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2024년 부동산 전망 : 요즘 집값에 대한 솔직한 생각 (즉문즉답)

by 복날집 2024. 2. 7.

2024년 부동산 전망 : 요즘 집값에 대한 솔직한 생각 (즉문즉답)

https://www.youtube.com/live/J7OxLPgBFLE?si=5lmpmD3Ckx6qaS2V

서울 경기 부산 울산 등 수도권과 지방 아파트 가격이 전부 폭락하고 있습니다 더군다나 강남불패라는 신화가 저출산으로 인한 학군 폐쇄등으로 인하여 깨지고 있는데요 2024부동산 시장 전망을 보는 영상입니다

■ 멤버 혜택
① 전용채팅방 / ② 자산플래너 or ③추천100선

■ 가입 링크
  

 / @tv-nw4nq  

■ 반갑 중개
https://realtybangap.imweb.me/

부동산(不動産, 영어: real estate, immovable property)은 토지와 그것에 정착된 건물이나 수목(樹木) 등, 움직여 옮길 수 없는 재산이다. 또한 나라에 따라 특별한 법률에 의하여 입목(대한민국, 일본)이나 철도재단(일본) 등의 준부동산(의제부동산)도 넓은 의미로 하나의 부동산이 될 수 있다.

대한민국 민법은 “토지 및 그 정착물은 부동산”(제99조 제1항)이라고 정의하고 있다. 그리고 “부동산 이외의 물건은 동산이다”(제99조 제2항). 이 외에도 여러 가지 법률을 통해 토지 및 그 정착물에는 토지, 토지와 별개의 독립한 부동산인 건물, 토지에 부착된 수목의 집단(입목)으로 입목등기를 마친 수목, 명인방법을 갖춘 수목이나 수목에서 분리하지 아니한 열매 등의 천연 과실, 토지에서 경작·재배하여 토지에서 분리하지 아니한 농작물 등도 부동산에 해당한다고 규정되어 있다.[1][2]

독립된 부동산으로서의 건물이라고 하기 위하여는 최소한의 기둥과 지붕 그리고 주벽이 이루어지면 된다.

일본 민법은 대한민국 민법과 동일한 정의를 내리며, 다만 부동산은 이동이 용이하지 아니하고 고가의 재산이기 때문에 동산과는 다른 규제를 받는다(제177조)고 정의하고 있다. 또한 부동산은 특별법에 의하여 공장재단, 광업재단, 어업재단, 관광시설재단, 항만운송사업재단, 도로교통사업재단, 자동차교통사업재단, 철도재단, 궤도재단 등도 등기를 통하여 부동산으로 인정된다. https://ko.wikipedia.org/wiki/%EB%B6%80%EB%8F%99%EC%82%B0 위키백과

아(어)파트먼트(영어: apartment, 중국어: 公寓, 일본어: アパート, 문화어: 아빠트) 또는 아파트는 공동 주택 양식의 하나로 2층 이상의 건물을 층마다 여러 집으로, 일정하게 구획하여 각각의 독립된 가구가 생활할 수 있도록 만든 주거 형태의 건물이다. 두세 개 이상의 아파트가 모이면 '아파트 단지(n차)'가 되는데, 일반적으로 아파트 단지를 아파트라고 부른다.

어원 및 쓰임새
영어의 apartment(아|어파트먼트)가, 일본어의 アパート(아파토)를 거쳐 한국어 아파트가 되었다. 즉 전형적인 일본어식 영어(Janglish)에 속한다. 이렇게 어원은 본디 하나이지만 실제 쓰임새는 언어권별로 조금씩 다르다.

한국어 '아파트'가 분양용 다층 공동 주택이라는 의미로 쓰이는 데 반해, 영어 'apartment'는 임대용 공동 주택을 뜻하며, 일본어 'アパート'는 서민형 연립 주택을 뜻한다. 한국어 '아파트'의 개념에 가까운 영어 용어를 살펴볼 때, 임대용이 아닌 분양용이라는 점에서는 콘도미니엄에 해당하며, 형태상으로 아(어)파트먼트 빌딩이라 할 수 있다. 특히 고층 아파트의 경우에는 하이 라이즈(high-rise) 또는 아(어)파트먼트 타워라고 한다. 한편 한국어 '아파트'에 해당하는 일본어는 マンション(mansion, 맨션)이며, 일본어 'アパート'는 다세대 주택의 의미이다.

공간 구성 및 면적
대한민국에서 아파트 한 채의 규모는 1972년 12월 30일에 제정된 법률 제2409호와 1977년 12월 31일에 전문개정된 주택건설촉집법의 시행령과 시행규칙에 따라 건축법시행령의 규정에서 밝힌 바닥면적을 기준으로 한다.[1]

아파트의 공간구성은 전용부분과 공유부분으로 구분된다. 대한민국에서는 1995년 11월에 주택법시행규칙이 개정되면서 법적으로 아파트 면적을 주거전용면적과 주거공용면적, 기타공용면적으로 구분하고 있다. 주거전용면적은 1998년 11월에 동시행규칙이 개정되면서 마련되었는데, 외벽의 내부선을 기준으로 산정하되 복도, 계단, 옥탑, 전기 및 기계실, 보일러실, 지하실, 관리사무실, 경비실, 세대간 경계벽, 파이트덕트 및 환기덕트 등을 제외한 면적이다. 주거공용면적에는 아파트의 지상층에 있는 공용 부분(계단, 복도, 현관 등)과 아파트 발코니 바닥면적 공제분 초과면적, 그리고 외벽 중심선 안쪽과 호간 경계벽이 포함된다. 기타 공용면적에는 지하주차장[2]을 포함한 지하층과 관리사무소, 경비실, 노인정 등이 포함된다. 이 외에도 전면 발코니 및 후면 발코니와 덕트, 슈트 등의 면적을 뜻하는 서비스면적[3]이 있는데, 대한민국 법령에서 규정한 용어는 아니다.[4] 그런데 서비스면적 중 하나인 발코니를 확장하여 거실, 침실, 창고 등의 실내공간으로 바꾸어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5]

등기면적은 집합건물의 구분소유권을 정의할 목적으로 대한민국 건축법에서 정의한 용어로, 공용면적을 제외한 세대별 주거전용 면적을 뜻한다. 분양면적은 주거전용면적과 주거공용면적을 합한 것이고 계약면적은 분양면적에 기타공용 면적까지 더한 것이다. 분양면적과 계약면적은 대한민국 법령에서 정한 용어는 아니다. 한편 계약면적과 같은 개념으로 법령에서 정한 용어는 아파트 (주택)공급면적이다. (주택)공급면적은 사업주체가 각각의 세대에 공급하는 주택의 면적으로 건축법에서 정한 바닥면적을 의미한다. 총(공급)면적은 (주택)공급면적에 서비스면적까지 합한 것인데, 법령에서 정한 용어가 아니다.[6]

아파트 면적과 관련된 비율로는 공급면적대비 전용율(=전용면적/공급면적), 계약면적대비 전용률(=전용면적/계약면적) 등이 있다.[7] 일반적으로 '아파트 전용율'이라고 하면 공급면적대비 전용율을 뜻한다.

각국의 아파트
현재 이 문단은 주로 한국에 한정된 내용만을 다루고 있습니다.
다른 국가·지역에 대한 내용을 보충하여 문서의 균형을 맞추어 주세요. 내용에 대한 의견이 있으시면 토론 문서에서 나누어 주세요. (2021년 5월)
대한민국
대한민국의 아파트는 중앙정원형 아파트, 주상복합 아파트의, 외인 아파트, 선형식아파트, 주공아파트, 초고층 주상복합 아파트 등이 있다.

1958년에는 2층짜리 아파트를 지었으며, 2002년에서 2004년 사이에는 서울에 위치한 타워팰리스가 준공되었다. 2011년에는 부산 해운대에 위치한 해운대 두산 위브 더 제니스가 준공되었으며, 2015년에는 인천 송도에 위치한 송도 아트윈 푸르지오가 준공되었다.

역사
<nowiki /> 이 부분의 본문은 대한민국 아파트의 역사입니다.
해방 이후 등장한 아파트는 1958년에 152가구가 생활하도록 지어진 종암아파트였다. 1969년에는 주택난 해소를 위해 서울시가 건설에 참여하였으며, 이후로 민간업체들이 다수 참여하게 되었으며, 석유 파동 이후로 물가가 폭등하면서 환물 대상으로 인식되어 아파트 건설에 과열 현상이 시작되었다.[8]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현재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 가장 높은 아파트는 려명거리 아파트다. '아빠트'라고 표기되며 '다층살림집'은 이것보다 적은 층수의 주택을 의미한다.

https://ko.wikipedia.org/wiki/%EC%95%84%ED%8C%8C%ED%8A%B8 위키백과

한국감정원 부동산연구원은 1989년 감정평가연수원으로 설립되어 현재에 이르기까지 감정평가기법 연구, 부동산지표 개발과 정부의 부동산정책지원을 비롯하여 부동산컨설팅 등 부동산 분야 전반에 걸쳐 폭 넓고 깊이 있는 연구를 통하여 국가경제 발전에 기여하고 있는 한국감정원 소속의 부동산 전문 연구기관이다. 서울특별시 강남구에 위치하고 있었으나, 2013년 공공기관 지방이전에 따라 대구광역시 동구 신서동 혁신도시로 이전하였다. 이후

연혁
1985년 5월 한국감정원 조사부 신설
1989년 6월 19일 감정평가연수원 개설. 연수원 내연수부, 연구개발부 신설
1992년 2월 26일 지가정책연구센터 개설
1993년 8월 18일 연구개발부를 지가정책연구센터에 흡수 통합
1995년 3월 31일 지가정책연구센터와 연수부를 감정평가연수원에 통합
1996년 2월 15일 감정평가연수원 내 감정평가연구소 개설
1996년 9월 24일 감정평가연구소 내 경영전략연구팀 신설
1996년 10월 19일 감정평가연구소 본점으로 이전
2001년 3월 26일 한국감정원연구소로 명칭 변경. 감정평가연구팀, 부동산연구팀으로 운영
2001년 4월 12일 연수원으로 이전
2001년 5월 2일 한국감정원연구소 내 연수팀 신설. 감정평가연구팀, 부동산연구팀, 연수팀으로 운영
2002년 1월 1일 부동산연구소로 명칭 변경. 연구개발팀, 연수팀으로 운영
2003년 12월 9일 부동산연구소 내 조사분석팀 신설. 연구개발팀, 연수팀, 조사분석팀으로 운영
2006년 12월 20일 연수팀을 인력개발팀으로 명칭 변경
2007년 5월 2일 부동산연구원으로 확대 개편. 연구개발팀, 정책연구팀, 부동산컨설팅팀, 투자자문팀으로 운영
2009년 1월 부동산연구원 조직 개편. 연구기획부, 정책연구부, 도시환경연구부, 주택성능안정센터로 운영
조직
부동산연구원장
- 연구개발실

공시제도연구부
산업정책연구부
평가정보연구부
인재개발부
국제협력부
- 시장분석연구실

시장분석연구부
빅데이터연구부
거래정보연구부

https://ko.wikipedia.org/wiki/%EB%B6%80%EB%8F%99%EC%82%B0%EC%97%B0%EA%B5%AC%EC%9B%90 위키백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