어 매우 근접한 형태였다고 밝혔다. 영웅을 이 정도만 내놓고 바로 "오버워치"를 출시할 계획도 세울 만큼 완성도가 높았다고 한다.[9]
그 대신, 팀은 나머지 영웅들과 게임의 균형, 그래픽을 개발하는 것에 2년을 더 투자하였다.[9] 영웅 간 균형에 더하여, 개발팀은 다양한 전장에서 영웅들이 활약할 입지를 찾아야 했고, 전장 곳곳에 각 영웅이 효과적일 수 있는 지역이 주어지기를 원했다.[10] 게임에 등장하는 영웅의 수는 수정되지 않은 채 21명의 영웅들로 출시되었지만, 캐플런은 팀이 역할군이 6개인 최고 40명의 영웅들까지 추가할 수 있다고 밝혔다.[5] 캐플런은 적절한 영웅과 역할의 수, 영웅 간의 균형을 파악하는 데 블리자드의 노련한 디자이너 제프 굿맨이 이룩한 공적을 인정했다.[5] 켈러의 언급에서 팀은 배정한 영웅이 15명에 가까워지자 플레이어들이 익히기에 너무 많은 수이고 모두 경험하기 힘들지 않을까 걱정하기 시작했으나, 영웅들 간의 독특성과 균형성 모두를 보장하기 위해 노력하였다.[9] 2015년 11월에 팀은 마지막 두 명의 캐릭터 메이와 D.Va를 추가로 공개하면서 게임이 출시될 준비가 충분히 되었다고 생각했다.[9]
"오버워치"에는 색맹을 위한 접근성 설정을 비롯하여, 폭넓은 사용자를 확보할 수 있는 여섯 가지 특징이 있다.[11] 개발 단계에서 중요했던 목표 하나는 플레이어를 위한 '전투의 명료성'으로, 플레이어가 새로운 지역으로 이동하면 적 캐릭터가 뚜렷하게 보이도록 했다. 이것은 플레이어가 전장에서 사용하는 색조와 채도 수준의 대조, 윤곽이 가지각색인 캐릭터들로, 멀리서도 영웅이 아군인지 적군인지 구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가능하였다.[12] 팀은 개발동안 경기 중간에 플레이어가 영웅을 바꿀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게임플레이에 중요한 역할을 함을 알아냈다. "오버워치"는 처음에 소액 결제나 다운로드 콘텐츠 구입이 포함된 부분 유료화 게임 형태로 출시를 계획했으나, 이러한 발견으로 인해 단독 구매형 게임으로 노선을 변경하였다. 켈러는 팀이 플레이어가 상황에 따라 어느 영웅으로든 교체할 수 있기를 원했고, 팀에서 아무도 영웅을 구입하지 않는다면 소액 결제나 다운로드 콘텐츠가 능력을 제한하는 것이나 다름없다고 말했다.[12] 또 소액 결제 및 다운로드 콘텐츠로 인해 게이머가 모든 플레이어 대신에 똑같은 컨텐츠를 가지고 있는 친구와만 플레이하게 되어 플레이어 공동체를 해체시킬 수 있다고도 언급하였다.[12] 개발의 더 높은 목표는 다른 경쟁 게임 환경에서 종종 일어나는 부정적 성향을 피하고, 이야기가 긍정적인 메시지를 주도록 하는 진전에 덧붙여 부정적인 영향을 준다고 느끼는 요소를 없애기 위해 게임플레이 디자인에서 명확한 선택을 하는 것이었다. 이러한 선택 중 하나는 다양한 통계 요약에서 죽임/죽음(kill/death) 표시를 없애는 것이었으며, 캐플런은 "어떤 영웅들은 활약을 위해서 죽임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라고 언급하였다.[11] 친선적인 플레이 환경을 증진시키기 위해, 블리자드는 '탈주'(경기가 끝나기 전에 일부러 나가는 행위)를 하는 플레이어에게 경기 후 경험치를 감소시키고,[13] 더 심할 경우 플레이를 영구히 금지하는 불이익을 부여한다.[14]
경쟁전 모드에 대한 블리자드의 처음 생각은 일반적인 대전 상대 찾기가 아닌 플레이어들이 자신들이 구성한 팀으로 6대6 대전을 하는 제한된 플레이로, 개인의 활약보다는 팀을 바탕으로 순위를 매기는 방식이었다. 케플런은 이것이 대전 상대 찾기와 관련된 문제, 팀의 평가가 반영되는 면에서 플레이어가 경기 중간에 탈주하는 문제를 피할 수 있을 것이라 밝혔다. 처음으로 플레이어들에게 이 개념을 공개했을 때는 부정적인 반응을 많이 받았다. 많은 플레이어들은 팀으로 구성을 이루기보다는 단독으로 경쟁할 수 있기를 바랐다.[15] 블리자드는 사용자의 반응을 수렴하여, 플레이어가 처음에 일반적으로 다섯 등급의 등급 체계에 따라 플레이했던 상대와 더 많은 경기를 하게 되었다가, 높은 등급으로 올라가면 실력에 더 바탕을 둔 진행으로 나아가게 되는 "하스스톤"과 비슷한 진행 체계로 경쟁전 모드를 다시 설계하였다. 블리자드는 베타 기간동안 이러한 접근 방법을 시험했으나, 낮은 등급의 플레이어가 매우 높은 등급의 플레이어를 상대하는 경우가 빈번하게 일어난다는 사실과, 충분히 플레이하지 않으면 플레이어의 등급이 떨어진다고 설명하지 않았음을 발견했다. 또한, 플레이어가 다른 플레이어들과 자신을 더 잘 비교할 수 있는 경쟁전 순위표의 필요성도 알게 되었다.[15] 블리자드는 출시 때 경쟁전 모드를 공개하지 않는 것을 택했고, 100점의 순위 체계로 모드를 재개발하여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였다. 이후 순위 체계를 향상시킬 다른 방법을 계속해서 모색하고 있다.[15]
출시
오버워치(영어: Overwatch)는 블리자드 엔터테인먼트가 개발 및 배급한 팀 기반의 1인칭 슈팅 게임이다. 2016년 5월 24일에는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 플레이스테이션 4, 엑스박스 원으로 출시되었고, 2019년 10월 15일에는 닌텐도 스위치 버전으로 출시하였다.
캐릭터
<nowiki /> 오버워치의 캐릭터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오버워치"에서 플레이할 수 있는 영웅은 다양성을 의도하였으며, 비인간 영웅을 비롯해 다양한 성별과 인종을 담고 있다.
캐릭터의 다양성은 개발자들에게 중요했는데, 블리자드의 이전 게임들이 이를 간과하여 비판을 받았기 때문이었다. 멧젠은 그의 딸조차 자신에게 "워크래프트"의 여성 캐릭터는 왜 수영복만 입은 것처럼 보이냐고 말했다면서,[16]"특히 "오버워치"를 위해 지난 1년간 우리는 여성 캐릭터의 과도한 성적 대상화를 지양하고자 애써야 함을 인지하고 있었다."라고 했다. 캐플런은 게임 산업에 대해 "게임이 모두를 위하는 시대임이 명백"하다고 밝히며 "사람들은 점점 더 각계 각층, 소년과 소녀, 모두가 표현되는 것을 느끼고자 한다. 우리는 그것을 존중하도록 최선을 다했음을 고맙게 느낀다."라고 설명하였다.[16] 동성애자 영웅 포함에 대한 질문에 멧젠은 다수의 성소수자 영웅이 게임에 존재한다고 확증하였으며, "우리는 이것이 유기적으로 발생하기를 원했고, 기준점이 되거나 어떤 방식으로든 부정적으로 느껴지지 않기를 바란다"라고 밝혔다.
그렇게 오버워치 크리스마스 이벤트 기념 코믹스에서 트레이서가 성소수자 영웅임이 밝혀졌다[17] 마이클 추는 이 다양한 영웅들이 블리자드가 이뤄낸 성과라고 표현하며, "우리는 여러분이 보게 될 영웅을 다양하게 배정하고 여러 지역을 갖추고자 노력했으며, 바라건대 이 영웅들이 국가적 다양성을 넘어 그들의 개성, 배경 이야기, 직업을 보고, 사람들도 이 영웅들과 마찬가지로 그것들을 발견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기술적 특징
블리자드와 돌비 연구소 간의 협업을 통해 오디오 재생에서 Dolby Atmos 기술을 적용하였다. 헤드폰 환경에서 추가로 적용 가능한 옵션으로서, 3차원 객체 기반 음향을 적용한다.
설정 메뉴에서 헤드폰용 Dolby Atmos 옵션을 켤 시, 객체 기반 오디오 렌더링이 활성화되어 위치 인식, 환경 재현 등의 사운드 이펙트 효과가 적용된다.
기존의 다중 채널 구현과는 달리 게임 엔진에서 직접적으로 지원하기 때문에 일반적인 스테레오 헤드폰에서도 추가적인 조치 없이 사용이 가능하다.[18]
출시 및 마케팅
오버워치는 2014년 11월 7일 블리즈컨 행사에서 공식적으로 발표되었다. 이벤트 기간 동안 모든 참석자가 게임을 플레이할 수 있었으며, 14명의 캐릭터 중에서 선택할 수 있었다. 이 이벤트 동안 블리자드는 영화 예고편과 게임에 대한 확장된 게임 플레이 동영상을 공개했다. 블리즈컨 행사가 끝난 지 한 달 후인 2014년 12월, 블리자드는 유튜브 채널에 캐릭터 소개 영상을 공개했고, 2015년 5월에는 게임 영상과 캐릭터 하이라이트를 담은 주간 영상을 게시했다.
세 가지 플랫폼 모두에 걸쳐 오버워치의 비공개 베타 기간이 2015년 10월 27일에 시작되었다. 비공개 베타 기간은 12월에 "연장 중단" 상태가 되었다가 2016년 2월에 다시 시작되었다. 2016년 3월 출시 발표에 이어 블리자드는 공개 베타 기간을 2015년 10월 27일부터 발표했다. 배틀넷 클라이언트 등록 사용자의 경우 5월 5일부터 9일까지이다. 오픈 베타는 970만 명 이상의 플레이어가 참여했다고 블리자드가 보고하면서 인기를 얻었으며 감사의 표시로 오픈 베타 기간을 하루 더 연장했다.
출시 일주일 전, 블리자드는 다양한 오버워치 영웅들이 마치 포장된 액션 피규어로 판매되는 것처럼 거대한 크기의 상자 3개(높이 약 4.6m)를 파리 할리우드에 전 세계에 전시하기로 했다. 그리고 대한민국 부산. 이 디스플레이는 이전 프로젝트에서 블리자드와 협력한 스티브 왕(Steve Wang)과 에디 양(Eddie Yang)이 이끄는 얼라이언스 스튜디오(Alliance Studios)에서 제작했다. 2016년 1월 조각품 디자인을 계획한 후 Droga5, Scicon, Stratasys 및 Egads를 포함한 전 세계 팀은 게임 출시에 맞춰 작품을 프린트, 마감 및 조립하기 위해 경쟁했다. 오버워치에 힘입어 블리자드는 2016년 5월 16일부터 6월 15일까지 게임 산업 브랜드 중 미국 광고 점유율의 50% 이상을 차지했다.
오버워치는 2016년 5월 24일 플레이스테이션 4, 윈도우 및 엑스박스 원용으로 출시되었다. 블리자드는 플레이어가 서버 출시를 준비할 수 있도록 소매업체가 하루 전에 게임의 실제 복사본을 판매할 수 있도록 허용했다.
오버워치의 두 가지 특별판이 기본 게임과 함께 출시되었다. 다운로드 및 소매 제품으로 제공되는 오리진스 에디션에는 기본 게임과 5개의 추가 캐릭터 스킨은 물론 배틀넷을 통해 다른 블리자드 게임을 위한 기타 보너스 아이템도 포함되어 있다. 소매로만 구매할 수 있는 컬렉터스 에디션에는 오리진스 에디션 콘텐츠는 물론, 플레이 가능한 캐릭터 중 하나인 솔저: 76의 동상, 게임 사운드트랙, 소스 북이 포함되어 있다.
2017년 창립 1주년을 기념하여 블리자드는 오버워치 올해의 디지털 게임 에디션을 출시했다. 여기에는 오리진스 에디션의 모든 콘텐츠와 10개의 무료 전리품 상자가 포함되어 있다. 블리자드는 향후 콘솔 시스템 간 크로스 플랫폼 플레이를 지원하는 데 관심을 표명했지만 처음에는 컨트롤러 기반 컨트롤에 비해 키보드 마우스 컨트롤의 정밀한 이점으로 인해 윈도우 지원 크로스 플레이에 대한 계획이 없었다. 그러나 2021년 6월 블리자드는 지원되는 모든 플랫폼에서 오버워치4에 크로스 플랫폼 플레이를 도입했으며, 6월 말까지 정식 출시되기 전 달 초에 베타 테스트를 시작했다. 컨트롤 차이를 해결하기 위해 게임의 경쟁 모드는 여전히 콘솔 플레이어와 컴퓨터 플레이어 간에 분리된 상태로 유지되지만, 다른 모든 게임 모드는 사용자가 배틀넷을 통해 계정을 등록한 후 모든 플랫폼 조합에서 크로스 플레이를 허용한다.
이 게임은 2019년 9월 닌텐도 다이렉트에서 닌텐도 스위치용으로 발표되었으며, 스위치에는 오버워치: 레전더리 에디션이 있으며 2019년 10월 15일 북미와 유럽에서 출시되었고, 2019년 11월 29일 일본에서 출시되었다. 아이언 갤럭시(Iron Galaxy)의 이 게임에는 정크랫(Junkrat)의 립타이어(Rip-tire) 제어, 구형 형태의 레킹볼(Wrecking Ball) 조종과 같은 일부 작업에 대한 콘솔의 자이로스코프 제어 지원이 포함되어 있다. 이 버전은 모든 영웅, 맵, 게임 모드를 포함한 다른 플랫폼의 기존 게임 버전과 동일하지만, 스위치 플레이어는 플레이어에게 적응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게임의 현재 경쟁 시즌에 참가할 수 없다. 순위 플레이를 도입하기 전에 콘솔의 컨트롤을 살펴보세요. 이 버전에는 북미와 유럽 소매점을 위한 게임 케이스가 있지만 대신 다운로드 코드가 있는 실제 게임 카드가 포함되어 있지 않다.
엑스박스 원 버전의 게임은 2021년 3월에 최적화 패치를 받았다. 엑스박스 시리즈 X/S에서 이전 버전과의 호환성을 사용하여 플레이할 때 새로운 성능 설정이 추가되어 게임이 지원되는 모니터에서 초당 최대 120프레임으로 실행될 수 있다.
평가
평가
통합 점수
통합사 점수
메타크리틱 NS: 73/100[32]
PC: 91/100[33]
PS4: 90/100[34]
XONE: 91/100[35]
평론 점수
평론사 점수
디스트럭토이드 10/10[19]
EGM 9/10[20]
게임 인포머 10/10[21]
게임 레볼루션 4.5/별[22]
게임스팟 9/10[23]
게임스레이더+ 4.5/별[24]
IGN 9.4/10[25]
PC 게이머 (US) 88/100[26]
폴리곤 8/10[27]
VideoGamer.com 9/10[28]
플레이스테이션 라이프스타일 10/10[29]
이스케이피스트 5/별[30]
가디언 5/별[31]
위키데이터에서 편집하기 위키데이터에서 편집하기
오버워치는 2014년 블리즈컨에서 완전히 플레이 가능한 상태로 공개되었으며, 2015년 후반부터 2016년 초반까지 클로즈 베타를 진행했다. 2016년 5월 오픈 베타에는 플레이어가 970만 명 이상 참여하였다. 게임의 출시는 줄거리와 각 캐릭터를 소개하는 단편 애니메이션 영상을 통해 홍보하였다. 공식 출시 이후, "오버워치"는 비평가들로부터 전반적인 호평을 받았으며, 특히 게임의 접근성과 재미있는 게임플레이에서 좋은 점수를 받았다.
출시 전
"오버워치"는 출시 전 제작 준비 기간 동안 예상치 못한 주목을 받았다. 게임 레볼루션은 ""오버워치"는 1인칭 슈팅 게임에 40~60 달러를 지불하지 않을 사람의 이목까지 끌고 있다"라고 썼다.[36] 게임의 오픈 베타가 시작되자 970만 명의 플레이어가 몰리며 여러 매체가 이를 비중있게 다루었다.[37]
상업적 평가
출시 첫 주, 블리자드는 "오버워치" 플레이어 700만 명 이상이 총 1억 1900만 시간을 플레이했다고 발표하였다.[38] 이후 2016년 6월 3일에는 플레이어 700만 명, 6월 15일에는 1000만 명, 8월 4일에는 1500만 명, 10월 12일에는 2000만 명, 4월 29일에는 3000만 명, 10월 17일에는 3500만 명을 달성하였다. 비디오 게임 산업 조사 기업 NPD 그룹은 "오버워치"가 출시일인 2016년 5월 미국에서 세 번째로 많이 팔린 소매 비디오 게임이며, 2016년 6월에는 가장 많이 팔린 게임이라고 발표하였다.[39][40] "오버워치"는 출시 한 달 동안에 디지털 판매로 가장 빨리 팔린 게임이었다.[41] 수퍼데이터 리서치는 "오버워치"가 5월에 전세계에서 디지털 판매로 수익을 2억 6900만 달러 이상 거둔 것으로 추산하였다.[42]
2016년 6월, 대한민국의 PC방 게임 순위 집계 사이트 게임트릭스는 "오버워치"가 "리그 오브 레전드"를 따라잡고 한국의 PC방 4,000 곳에서 가장 많이 플레이된 게임이라고 밝혔다.[43] 또한 대한민국에서 오버워치는 2016년 온라인 게임 사용량에서 17주간 1위를 기록하기도 했다.[44]
팬덤
와이어드의 대니얼 스타키는 "수많은 새로운 게임들이 끝없는 플레이어 이탈과 개발자 독촉으로 발버둥치고 있는 곳에서, "오버워치"의 공동체는 활기차고 기쁨에 넘친다."라고 표현하였다. 뇌성마비를 가진 한 게이머는 게임 조종을 자유롭게 지정할 수 있어서 게임에서 처음으로 저격수를 플레이할 수 있었다고 극찬하였다.[45][46] 블리자드의 예술가 중 한 명인 로만 케니는 모 게이머의 딸의 독창적인 "오버워치" 캐릭터 디자인을 차용한 컨셉 아트를 그렸다.[47] 블리자드는 게임의 정식 출시 전날 오토바이 절도범을 막으려다 부상을 입고 숨진 중국의 열성 팬을 추모하고자 게임의 전장 중 한 곳인 리장 타워의 요소를 수정했다.[48][49]
현재
2017년 5월부터 비매너 유저, 컨텐츠 부족으로 인해 많은 유저들이 오버워치를 떠나가고 있으며 과거 기록했던 30~25% 점유율이 12~17%까지 추락했다. 이에 대해 제프리 캐플런은 공식적으로 비매너 유저 계정 48만개중 34만개를 유저들 신고로 정지시켰으며 앞으로도 적극적인 신고를 부탁한다고 유저들에게 호소했다. 또한 컨텐츠에 대해서는 26번째 영웅 제작중인 사실을 공개하면서 앞으로도 더 재미있는 오버워치를 만들겠다고 말했다.
블리자드는 게임을 바탕으로 한 팬들의 "오버워치" 2차 예술 창작물 제작을 장려하고 있다.[50] 블리자드는 이것을 돕고자 게임에서 공개될 21명의 모든 영웅들의 공식 색상과 복장, 무기 디자인을 제공하는 레퍼런스 키트를 게임 출시 전에 공개하였다.[51] 팬들은 이 키트와 게임의 단편 애니메이션, 다른 매체들을 활용하여 예술 작품,[52][53] 가장,[54][55] 애니메이션 오프닝처럼 만든 뮤직 비디오[56][57] 등을 포함한 수많은 2차 창작물을 제작하였다. "오버워치"의 일부 컨셉은 인터넷 밈으로 창작되기도 하였는데, 한 예로 캐릭터 D.Va를 게이머 스테레오타입으로 묘사한 "그렘린 D.Va"(Gremlin D.Va)를 들 수 있다.[58] 포르노 팬아트 또한 만들어졌는데, 폰허브에서는 게임의 오픈 베타가 시작된 직후 "오버워치" 캐릭터가 등장하는 포르노를 검색한 횟수가 817% 증가하였다.[59] 블리자드는 이러한 작품들을 없애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50] 게임 디렉터 제프리 카플란은 표현의 자유를 침해하고 싶지는 않다고 말했지만, 블리자드는 플레이어 중 다수가 청소년임을 염두에 두고 있으며, 공동체가 이러한 이미지를 멀리 하고자 노력하기를 바라고 있다.[15]
오버워치가 과거 역할고정을 패치시키면서 대한민국 유저들의 많은 비난을 사고 있다. 하지만 블리자드 측에서는 대한민국만 딜러 매칭이 10분이 걸릴 뿐이다, 다른 지역은 탱커, 딜러, 힐러 모두 균일한 시간이 걸린다라는 이유로 패치를 거부했다. 2020년 7월 3일, 마침내 이런 의견을 반영하여 자유 경쟁전을 출시했다.
각주
Starkey, Daniel (2016년 5월 30일). “How Overwatch Became a Rarity: The Troll-Free Online Shooter”. 《Wired》. 2016년 6월 9일에 확인함.
Tach, Dave. “Overwatch includes pieces of Blizzard's canceled MMO Titan”. 《Polygon》. 2014년 11월 7일에 확인함.
Hansen, Steven (2014년 11월 7일). “Blizzard Announces New Franchise In 17 Years: Overwatch”. 《Destructoid》. 2016년 3월 28일에 확인함.
O'Dwyer, Danny; Haywald, Justin (2016년 4월 25일). “The Story of Overwatch: The Complete Chris Metzen Interview”. 《GameSpot》. 2016년 6월 2일에 확인함.
O'Dwyer, Danny; Haywald, Justin (2016년 4월 26일). “The Story of Overwatch: The Complete Jeff Kaplan Interview”. 《GameSpot》. 2016년 6월 1일에 확인함.
“Overwatch is Blizzard's new team-based multiplayer shooter”. 《Polygon》. 2014년 11월 7일에 확인함.
Peckham, Matt (2016년 5월 23일). “'Overwatch' Wants To Appeal To Every Kind of Gamer”. 《Time》. 2016년 6월 9일에 확인함.
Haywald, Justin (2016년 4월 26일). “From the Death of Titan to the Birth of Overwatch: A 3-Part Video Series”. 《GameSpot》. 2016년 6월 6일에 확인함.
Orland, Kyle (2016년 5월 25일). “"When it’s done": How Blizzard dragged Overwatch across the launch threshold”. 《Ars Technica》. 2016년 6월 6일에 확인함.
Lahti, Evan (2015년 4월 13일). “Blizzard’s blueprint: Overwatch as a competitive FPS”. 《PC Gamer》. 2016년 6월 10일에 확인함.
Starkey, Daniel (2016년 5월 30일). “How Overwatch Became a Rarity: The Troll-Free Online Shooter”. 《Wired》. 2016년 6월 9일에 확인함.
Orland, Kyle (2016년 5월 25일). “"When it’s done": How Blizzard dragged Overwatch across the launch threshold”. 《Ars Technica》. 2016년 6월 6일에 확인함.
Nunneley, Stephany (2016년 6월 9일). “Overwatch rage quitters will be handed a 75% EXP penalty on future games”. 《VG247》. 2016년 6월 9일에 확인함.
Nunneley, Stephany (2016년 5월 13일). “Overwatch cheaters will be perma-banned "full stop"”. 《VG247》. 2016년 6월 9일에 확인함.
Grayson, Nathan (2016년 7월 18일). “Overwatch's Director On Competitive Mode, Controversies, And The Future”. 《Kotaku》. 2016년 7월 19일에 확인함.
McWhertor, Michael (2014년 11월 8일). “Blizzard wants its diverse fans to feel 'equally represented' by Overwatch's heroes”. 《Polygon》. 2014년 11월 8일에 확인함.
Higgins, Chris (2015년 11월 3일). “Overwatch animated shorts and graphic novels to tell story outside game”. 《PCGamesN》. 2016년 6월 15일에 확인함.
“Dolby Atmos Unleashes the Power of Blizzard’s Overwatch®”. 《돌비 연구소》
Carter, Chris (2016년 5월 24일). “Review: Overwatch”. Destructoid. 2016년 5월 24일에 확인함.
Buchholtz, Matt (2016년 6월 2일). “Overwatch review”. Electronic Gaming Monthly. 2016년 6월 2일에 확인함.
Tack, Daniel (2016년 5월 24일). “An Epic Evolution - Overwatch - PC”. Game Informer. 2016년 5월 24일에 확인함.
Leack, Jonathan (2016년 5월 25일). “Overwatch Review”. Game Revolution. 2016년 5월 25일에 확인함.
Mahardy, Mike (2016년 5월 25일). “Overwatch Review”. GameSpot. 2016년 5월 25일에 확인함.
Sullivan, Lucas (2016년 5월 27일). “Overwatch Review”. GamesRadar. 2016년 5월 27일에 확인함.
Ingenito, Vince (2016년 5월 24일). “Overwatch Review”. IGN. 2016년 5월 24일에 확인함.
Savage, Phil (2016년 5월 28일). “Overwatch review”. PC Gamer. 2016년 5월 28일에 확인함.
Frushtick, Russ (2016년 5월 27일). “Overwatch review”. Polygon. 2016년 5월 27일에 확인함.
Bell, Alice (2016년 5월 27일). “Overwatch Review”. VideoGamer.com. 2016년 5월 27일에 확인함.
Meli, Jowi (2016년 5월 24일). “Overwatch Review – Heroes Never Die (PS4)”. PlayStation LifeStyle. 2016년 5월 24일에 확인함.
Bogos, Steven (2016년 5월 24일). “Overwatch Review - Your Watch Has Begun”. The Escapist. 2016년 6월 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5월 24일에 확인함.
Hern, Alex (2016년 5월 27일). “Overwatch review: Fast, fun and a joy throughout”. The Guardian. 2016년 5월 27일에 확인함.
“Overwatch for Switch Reviews”. 《메타크리틱》. CBS 인터랙티브. 2019년 11월 5일에 확인함.
“Overwatch for PC Reviews”. 《메타크리틱》. CBS 인터랙티브. 2016년 6월 29일에 확인함.
“Overwatch for PlayStation 4 Reviews”. 《메타크리틱》. CBS 인터랙티브. 2016년 6월 29일에 확인함.
“Overwatch for Xbox One Reviews”. 《메타크리틱》. CBS 인터랙티브. 2016년 6월 29일에 확인함.
Leack, Jonathan (2016년 5월 24일). “Overwatch Is A Bigger Deal Than You Thought”. Game Revolution. 2016년 5월 2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5월 25일에 확인함.
Kerr, Chris (2016년 5월 24일). “Don't stop the presses: A glance at Overwatch's ballooning media coverage”. Gamasutra. 2016년 5월 25일에 확인함.
Nunneley, Stephany (2016년 6월 2일). “Overwatch has 7M players who've already logged over 119M hours”. 《VG247》. 2016년 6월 2일에 확인함.
Miller, Matt (2016년 6월 9일). “Uncharted 4 Leads Strong Month Of Software Sales In May NPD”. 《Game Informer》. 2016년 6월 10일에 확인함.
Brighton, James (2016년 7월 21일). “Overwatch tops US sales during June slump”. 《GamesIndustry.biz》. 2016년 7월 21일에 확인함.
Grubb, Jeff (2016년 6월 9일). “Overwatch was the fastest selling games of May, beating Doom and Uncharted 4”. 《VentureBeat》. 2016년 6월 11일에 확인함.
Nunneley, Stephany (2016년 6월 23일). “Overwatch earned $269M in digital revenues across PC and console – SuperData”. 《VG247》. 2016년 6월 23일에 확인함.
Frank, Allegra (2016년 6월 27일). “Report: Overwatch overtakes League of Legends as Korean net cafes' most popular game”. 《Polygon》. 2016년 6월 27일에 확인함.
“오버워치 17주”. 《10월 2주차 온라인게임 순위, 오버워치 17주 연속 1위.. EOS 6계단 상승 20위권 진입》. 2016년 10월 21일. 2019년 11월 27일에 확인함.
Usher, William (2016년 5월 25일). “Blizzard Got The Best Response When They Did Something Heartwarming For An Overwatch Fan With Cerebral Palsy”. Cinema Blend. 2016년 5월 31일에 확인함.
Phillips, Tom (2016년 5월 25일). “Overwatch fan with cerebral palsy thanks Blizzard for custom controls”. Eurogamer. 2016년 5월 31일에 확인함.
Skrebels, Joe (2016년 5월 23일). “Blizzard Artist Turns Child's Overwatch Fan Art Into Concept Art”. 《IGN》. 2016년 6월 20일에 확인함.
Grayson, Nathan (2016년 7월 1일). “Overwatch Honors Fan Who Passed Away One Day Before The Game Came Out”. 《Kotaku》. 2016년 7월 1일에 확인함.
심정선 (2016년 7월 4일). “[이슈] 오버워치, 추모의 '이스터에그' 추가 "영웅은 죽지 않아요"”. 《데일리 게임》. 2016년 8월 31일에 확인함.
“Overwatch animated porn is being taken offline by video game maker Blizzard”. 《BBC》. 2016년 5월 31일. 2016년 6월 2일에 확인함.
Chalk, Andy (2016년 1월 5일). “Blizzard releases crazily detailed Overwatch art and cosplay guide”. 《PC Gamer》. 2016년 6월 20일에 확인함.
Sheridan, Connor (2016년 5월 26일). “Overwatch fan art shows heroes in their Ultimate glory”. 《GamesRadar》. 2016년 6월 20일에 확인함.
Ashcraft, Brian (2016년 5월 27일). “Let Overwatch's Japanese Fan Art Begin!”. 《Kotaku》. 2016년 6월 20일에 확인함.
Plunkett, Luke (2016년 5월 25일). “The Best Overwatch Cosplay”. 《Kotaku》. 2016년 6월 20일에 확인함.
Jusino, Teresa (2016년 4월 14일). “Check Out This On-Point Cosplay of Overwatch's Tracer”. 《The Mary Sue》. 2016년 6월 20일에 확인함.
Usher, William (2016년 6월 12일). “This Is What Overwatch Would Look Like As Anime”. 《Cinema Blend》. 2016년 6월 20일에 확인함.
Minotti, Mike (2016년 5월 25일). “Overwatch is so anime”. 《VentureBeat》. 2016년 6월 20일에 확인함.
Hernandez, Patricia (2016년 6월 6일). “Overwatch Fans Have Turned DVA Into A Dorito-Eating Gremlin”. 《Kotaku》. 2016년 6월 20일에 확인함.
Grayson, Nathan (2016년 5월 23일). “Inside The Surprisingly Big Overwatch Porn Scene”. 《Kotaku》. 2016년 6월 15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오버워치
오버워치 위키데이터에서 편집하기 - 공식 웹사이트
https://ko.wikipedia.org/wiki/%EC%98%A4%EB%B2%84%EC%9B%8C%EC%B9%98 위키백과
《마비노기》(Mabinogi)는 데브캣 스튜디오에서 개발한 대규모 다중 사용자 온라인 롤플레잉 게임이다. 캐치 프레이즈&선전 문구는 "높은 자유도의 2세대 온라인 게임". 줄여서 대부분 '마비'라고 부른다. 2002년 KAMEX에서 처음 공개된 뒤 2003년에 베타오픈을 했다.
공개 이후와 오픈 베타테스트 당시에는 아기자기한 그래픽과 기존 전투 위주 MMORPG와는 차별화된 생활형 컨셉에 맞춘 개성 있는 NPC들과의 대화, 장작을 패서 캠프파이어 곁에 사람들이 모여앉아 악기를 연주하고 음식을 나눠먹는 아기자기한 모습으로 유저를 끌어모았다.
《울티마 온라인》에서 채용해온 노잡, 올 스킬 시스템을 사용하여 유저가 원하는 방향으로 육성할 수 있으며, 처음 '울티마 온라인의 길을 따라가겠다.'라며 당당하게 한국의 울티마 온라인이 되겠다는 포부를 밝혔으나, 울티마 온라인의 라이프에 비해 마비노기에선 생산 계열만 올리기는 사실상 불가능한 점과 아르바이트 시스템의 존재가치 감소등 이 때문에 질적으로 큰 차이를 보인다.
배경
《마비노기》는 켈트 신화의 세계를 배경으로 하고 있다. 특히 마을의 이름이나 등장인물의 이름과 같은(모리안, 누아자, 밀레시안등등) 부분들은 신화에서 차용된 경우가 많다. 마비노기는 원래 웨일스에서 전해 내려오던 이야기들을 일컫는 말이다. 음유 시인의 노래를 통해서 전해져 내려져 왔으며, 그것을 채록한 《마비노기온》(Mabinogion)이라는 책이 있다.
여기서 다소 애매한 바가 있는데, 제목 모티브인 《마비노기온》은 웨일스 신화인데 에린, 울라 등 배경과 등장인물들은 아일랜드 신화에 등장하는 장소와 인물들이다. 또한 자이언트와 엘프는 게르만 신화에 등장하는 종족이다. 하지만 G9부터에는 켈트신화와는 많이 다른 연금술사와 셰익스피어챕터가 나오면서 본 켈트신화와는 거리가 점점 멀어지는 형편이다.
또한 기존 무직업 스킬업 시스템을 파훼하고 표면적인 직업은 없지만 직업과 같은 뉘앙스로 장래희망이 업데이트되었다. 후에 이것은 재능으로 변경되었다. 슈터와 드릴이 추가됨에 따라 과거 판타지라이프와 신화적인 느낌이 많이 퇴화되었다. 최근에는 켈트신화와 관련없는 닌자재능과 수리검이 추가되었다.
시스템
《마비노기》는 데브켓 자체 개발 엔진인 플레이오네 엔진을 이용한 실시간 3D 게임이다. 스탯 시스템을 사용하는 일반적인 한국 게임과는 달리, 기술 시스템이 적용된 스킬 중심 온라인 게임이다. 현재 적용되어 있는 스킬들은 크게 생활, 전투, 마법, 연금술, 격투술, 음악, 인형술, 듀얼건, 인술, 체인, 변신(팔라딘/다크나이트, 팔콘, 비스트), 반신화, 기사단 계열로 나뉜다. 또한 각 마을의 여러 NPC는 정해진 시간에 일정 인원에게 아르바이트를 제공하기도 한다. 던전 출입시 던전 내부의 제단에 통행증이나 물건을 제물로 놓으면 아이템에 따라 다른 던전이 생성되는 인스턴스 던전 시스템에 의해 하나의 던전에 사용자가 몰리지 않고 각기 다른 던전을 이용할 수 있다.
《마비노기》는 2004년 6월 22일 정식 서비스를 시작하며 제네레이션 1 시즌 1을 내놓았으며, 이후로 큰 규모의 패치가 있을 때마다 다음 단계로 넘어간다. 제네레이션은 약 6개월 간격으로 넘어가며 각 제네레이션은 게임사에서 붙인 특별한 이름이 있다. 하나의 제네레이션은 약 3 ~ 4개의 시즌으로 이루어져 있다. 제네레이션은 원래 제네레이션 3에서 종결되었으나 개발팀장 교체 이후 신대륙 이리아를 내놓으며 챕터 2 - 이리아의 개척자라는 이름과 함께 제네레이션 4를 내놓고 이후 본래의 성격과 다른 제네레이션을 지속적으로 내놓게 되었지만, 챕터 5 - 더드라마부터 C1이후에 스토리로 가고 있는중이다.
세컨드 챕터 이전을 챕터 1(G1 ~ G3)이라고 불러 구분하고, 이후의 챕터 2(G4 ~ G8)는 신대륙 이리아의 등장, 챕터 3(G9 ~ G12)는 무료화 및 연금술 등장이라는 개발팀장 교체와 함께 이루어진 대규모 패치에 따라 넘어왔다. 챕터 4(G13 ~G16)는 켈트 신화가 아닌 윌리엄 셰익스피어에 대한 이야기로 변경되었으나, 더클래식을 시작으로 황선영 개발팀장 교체및 실장으로 승격된 이후 챕터5(G17~18)만이 드라마 형식으로 변경되었으며, 챕터 1이후에 본래 스토리를 바탕으로 챕터 2이후의 스토리를 이어서 챕터1 인물들이 퇴장하였고,인벤 키트 무료화를 시행하였고, 유저와 소통을 이루었다는 평이 많다. 챕터6(g19~ g21)부터 김우진 실장으로 교체된 이후 기사가 등장하였으나, 기사단의 업데이트는 다음 실장인 박웅석 디렉터가 마무리 지었으며 그리고 1년후 챕터 7(g22 ~ 25)부터 새로운 특성과 아포칼립스가 등장하며 1부 스토리가 마무리 되었다. 챕터 8(g26 ~)부터 2부가 시작될 예정이다.
플레이할 수 있는 종족으로는 평균적인 능력치와 거의 모든 스킬을 고루 사용할 수 있는 인간, 활과 마법계열에 치중된 엘프, (근접)전투,격투계열에 치중된 자이언트의 세 종족이 있다.
각 종족이 특화됐다는 점이 제대로 드러나는 부분은 엘프의 경우 근접 전투스킬이 대미지도 안나오고 수련항목도 다른 두 종족보다 더 많아 올리기 매우 힘들며, 양손검 같이 무거운 무기는 들 수 없을 정도로 근접 무기 계열은 들지 못하는 류가 많다. 하지만 원거리 공격을 할 때 한 번에 두개의 화살을 쏘는 등 활을 이용한 공격에선 엘프를 넘을 수 없다. 반대로 자이언트의 경우 활을 사용할 수 없고 마법스킬의 경우엔 마나가 부족하다는 애로사항이 꽃피지만 근접 공격 스킬의 데미지 퍼센트가 다른 종족보다 훨씬 높다. 인간의 경우 활로는 엘프를 넘을 수 없고 근접 전투에선 자이언트를 이길 수 없지만 두 종족이 각기 사용할 수 없는 스킬이나 무기 등을 가장 다채롭게 사용이 가능하고 대신 두 종족의 특화무기(종족 전용)는 사용 불가능 하다.
종족은 있지만 직업 구분이 없다. 어떤 스킬을 주력으로 찍는가에 따라 성향이 달라진다. 레인지 컴뱃 마스터리나 솜씨스텟을 올려주는 스킬을 찍으면 궁수, 마법스킬이나 지력 위주로 스킬을 찍으면 마법사, 이런 식으로 직업을 구분한다. 재능이 직업 계열을 대신 나뉘어 주지만 다른 스킬을 사용 못한다든가 하는 것도 아니므로 사실상 버프일 뿐이다 마비노기의 스킬은 생활/전투/마법/연금술/격투술/음악/인형술/듀얼건/인술/체인/팔라딘(다크나이트/야수화)/반신화/기사단 탭으로 나뉜다. 특정 퀘스트를 클리어 하면 잠시동안 캐릭터의 스탯을 비약적으로 상승시켜주는 변신스킬을 획득한다. 인간의 경우 팔라딘(다크나이트)로 변신이 가능하며, 엘프와 자이언트는 야수화를 사용할 수 있고, 한번 사용하면 게임 속 시간인 에린 시간으로 오전 6시가 되기 전까지 변신스킬을 사용하지 못하게 된다. 그리고 전 종족이 공통으로 사용 가능한 반신화 스킬이 존재한다.
캐릭터 생성이나 환생시 선택할 수 있는 나이는 10살에서 17살까지이며 토요일 오후 12:00이 되면 나이를 1살씩 먹는다. 최저 나이는 10살이며 최고 나이는 25살. 25살을 초과하면 (XX년째)라는 표기가 붙는다. 나이를 먹을때마다 능력치가 상승하고 일정량의 AP를 얻으며 나이에 따라서 레벨업했을 때 오르는 수치도 다르다. 25살부터는 레벨업을 해도 오직 AP만을 얻을 수 있고 능력치가 오르지 않기 때문에 환생이 필수적이다.
마비노기 고유의 특징으로 환생 시스템이 있는데, 이를 통해 캐릭터의 현재 레벨과 현재 탐험 레벨을 1로 초기화하고(초기화시 기존 레벨은 누적레벨에 포함돼서 정보창에 표기된다.) 캐릭터의 성별이나 나이, 외모를 전환할 수 있다. 이런 시스템 때문에 캐릭터 성장의 제한과 만렙이 없으며 일반 레벨을 중요하지 않게 여긴다. 엄밀하게 말해 일반 레벨은 200이 만렙으로 설정되어 있으나, 환생으로 일반 레벨을 초기화 시킬 수 있으므로 의미가 없다. 일반 레벨의 레벨 제한은 원래 없었으나, 2008년 12월 17일 만렙이 200으로 패치되었다. 업데이트에 따라 추가되는 스킬들을 올리고 올리다 보면 캐릭터가 끝도 없이 강해지게 되는 것. 이 게임이 직업에 관계없이 모든 스킬을 올리고 사용할 수 있다는 점을 감안하면 결국 게임의 플레이어가 추구하는 궁극점은 올 스킬 1랭크라고 볼 수 있다.
자신이 구매한 동물 캐릭터 카드로 만들어진 동물 캐릭터도 플레이가 가능하지만, 소환시간과 연동되어 그 시간을 전부 사용하면 그 동물 캐릭터는 다음날 소환시간이 충전될때까지 사용할 수 없다.
《마비노기》에서는 특정한 일을 하기 위한 기술을 스킬이란 이름으로 부른다. 《마비노기》에서 스킬은, 일반적인 MMORPG에서보다 그 역할이 훨씬 크다. 일반적인 MMORPG에서는 레벨을 올려 얻는 캐릭터 추가 능력치가 중요하지만, 《마비노기》에서는 많은 사용자가 환생을 통해 레벨을 초기화시켜서, 스킬을 올릴때 필요한 어빌리티 포인트(AP)를 얻기 위한 레벨업의 편의를 도모하므로, 레벨 자체의 중요성은 낮으며, 환생을 해도 초기화되지 않는 스킬의 중요성이 크다.
스킬에는 랭크가 있다. 랭크는 스킬을 얼마나 올렸는지를 나타내는 척도이다. 연습, F, E, D, C, B, A, 9, 8, 7, 6, 5, 4, 3, 2, 1 순서로 열여섯 단계가 있으나, 일부 스킬은 일부 랭크만 구현된 경우도 존재한다. 1랭크의 수련 조건을 모두 충족시키면 마스터 타이틀을 얻을 수 있다.[3] 1랭크 이후로 승단 시험을 통해 단을 딸 수 있는 스킬들이 존재하며, 1단, 2단, 3단의 세 단계가 있다.
액션은 스킬과 마찬가지로 특정한 일을 하기 위한 기술이지만, 캐릭터의 능력과 관계없이 동일한 일을 할 수 있는 기술이다. 액션은 스킬에 비해 부가적인 역할을 담당하며 랭크의 개념이 존재하지 않는다.
《마비노기》에는 현실의 시간과는 별개의 게임 내 시간을 가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낮과 밤이 바뀌고, 이는 게임 진행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또한 현실 시간의 요일에 따라서 게임 진행에 도움을 주는 여러 특성들이 활성화된다. 현실의 매주 토요일 낮 12시 마다 캐릭터는 나이를 먹는다. 게임 내의 지역에 따라 날씨가 달라지는데, 날씨도 게임 진행에 영향을 준다.
캐릭터는 일정한 조건이 되면 환생을 할 수 있다. G2까지는 캐릭터의 나이가 20세 이상이어야 환생할 수 있었으나, 그 후에는 환생 후 3주일이 지나면 환생할 수 있도록 변경되었다. C3 업데이트 후에는 캐릭터 카드 구입 후 환생 시 생성/환생 이후 1주일이 지나면 환생할 수 있도록 변경되었으나 드림프로젝트로 인하여 캐릭터 카드 없이 초보자(누적레벨 1000이하)는 하루에 한번으로 나머지는 일주일에 한번으로 변경되었고, 외형변경이 안 되는 제약이 있으나 무료 환생이 가능하다. 최근에는 환생포션의 등장으로 환생포션을 사용시 언제든 환생이 가능해 졌다. 외형변경을 위해서는 마비노기 내의 캐시 개념인 '폰'을 사용해 외형변경을 할 수 있다. 환생 시, 환생 전의 나이보다 높은 나이는 지정할 수 없다. 동물 캐릭터는 2살부터 다른 동물 캐릭터로 환생할 수 있으며, 환생을 하면 동물 캐릭터의 외형을 바꾸거나 나이 및 레벨을 초기화할 수 있다. 나이나 레벨을 초기화하더라도 이미 배워 둔 각종 스킬이나 스킬로 얻은 능력치, 가지고 있는 아이템이 사라지지는 않는다.
《마비노기》는 각 캐릭터는 이벤트나 그 캐릭터가 처한 상황, 특정한 행동을 통해서 타이틀을 얻고 타이틀 장착 시 그에 따른 임시적인 능력치를 부여받는다. 예를 들면, 나이가 10살일 때 곰을 잡으면 "10살에 곰을 잡다"라는 타이틀을 얻게 되고, 캐릭터의 나이가 18살이 되면, "성인"이라는 타이틀을 얻게 된다. 이러한 타이틀은 장착 시 게임상에서 표시되는 아이디의 앞에 붙게 된다.(북미 지역에서 서비스되고 있는 영문 버전 같은 경우는 타이틀이 캐릭터 이름 뒤에 붙는다.) 예를 들면, "10살에 곰을 잡은 위키백과"와 같은 형식으로 나타나게 된다. 동물 캐릭터에게도 타이틀이 있으나 이는 특정한 상황에서만 붙는 것으로, 사용자가 마음대로 선택해서 장착할 수 없으며, 동물 캐릭터의 소환 해제 시 사라진다. 일부 몬스터들도 타이틀이 있는 경우가 있으며, 타이틀이 없는 몬스터와 경험치, 골드, 능력치 등에 차이가 있다.
마비노기 음악은 《마비노기》 안에서 행해지는 모든 연주와 작곡의 형태를 일컬어 말하는 말이다. 기본적으로 MML 코드를 이용하여 작곡을 한다. 음악에 관여하는 스킬은 작곡, 악기연주, 음악적 지식이 있는데, 작곡과 음악적 지식의 랭크가 9 이상일 경우에는 작곡을 할 때 랜덤으로 마법 악보가 작성되고, 악기연주의 랭크가 9 이상일 경우에는 마법 악보를 장착하고 연주하면 일시적인 부가 효과를 주는 마법 음악을 연주할 수 있다. 마법 음악은 동료 파티원에게 도움을 주거나 몬스터를 길들일 수 있는 등의 독특한 능력을 지닌다.
《마비노기》는 NPC와의 대화나 이벤트를 통해서 키워드를 얻고, 이를 통해서 NPC와 대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떠한 사람이 아르바이트를 얻고 싶을 때, NPC와의 대화에서 '아르바이트에 대하여'라는 키워드를 사용하여 아르바이트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마비노기》에서 몇몇 NPC는 아르바이트를 제공한다. 모든 아르바이트에는 등급과 등급별 정원이 있으며, 아르바이트의 성공률과 회수에 따라 등급이 조정된다. 아르바이트의 수행 내용은 배달, 제작, 수집 등이 있다.
종족
《마비노기》에서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는 종족은 인간, 엘프, 자이언트 세 가지가 있으며, 하나의 계정에 여러 캐릭터를 생성할 수 있으므로 세 종족의 캐릭터를 모두 만들어 즐길 수도 있다. 각 종족의 외모는 큰 차이를 보이며, 특화된 계열도 서로 다르고, 사용할 수 있는 장비와 스킬, 액션에도 차이가 있다. 현재는 엘프와 자이언트는 서로 공격하지 않는다. 하지만 엘프 자이언트 PVP는 유지되고 있다. 반족은 마비노기 종족이지만 캐릭터는 생성 할 수 없다.
인간 - 최초 서비스 때부터 있던 종족으로, 당시에는 유일한 종족이었기 때문에 현재까지도 그 수가 가장 많은 종족이다. 대체로 모든 계열의 스킬에서 무난한 성향을 보이며, 검류 무기를 양손에 들 수 있다. 인간만의 스킬로는 파이널 히트와 애로우 리볼버, 브레스 오브 라데카가 있다. 팔라딘이나 다크나이트로 변신할 수 있다. 엘프와 자이언트 중 한 종족을 골라 지지를 할 수도 있다. G4~G6은 플레이가 불가능하다. G18부터 반족과의 관계에서 대립관계이다.
엘프 - G5부터 선택할 수 있게 된 종족이다.다른종족에 비해 몸집이 작고 인간보다 1.5배 빠른 이동 속도를 가지고 있다. 활 계열에 특화된 종족으로, 일반 활 공격(레인지 컴뱃 마스터리)를 사용할 때에 인간이 한 발을 쏘는 것과 달리 두 발을 쏜다. 또한, 마법에도 특화되어 있어, 지능 수치가 많이 오르고, 아이스 스피어 캐스팅 시, 인간이 소모하는 마나의 2/3밖에 사용하지 않는다. 엘프만의 스킬로는 미라지 미사일, 파이널 샷, 비전 오브 라데카가 있으며 엘프만의 액션으로 하이드가 있다. 퓨리 오브 콘누스 스킬을 사용해 팔콘으로 변신할 수 있다. 자이언트와는 대립 관계이다. 랜스 계열을 사용할 수 없다. 2012년 3월 28일 신여신 강림 패치 이후 신규캐릭터는 G2를 클리어 해야 팔콘을 변신 할 수 있다. G18부터 인간과 자이언트와 반족 대립 관계이다.
자이언트 - G6부터 선택할 수 있게 된 종족이며, 다른종족비해 매우 큰 덩치가 특징이다. 여성 자이언트의 경우는 G6의 시즌 3부터 선택할 수 있게 되었다. 이동 속도는 인간에 비해 1.2배 빠르다. 근접 공격에 특화된 종족으로, 활은 사용할 수 없으나, 창 등의 투척용 무기를 사용해 원거리 공격을 할 수 있다. 둔기류 무기를 양손에 들 수 있으며, 자이언트 전용의 양손 둔기가 있다. 자이언트만의 스킬로는 던지기 공격, 발 구르기, 타운트, 윈드 브레이커, 파이널 스트라이크가 있다. 데몬 오브 피시스 스킬을 사용해 비스트로 변신할 수 있다. 활 계열을 사용할 수 없다. 역시 엘프와 마찬가지로 신규캐릭터는 G2를 클리어 해야만 비스트로 변신 할 수 있다. 원래는 엘프와는 대립 관계였으나, G18이후에는 엘프와 인간과 마찬가지로 반족 대립관계이다.
서비스
정액 요금제 폐지 이전
《마비노기》는 2008년 7월 31일까지 총 4가지의 정액제 서비스를 진행하였다.
정액제 서비스를 받는 경우 메인스트림이라고 불리는 게임상의 퀘스트를 진행해 나갈 수 있었고, 결제한 기간에 플레이가 가능했다. 별도의 결제를 하거나 넥슨 가맹 PC방에 가지 않아도, 모든 등록 사용자는 하루 2시간의 무료 서비스를 받을 수 있었다. 단, 무료 사용자는 메인스트림의 진행을 할 수 없었고, 메인스트림에 관련된 아이템이나 기술을 사용할 수 없었다. 변신 스킬의 사용과 정령무기의 일부 기능의 사용 역시 불가능하였다. 정액제 서비스는 4가지로 세분되어 있었다. 넥슨과 계약을 맺거나, 《마비노기》에 대해서만 계약을 맺은 PC방에서는 일부 기능을 제외한 판타지 라이프 클럽에 해당하는 서비스를 받을 수 있었다.
엑스트라 스토리지: 은행의 저장 공간을 늘려주고, 추가적인 아이템(가방)을 사용할 수 있으며, 길드를 만들고 자신의 집을 소유할 수 있다.
어드밴스드 플레이: 매일 특별한 아이템을 선택 혹은 랜덤으로 받을 수 있다.
나오의 서포트: NPC 나오가 일주일에 한 번씩 액세서리를 주고, 게임 시간으로 하루에 3번까지 부활이 가능하다.
판타지라이프 클럽: 위의 세 가지 서비스를 모두 제공한다
정액 요금제 폐지 이후
2008년 8월 1일, 기존의 정액 요금제를 폐지하고 24시간 무료 서비스 시행과 새로운 게임 서비스 상품을 도입하는 형태의 서비스 개편이 이루어지면서, 기존의 4가지 정액 요금제를 대체하는 2종류의 패키지 상품과 다양한 종류의 아이템을 판매하는 아이템 샵이 도입되었다. 또한, 메인스트림과 캐릭터 변신 기능, 정령무기 사용 기능을 무료화하고, 일부 제약이 따르는 무료 환생 기능을 도입하는 등 기존에 유료로 이용해야 했던 일부 콘텐츠를 무료로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 G17부터 마비노기 플러스 프리미엄 팩이 등장 되어서 3종류의 플러스 키트로 구성이 되었다. 2015년 3월 19일 마비노기 프리미엄 팩과 프리미엄 플러스 팩의 혜택이 업그레이드 되었다[4].
인벤토리 플러스 키트: 은행의 저장 공간을 늘려주고, 캐릭터 인벤토리의 확장을 위한 아이템인 가방을 사용할 수 있으며, 개인상점 개설이 가능하다. (기존의 엑스트라 스토리지와 유사)
현재는 무료 서비스 상태이다
마비노기 프리미엄 팩: 인벤토리 플러스 키트의 기능과 함께 매일 어드밴스드 아이템을 받을 수 있고, 나오의 생일 선물과 나오의 20세 생일 선물, 그리고 길드를 생성, 운영할 수 있으며, 하우징 입주가 가능하고, 필드에서 사냥 시 캠핑 페널티, 마을 페널티를 받지 않고, 전투 경험치를 10% 추가로 얻을 수 있으며, 다양한 추가 제스처를 사용할 수 있다.(기존의 판타지 라이프 클럽과 유사)[5].
마비노기 플러스 프리미엄 팩: 마비노기 프리미엄 팩의 기능과 함께 Plus존의 인벤토리를 확장할 수 있는 기능이 있고, 교역중에 로그아웃시 페널티를 받지 않는 기능이 추가 되었다.
인벤토리 플러스 키트 무료화
2012년 8월 27일 인벤토리 플러스 키트를 무료로 단행한다고 말했다. 우선 2012년 9월 3일 인벤토리 플러스 키트를 무료로 한다고 말하였다.[6]
세계
<nowiki /> 이 부분의 본문은 마비노기의 세계입니다.
《마비노기》의 세계 전체를 여러가지로 나눌 수 있다. [에린, 소울 스트림, 저 세상, 그림자 세계, 팔리아스, 아본]
에린은 주로 사람들이 플레이 하는 장소이며 마비노기의 주 메인이 되는 세계이다. 에린의 지리는 크게 두 대륙으로 나눌 수 있다. 울라 대륙은 G1, G2, G3 게임 플레이와 메인스트림의 배경이 되는 대륙으로, 티르코네일, 던바튼, 반호르, 이멘마하, 탈틴, 타라 ,카브 항구 등의 마을과 여러 필드로 이루어져있다. 탈틴은 G9부터 공개되었고 타라는 G10부터 공개되었다. 그리고 카브항구라는 마을은 G14 S4부터 공개되었다. 이리아 대륙은 G4부터 공개된 지역으로, 탐험이 중심이 되며, 엘프 종족의 마을 필리아와 자이언트 종족의 마을 발레스, 코르 마을과 켈라 베이스 캠프와 칼리다 탐사 캠프등의 마을과 여러 필드로 이루어져있다. 벨바스트 월드는 G15부터 공개된 지역으로 교역이 중심이 되는 곳인 벨바스트와 그 뒷쪽에 있는 무시무시한 몬스터들이 존재하는 스카하가 있다.
소울 스트림은 켈트모양의 바닥의 끝없는 하늘과 계단이 존재하고 수많은 부엉이들이 날고있는 세계인 소울 스트림은 밀레시안의 영혼이 지나가는 곳이며 처음으로 캐릭터를 만나서 접속할 때, 환생할 때 등등에서 찾아볼 수 있으며 그 장소에는 나오가 있다.
저 세상에서 예전에 낙원이라고 불리던 곳이지만 현재로는 거의 폐허가 된, 에린의 '티르코네일'과 매우 비슷한 마을인 티르나노이과 '반호르'와 매우 비숫한 마을이 있다. 티르나노이은 G1을 진행하면서 가는 장소이고 반호르와 비슷한 저 세상의 장소는 G3을 진행하면서 갈 수 있다.
그림자 세계는 사람들이 발견한 에린의 평행세계이다. 메인에서는 G9때부터, 혹은 탈틴과 타라에 있는 스톤헨지에서 그림자 미션을 가지고 입장을 하면 출입할 수 있는 세계이다.
팔리아스는 신들의 도시이다. 푸른 하늘에 주변이 온통 하얀색의 건축물인 장소로서 반신화, 혹은 스파크로 인해서 힘을 받은 신들의 무기 '브류나크'와 '팔리아스의 조각'이 있어야만 출입이 가능하다. G12때부터 출입을 하고 G12을 완료하지 않은 한 출입이 불가능하다.
아본은 마비노기 세계의 첫 밀레시안인 셰익스피어가 유배된 곳이며 아본의 한 가운데를 기준으로 한쪽에는 평화스러운 분위기와 다른 한 쪽에는 어두운 분위기를 볼 수 있다. 안에는 글로브 극장과 불타는 검, 여러 종이로 만들어진 동물들이 있다.
Xbox 360으로의 이식
넥슨과 데브캣은 《마비노기》를 마이크로소프트의 콘솔 게임기인 XBOX 360의 강력한 하드웨어 성능을 통해, 향상된 그래픽 구현과 게임 컨트롤러를 이용해 보다 쾌적하게 즐길 수 있게 할 예정이었다.[7] 대외적으로 개발 소식을 처음으로 알린 것은 게임 박람회인 지스타 2006의 첫날 넥슨의 '해외전략 및 사업다각화'였다.[8] 완전 한글화로 출시될 예정이며, 정식발표회 자리를 개발사인 넥슨과 마이크로소프트 양사가 주관할 것을 약속했다.[9] 이후 《마비노기》 온라인 소식지인 에린워커 10호의 데브캣 칼럼에서는 XBOX 360용 《마비노기》 개발팀장이 《마비노기 XBOX 360》에 대한 간략한 소개를 하였었다.[10] 2007년 11월에는 스크린샷이 최초로 공개되어, 많은 게임 동호인들의 관심을 받았다.[11] 넥슨과 마이크로소프트간 상용화 모델에 대한 이견으로 인해 프로젝트가 중단됐다.[12]
대한민국에서의 역사
사전 제작 기간
2002년 12월 12일: 대한민국 게임대전 2002(KAMEX 2002)에서 최초로 관련 영상 공개 및 공개 시연[13]
베타 테스트 기간
클로즈 베타 테스트 기간
2003년 5월 10일 ~ 5월 24일: 제1차 클로즈 베타 테스트
2003년 6월 14일 ~ 6월 28일: 제2차 클로즈 베타 테스트
2003년 8월 15일 ~ 8월 30일: 제3차 클로즈 베타 테스트
2003년 10월 11일 ~ 10월 22일: 제4차 클로즈 베타 테스트
2003년 11월 15일 ~ 11월 21일: 매시브 테스트 기간
공개 시범 운영 기간
2003년 12월 18일: 오픈 베타 테스트, 안정화 페이즈 시작
2004년 2월 1일: 컨텐츠 페이즈 시작
2004년 3월 3일: 컨텐츠 페이즈 1차 메이저 업데이트
2004년 3월 19일: 컨텐츠 페이즈 2차 메이저 업데이트
챕터 1 (C1)
제네레이션 1: 여신강림
2004년 6월 22일: 시즌 1 시작, 상용화
2004년 8월 11일: 시즌 2 시작
2004년 9월 17일: 시즌 3 시작
2004년 11월 4일: 시즌 4 시작
제네레이션 2: 팔라딘
2004년 12월 22일: 시즌 1 시작
2005년 2월 2일: 시즌 2 시작
2005년 3월 24일: 시즌 3 시작
2005년 5월 3일: 시즌 4 시작
제네레이션 3: 다크나이트
2005년 6월 22일: 시즌 1 시작
2005년 8월 19일: 시즌 2 시작
2005년 10월 7일: 시즌 3 시작
2005년 11월 23일: 시즌 4 시작
엑스트라 제네레이션
2005년 12월 21일: 시작
2020년 6월 11일: 리마스터
챕터 2 (C2)
제네레이션 4: 이리아의 개척자
2006년 2월 18일: 시즌 1 시작
2006년 4월 5일: 시즌 2 시작
2006년 5월 10일: 시즌 3 시작
제네레이션 5: 사막의 엘프
2006년 6월 24일: 시즌 1 시작
2006년 8월 10일: 시즌 2 시작
2006년 9월 27일: 시즌 3 시작
2006년 11월 10일: 시즌 4 시작
제네레이션 6: 설원의 자이언트
2006년 12월 20일: 시즌 1 시작
2007년 2월 21일: 시즌 2 시작
2007년 4월 3일: 시즌 3 시작
2007년 5월 16일: 시즌 4 시작
제네레이션 7: 열대의 강
2007년 6월 27일: 시즌 1 시작
2007년 8월 14일: 시즌 2 시작
2007년 9월 19일: 시즌 3 시작
2007년 11월 17일: 시즌 4 시작
제네레이션 8: 드래곤
2007년 12월 18일: 시즌 1 시작
2008년 1월 30일: 시즌 2 시작
2008년 3월 19일: 시즌 3 시작
2008년 4월 30일: 시즌 4 시작
2008년 6월 11일: 엑스트라 시즌 시작
챕터 3 (C3)
제네레이션 9: 연금술사
2008년 8월 1일: 시즌 1 시작, 무료화 정책 정식 도입[14]
2008년 10월 8일: 시즌 2 시작
2008년 11월 12일: 시즌 3 시작
제네레이션 10: 빛의 여신
2008년 12월 17일: 시즌 1 시작
2009년 3월 11일: 시즌 2 시작
제네레이션 11: 신들의 검
2009년 6월 24일: 시즌 1 시작
2009년 9월 23일: 시즌 2 시작
제너레이션 12: 영웅의 귀환
2009년 12월 16일: 시즌 1 시작
2010년 4월 30일: 시즌 2 시작
챕터 4 (C4)
제너레이션 13: 햄릿
2010년 8월 4일: 시즌 1 시작
2010년 10월 7일: 시즌 2 시작
제너레이션 14: 로미오와 줄리엣과 고르반을 위하여
2010년 12월 15일: 시즌 1 시작
2011년 1월 26일: 시즌 2 시작
2011년 3월 17일: 시즌 3 시작
2011년 5월 2일: 시즌 4 시작
제너레이션 15: 최초의 거래(베니스의 상인[15])
2011년 7월 26일: 시즌 1 시작
2011년 9월 6일: 시즌 2 시작
2011년 10월 13일: 시즌 3 시작
2011년 11월 8일: 시즌 4 시작
무도
2011년 12월 20일: 격투가 장래희망 업데이트
제너레이션 16: 마녀 스카하
2012년 1월 5일:시즌 1시작
제네시스
2012년 3월 28일: 신 여신강림 시작[16]
2012년 4월 12일: 다이나믹 시스템 시작, 음유시인 장래희망 업데이트
챕터 5 (C5)
더 클래식
2012년 7월 11일: 재능시스템 시작
2012년 7월 31일: 인형사 재능 업데이트
제너레이션 17: 더 드라마 이리아[17]
2012년 11월 22일: 프롤로그 시작
2012년 12월 28일: 1화 시작
2013년 1월 4일: 2화 시작
2013년 1월 11일: 3화 시작
2013년 1월 18일: 4화 시작
2013년 1월 25일: 5화 시작
2013년 2월 1일: 6화 시작
2013년 2월 8일: 7화 시작, 슈터 재능 업데이트[18]
2013년 2월 22일: 8화 시작
2013년 3월 1일: 9화 시작
2013년 3월 8일: 10화 시작
제로
2013년 4월 19일: 제로 영웅 멀린 업데이트[19]
2013년 5월 3일: 제로 영웅 디바 업데이트
2013년 6월 4일: 제로 영웅 프로페서 J 업데이트
2013년 7월 11일: 드림 업데이트
2013년 7월 25일: 제로 영웅 마스터 셰프 업데이트
2013년 8월 8일: 제로 영웅 트레저 헌터 업데이트
제너레이션 18: 더 드라마 이리아 시즌2[20]
2014년 1월 28일: 프롤로그 시작
2014년 2월 7일: 1화 시작
2014년 2월 20일: 2화 시작
2014년 3월 20일: 3화 시작
2014년 4월 3일: 4화 시작
2014년 4월 18일: 5화 시작
2014년 4월 30일: 6화 시작
챕터 6 (C6)
제네레이션 19: 신의 기사단
2014년 7월 31일: 프리챕터 시작
2014년 8월 13일: 시즌 1 시작
2014년 10월 7일: 시즌 2 시작
레노베이션
2014년 12월 18일: 근접 전투 재능 개편
2015년 1월 22일: 마법 재능 개편
2015년 2월 12일: 궁수 재능 개편, 알반 기사단의 훈련소 시작
닌자
2015년 4월 28일: 닌자 재능 업데이트
제너레이션 20: 성역의 문
2015년 8월 20일: 시즌 1 시작
리본
2016년 1월 14일: 울라 던전 개편
2016년 1월 28일: 몽환의 라비 던전 시작
뮤직 큐
2016년 8월 11일: 1차 업데이트
2016년 9월 1일: 2차 업데이트
메멘토
2017년 8월: 재능 개편 업데이트
제너레이션 21: 수호자의 길
2017년 12월 14일 수호자의 길 1부
2018년 2월 1일 수호자의 길 2부 ; 피날레
챕터 7 (C7)
제너레이션 22: 아포칼립스
2018년 7월 19일 1차 업데이트 ; 혼돈의 서막이 열린다
2018년 8월 2일 2차 업데이트 ; 혼돈의 흔적을 뒤쫓아라
2018년 8월 23일 3차 업데이트 ; 마법 안개 속의 탐색자
제너레이션 23: 템페스트
2018년 12월 13일 1차 업데이트 ; 거친 폭풍의 모략 - 두 번째 어둠의 전조 -
2019년 1월 10일 2차 업데이트 ; 거친 폭풍의 모략 - 밀어치는 폭풍우 -
2019년 2월 14일 3차 업데이트
제너레이션 24: 클라이막스
2019년 7월 18일 1차 업데이트
2019년 8월 29일 2차 업데이트
제너레이션 25: 하이퍼 노바 - 이클립스
2020년 7월 16일 1차 업데이트; 무너지는 세계
2020년 7월 30일 2차 업데이트; 밤을 밝히는 걸음
2020년 8월 11일 신규재능 마기그래피 업데이트
스타 더스트
2020년 12월 17일: 1st 업데이트
2021년 1월 7일: 2nd 업데이트
2021년 2월 4일: 3rd 업데이트
드러난 심연- 크롬바스
2021년 7월 1일: 사전 업데이트
2021년 7월 22일: 1차 업데이트: 절망의 밑바닥
2021년 8월 5일: 2차 업데이트: 나락을 기어오는 비극
제너레이션 25: 운명의 바람
2023년 12월 14일: 사전 업데이트
수상 경력
2004년 11월 30일 영상물등급위원회 선정 ‘올해의 좋은 영상물’상[21]
2004년 11월 '이달의 우수게임상' 수상
2004년 대한민국 게임대상 최우수상·기술/창작상(기획/시나리오 부문)[22]
2005년 10월 27일 중국 차이나조이 2005 우수게임 평가상 금깃털상[23]
비판
초기의 세계관에 비해 나중에 업데이트로 추가된 메인스트림이나 월드가 기존 세계관과 맞지 않는다는 비판이 있다. 판타지 라이프, 신화를 바탕으로 한 세계관과 스토리, 부드러우면서도 아기자기한 느낌에 비해 어울리지 않는 업데이트 요소들은 기존의 분위기에 맞지 않아 억지스러운 느낌을 준다는 평이 있다.
예를 들어 갑작스런 신대륙 탐험과 발굴, 물 대포를 쏘는 연금술사, 셰익스피어, 쌍권총 등은 원래 세계관이 유래한 아일랜드 신화와는 맞지 않는다. 메인스트림도 설정 모순과 은근슬쩍 바뀐 부분이 있다.[24][25]
같이 보기
아일랜드 신화
각주
윤영진 (2006년 4월 10일). “캐릭터 디자이너의 꿈을 이룬 강영화씨”. 경향게임스. 2016년 3월 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1년 6월 27일에 확인함.
권영수 (2004년 5월 18일). “'마비노기' 6월말 정식 서비스 실시”. 게임조선.
“스킬일반론 - 플레이포럼 마비노기 웹 사이트”. 2008년 8월 2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8년 8월 30일에 확인함.
마비노기 공지사항
김종권 (2008년 7월 3일). “넥슨, '마비노기' 8월 1일부터 무료화 선언!”. AVING Korea.[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마비노기 공지사항
김남규 (2007년 10월 24일). “하반기 XBOX360 대작들이 몰려온다”. 게임동아. 2007년 12월 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1년 6월 18일에 확인함.
김동현 (2007년 10월 31일). “넥슨, '지스타'에서 최대 규모 부스 열고 신작 공개”. 게임동아. 2007년 11월 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1년 6월 18일에 확인함.
“마비노기, Xbox360으로 등장”. 루리웹 비디오 게임 뉴스. 2006년 11월 9일. 2010년 12월 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1년 6월 18일에 확인함.
“에린워커 10호”. 2006년 12월 19일에 확인함.
“XB360버전 '마비노기' 스크린심바 최초 공개”. 루리웹 비디오 게임 뉴스. 2007년 11월 6일.[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부활-연기-중단-개발, 희비 엇갈리는 마비노기 형제들”. 게임메카. 2009년 9월 2일.
이경준 (2002년 12월 10일). “넥슨 야심작 '마비노기' 공개”. 파이낸셜 뉴스.
김혁 (2008년 7월 16일). “마비노기, 연금술사와 함께 하는 챕터3”. 베타뉴스. 2014년 8월 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8년 9월 2일에 확인함.
베니스의 상인은 최초의 거래의 메인스트림 퀘스트이다.
신 여신강림은 과거 퍼스트 챕터의 제너레이션 1~3의 메인스트림을 현재의 상황에 맞게 리뉴얼한 것이다.
이 챕터는 제너레이션 4(챕터2)의 배경은 같지만 스토리가 다르다. G17에는 1화~10화로 변경되었고, 매주 금요일 9시에 공개되었다.
사이트 상으로 g18 7화로 소개 되었으나 프롤로그 악몽이 이리아의 프롤로그이면서 제너레이션 19가 신의 기사단의 첫번째 매인스트림의 제너레이션이므로 제너레이션 17이 맞다.
원래는 4월 18일에 업데이트 될 예정이었으나, 계속된 점검으로 4월 19일 새벽 1시에 업데이트가 되었다.
6화로 축소 되었으며, 격주간으로 변경되었다.
“<마비노기> 영등위 선정 '올해의 좋은 영상물'상 수상”. 연합뉴스(보도자료). 2004년 12월 2일.
권해주 (2004년 12월 9일). “'킹덤 언더 파이어', 올 최고 게임 등극...2004 대한민국 게임대상”. 아이뉴스.
“넥슨 마비노기, 중국 차이나조이 우수게임평가상 수상”. 연합뉴스(보도자료). 2005년 11월 1일.
“'김피탕' 된 마비노기, 시작은 아일랜드 신화였다”. 《게임메카》. 2017년 3월 13일. 2018년 6월 18일에 확인함.
문의식 (2016년 1월 7일). “2세대 온라인게임의 선구자, 마비노기”. 《게임어바웃》. 2018년 6월 18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
각 언어별 공식 웹사이트
(한국어) 마비노기 대한민국 웹사이트
(일본어) 마비노기 일본 웹사이트
(중국어) 마비노기 중국 웹사이트
(중국어) 마비노기 타이완 웹사이트
(영어) 마비노기 미국/캐나다 웹사이트
(영어) 마비노기 유럽 웹사이트 (서비스 종료)
위키 공동체
위키아의 마비노기 위키
한국어
영어
https://ko.wikipedia.org/wiki/%EB%A7%88%EB%B9%84%EB%85%B8%EA%B8%B0 위키백과
'게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메이플랜드의 삶 17일차 ( 이블윙즈 지작 만들기 / 수익 ) #먼치 #옛날메이플 #메이플랜드 #메이플스토리 #옛메 #메랜 (1) | 2024.01.14 |
---|---|
메이플랜드의 삶 11일차 ( 따모지옥 / 앞으로의 이야기 / 1~7일차 수익 ) - 먼치 메이플스토리 (1) | 2024.01.08 |
메이플 랜드의 삶 6일차 ( Feat. 노란색의 우산의 서막 ) / - 먼치 메이플스토리 (1) | 2024.01.03 |
메이플스토리 월드 아르테일 궁수 폭업사냥터 (1) | 2024.01.01 |
메이플스토리 몬스터 약점 정리 (1) | 2023.12.30 |
메이플스토리 월드 아르테일 상성데미지 (0) | 2023.12.28 |
피파온라인4 워썬더 리니지2m 아키에이지워 로블룩스 디아블로4 리그오브레전드 (0) | 2023.12.23 |
메이플스토리 월드 아르테일 필수퀘스트 (0) | 2023.12.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