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미아미아미

재건축 청약 안양 자이 더 포레스트는 새롭게 단장하는 프리미엄 고품격 아파트로 강남순환도로 라인의 최고의 인프라를 자랑하고 있습니다

1차 계약금은 1000만원입니다 

안양시(安養市)는 대한민국 경기도 중부에 있는 시인데, 동쪽으로는 과천시, 남쪽으로는 군포시와 의왕시를 접하고, 서쪽으로는 광명시와 시흥시, 안산시를 접하며, 북쪽으로는 관악산(629m), 삼성산(481m)을 경계로 서울특별시 관악구, 금천구를 접한다. 중앙은 낮고 평탄하여 타원형의 분지 지형이다.

역사
<nowiki /> 1973년 이전의 역사는 과천군 및 시흥군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nowiki /> 행정구역의 역사는 안양시의 행정 구역 § 역사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조선 시대 : 과천현 하서면, 상서면
1895년 : 과천군 하서면, 상서면
1914년 : 시흥군 서이면
1941년 : 시흥군 안양면
1947년 11월 29일 : 시흥군청이 영등포에서 안양면으로 이전(→1980년 소래읍으로 이전)
1949년 8월 14일 : 안양면이 안양읍으로 승격
1963년 1월 1일 : 시흥군 동면 안양리(현 석수동)와 서면 박달리(현 박달동)가 안양읍에 편입
1973년 7월 1일 : 안양시 승격[1]
1989년 5월 1일 : 동안출장소·만안출장소 설치
1992년 10월 1일 : 동안구청·만안구청 설치
지명 유래
안양시의 명칭은 과천군 하서면 안양리로부터 시작하였다. 1914년의 부군면통폐합 때 과천군이 시흥군에 합쳐지면서 하서면과 상서면이 서이면(西二面)으로 통합되었다. 하서면 안양리에 1905년 개통한 경부선의 철도역인 안양역이 생긴 이후 이 역을 중심으로 안양 도심이 점차 형성되었고, 이후 행정구역명과는 별개로 철도역의 이름을 따라 안양이라는 지명이 널리 쓰였다. 결국 1941년에 서이면이 안양면으로 개칭되어 지역의 정식 명칭으로 굳어졌다.[2]

안양(安養)이라는 지명은 만안구 석수동에 있는 안양사(安養寺)로부터 유래되었다. 안양사에 대해서 신증동국여지승람은 '금천현'의 항목에 "삼성산에 있으며, 절 남쪽에 고려 태조가 세운 7층 벽돌탑이 있다. 김부식이 지은 비명은 글자가 이지러져 있다."고 기록하고 있다.[3]

지리
안양시는 경기도의 중부에 위치하여 서울에서 남으로 약 25km 지점, 인천에서 동남방으로 약 44km 지점에 위치한다. 안양시는 행정구역상으로 1개 특별시, 5개시와 접하고 있다. 동쪽은 과천시와 의왕시가 접하고 있으며, 서쪽은 광명시와 시흥시가, 남쪽은 군포시와 안산시가, 북쪽은 서울특별시 금천구와 관악구가 접하고 있다.

안양시의 동단은 북위 37°23′49″, 동경 126°59′07″로서 이는 안양시 동안구 관양동과 의왕시 포일동의 경계부가 되며, 서단은 북위 37°24′18″, 동경 126°52′22″로서 박달동과 광명시의 가학동이 경계를 이루는 청덕산 능선에 해당한다. 또한 남단은 수리산 능선인 북위 37°21′16″, 동경 126°54′15″로서 이는 안양9동과 군포시 대야동의 경계를 이루며 북단은 북위 37°26′52″, 동경 126°55′56″로서 석수1동과 서울특별시 금천구 시흥동이 경계를 이루는 삼성산의 능선이 된다.

광주산맥의 말단부에 위치한 안양시는 서남쪽에 수리산(474m)과 수암봉(395m), 북쪽에 관악산(629m), 삼성산(455.8m)이 솟아 있으나 대체로 준평원의 잔구지역이다. 산계는 주로 북동방향으로 발달해 있으며, 수계의 발달은 불규칙한 편이나 북사면에는 비교적 깊은 하곡이 형성되어 있다. 산계와 수계의 발달은 전역에 걸쳐 대체로 불규칙한 편으로 서울시측 사면과 안양시측 사면에 각각 3곳의 계곡이 발달해 있다. 그 중앙에 평야 지대가 발달하여 타원형의 분지를 이룬다.

수리산은 안양시의 안양동과 군포시 및 안산시의 경계에 있는 산으로 높이는 489m이다. 수리산의 기반은 흑운모호상 편마암 및 백운모 편마암이 주를 이루며 곳곳에 규장암이 흘러들고 있다.

안양시의 대부분이 화강편마암의 사질토양으로서 비옥도가 높다. 학의천이 시의 동단부에서 서쪽으로 흐르다가 비산동에서 안양천과 합류, 시의 중앙부를 관통하면서 북류하여 한강으로 흘러든다. 안양시의 두드러진 지형적 특징은 안양천 주변에 발달한 하천퇴적지형과 관악산, 수리산 등의 산지지형이라 할 수 있다. 이들 하천퇴적 지형과 산지 지형 사이의 기복의 차이는 비교적 큰 편으로 최고점인 관악산 정상과 최저점인 안양천 하상과는 고도차가 600m 이상에 이른다. 대표적인 하천퇴적 지형으로는 학의천과 안양천이 합류하는 달안들(옛지명) 부근의 충적지형을 들 수 있다. 이 지역에는 범람원의 저평한 지형을 이루고 있어 자연제방, 배후습지 등이 발달하고 있으나 현재에는 대부분 인공적으로 변형, 평촌 신도시가 들어서 있는 상태이다.[4]

기후
경기 남부지역에 속하는 안양의 2010년 연평균기온은 12.2℃로 경기 북부지역의 연평균 기온 10.9℃와 다소 차이를 보였으며 한서의 차가 커서 연교차가 31.3℃에 달한다. 또한 2005년(12.0)도부터 상승하던 연평균기온이 2008년(12.8) 이후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안양의 2010년도 연간 강수량은 1,538mm로 경기지역의 평균치 1,677mm 보다 다소 낮다. 2002년에서 2010년까지 강수량 추이를 보면 최대 1,538mm(2010년)에서 최소 1,137mm(2004년)로 그차이는 401mm에 이른다. 또한 시베리아 기단의 영향을 강하게 받는 겨울철의 건계와 장마전선의 북상에 따라 형성되는 여름철의 우계와의 구별이 뚜렷하다. 강수량은 여름철에 집중하여 6월에서 9월까지 4개월간의 강수량이 연간 강수량의 81%에 이른다. 특히 북태평양으로부터 많은 수증기가 유입되거나 열대지방에서 고온다습한 남서기류가 장마전선으로 유입될 때에는 1일 강수량 100mm이상의 집중호우가 내리는 것이 보통이다.[4]

안양시의 기후
월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년
평균 최고 기온 °C (°F) 2
(36) 5
(41) 10
(50) 18
(64) 23
(73) 27
(81) 29
(84) 30
(86) 26
(79) 20
(68) 12
(54) 5
(41) 17.3
(63.1)
평균 최저 기온 °C (°F) −7
(19) −5
(23) 0
(32) 6
(43) 12
(54) 18
(64) 22
(72) 22
(72) 16
(61) 9
(48) 2
(36) −4
(25) 7.6
(45.7)
평균 강수량 mm (인치) 0
(0) 28
(1.1) 49
(1.9) 105
(4.1) 88
(3.5) 151
(5.9) 383
(15.1) 265
(10.4) 160
(6.3) 48
(1.9) 43
(1.7) 24
(0.9) 1,344
(52.9)
출처: [5][6]
행정 구역
<nowiki /> 이 부분의 본문은 안양시의 행정 구역입니다.
안양시의 행정 구역은 2구 31동 574통 3,226반으로 구성되어 있다. 안양시의 면적은 58.48 km2이며, 이 중 녹지지역이 64.79%에 해당하는 37.89 km2이며, 개발제한구역은 51.3%에 해당하는 29.98 km2이다.

2003년에 인구가 60만명을 넘었는데, 2000년대 후반부터 점차 줄어들어 2015년 3월에 60만명 아래로 하락했다.[7] 그후부터 현재까지는 50만명 후반대를 유지하고 있다.

일반구 한자 면적 (km2) 인구 (명) 세대
만안구 萬安區 36.53 241,830 101,044
동안구 東安區 21.93 316,187 120,048
안양시 安養市 58.48 558,017 221,092
* 인구·세대는 2020년 6월 말 기준

인구
안양시의 인구 구조는 2009년 12월 말을 기준으로 0~14세 인구는 17.9%, 65세 이상 인구는 7.1%이다. 생산연령층인 15~64세 인구는 75.0%로 전국 평균72.8%보다 비율이 높고 유소년 인구부양비는 24.0%로 전국 평균인 22.8%보다 높고 노년 인구부양비는 9.0%로 전국 평균인 14.5%보다 낮다. 여자 인구 100명당 남자 인구를 나타내는 성비는 99.6로 여자가 다소 많다.[8]

안양시의 연도별 인구 추이[9]
연도 총인구   비고
1949년 20,085명 시흥군 안양면
1955년 22,301명 시흥군 안양읍
1960년 31,290명
1966년 54,287명
1970년 90,505명
1975년 134,848명 안양시
1980년 253,560명
1985년 361,577명
1990년 481,291명 외국인: 51
1995년 591,106명 외국인: 561 (0.1%)
2000년 580,544명 외국인: 1,699 (0.3%)
2005년 612,423명 외국인: 2,537 (0.4%)
2010년 602,122명 외국인: 5,350 (0.9%)
2015년 585,177명 외국인: 9,425 (1.6%)
2019년 557,339명 외국인: 11,148 (2.0%)
산업
지역내총생산(GRDP)
안양시의 2012년 지역내 총생산은 30조 4,293억원으로 경기도 지역내 총생산의 4.2%를 차지하고 있다. 이 중 농림어업은 약 18억원으로 비중이 낮고 2차 산업의 광업 및 제조업은 7조 1,359억원으로 23.4%의 비중으로 차지하고 3차 산업의 해당하는 상업과 서비스업은 23조 3,547억원으로 76.6%의 높은 비중을 차지한다. 경기도의 교통의 중심지로서 3차 산업 부문에서는 건설업(11.28%)과 사업서비스업(10.67%), 도소매업(8.48%)과 출판, 영상, 방송통신 및 정보서비스업(8.23%)이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10]

산업별 종사자 현황
2014년 안양시 산업의 총종사자 수는 235.143명으로 경기도 총종사자 수의 5.3%를 차지하고 있다. 이중 농림어업(1차 산업)은 4명으로 비중이 매우 낮고 광업 및 제조업(2차 산업)은 35,364명으로 15%의 비중으로 차지하고 상업 및 서비스업(3차 산업)은 199,775명으로 85%의 비중을 차지한다. 2차 산업은 경기도 전체의 비중(27.1%)보다 낮고 3차 산업은 경기도 전체의 비중(72.9%)보다 높다. 3차 산업 부문에서는 도소매업(16.8%), 사업서비스업(13.4%)과 숙박 및 음식업(9.5%), 교육서비스업(8.4%)이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11]

상업
백화점·대형아울렛
엔터식스 안양역점 (만안구 안양동)
롯데백화점 평촌점 (동안구 호계동)
뉴코아아울렛 평촌점 (동안구 호계동)
2001아울렛 안양점 (만안구 안양동)
대형마트
이마트 안양점 (동안구 비산동)
이마트 평촌점 (동안구 관양동)
홈플러스 안양점 (동안구 호계동)
홈플러스 평촌점 (동안구 비산동)
문화

수리산 관모봉

안양대학교에서 바라본 야경
안양9경
안양9경은 안양시에서 지정한 자연경관 및 문화시설 등으로 총 9가지이다. 2003년 안양8경이 지정되었다. 이후 2021년 1월 6일, 안양9경으로 수정되었다.

안양예술공원
안양천
평촌중앙공원
망해암 일몰
안양일번가
수리산 성지 (최경환 성인)
평촌일번가 문화의 거리
병목안시민공원
만안교
문화재
<nowiki /> 시지정 향토문화재에 관한 내용은 안양시의 향토문화재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안양시에는 2022년 1월 31일 기준, 총 33점의 문화재가 있다. 국가지정 3점, 경기도지정 16점, 이북5도지정 1점, 안양시지정 향토 문화재 7점, 기타 6점으로 구성된다.

안양 중초사지 당간지주(보물 제4호, 만안구 석수동)는 서평 지주 바깥 면에 여섯 줄로 글귀가 새겨져 있는데 여기에는 이 지주가 신라 흥덕왕 원년(826) 8월 6일에 돌을 캐어 그 이듬해인 흥덕왕 2년(827) 2월 30일에 세워졌다고 기록되어 있다. 또한 이 곳에 있던 당시 사찰의 이름이 ‘중초사’라는 것도 밝히고 있어 이 당간지주는 조성년대가 확실한 국내 유일의 당간지주라고 할 수 있다.[12]

안양시 무형문화재는 총 3명이다. 생칠장, 방자유기, 평양검무 분야 무형문화재이다.

자연경관
안양시의 서남쪽에는 수리산과 수암봉이 있으며, 북쪽으로는 관악산과 삼성산이 솟아 있다. 또한, 안양시 중심부에서 갈라지는 세 갈래의 물줄기는 각각 안양천, 학의천, 삼성천이다.

수리산
관악산
청계산
삼성산
모락산
안양천
학의천
삼성천
문화시설
안양아트센터[13]
평촌아트홀[14]
안양박물관
김중업건축박물관[15]
돌석도예박물관[16]
학운공원 오픈스쿨
평촌문화갤러리
안양파빌리온
축제
정월대보름 달맞이 축제 (2월)
충훈벚꽃축제 (4월)
안양여성축제 (5월)
안양시 청소년 축제 (5월)
안양단오제 (6월)
안양예술제 (6월)
안양사이버과학축제 (6월)
안양시민축제 (9월)
안양만안문화제 (10월)
안양공공예술프로젝트 (비정기적)
교통

안양역 대합실
철도
경부선과 과천선이 지나며, 각 역에 수도권 전철이 운행한다. 이 중 경부선은 만안구를 지나며, 과천선은 동안구 평촌신도시의 중앙을 관통해 지난다. 안양역에서는 일반열차를 이용할 수 있다.

한국철도공사
● 수도권 전철 1호선
(서울특별시 금천구) ← 석수역 - 관악역 - 안양역 - 명학역 → (군포시)
● 수도권 전철 4호선
(과천시) ← 인덕원역 - 평촌역 - 범계역 → (군포시)
도로

장내로 100번길
국도 제1호선 (경수산업도로)
국도 제47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57호선
서해안고속도로 (광명역 나들목, 일직 분기점, 소하 분기점)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 (산본 나들목, 평촌 나들목)
제2경인고속도로 (일직 분기점, 석수 나들목, 삼막 나들목)
버스
<nowiki /> 안양시의 시내버스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nowiki /> 안양시의 시외버스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스포츠
현재 존재하는 스포츠 구단
리그 구단 명 창단연도 홈 경기장
아시아리그 아이스하키 HL 안양 아이스하키단 1994년 안양종합운동장
KBL 안양 정관장 레드부스터스 1992년 안양체육관
K리그2 FC 안양 2013년 안양종합운동장
아이스하키, HL 안양 (1994-현재) - 1994년, 만도 위니아가 창단했다. 이후 2003년, 아시아리그 아이스하키 출범 이후 원년 시즌에 참가했다. 2022년 2월 기준, 총 우승 6회, 준우승 1회를 기록했다.
농구, 안양 정관장 레드부스터스 (1997-현재) - 1997년, 안양시를 연고지로 하는 프로 농구단 안양 SBS 스타즈가 창단했다. 안양시에서 치른 첫 시즌은 1998-99년 시즌이고 대림대학교 체육관을 홈 경기장으로 사용했다. 현재의 홈 경기장으로 사용하는 안양 실내체육관에서 치른 첫 시즌은 2000-01년 시즌이다. 2022년 2월 기준, 챔피언 결정전 우승 3회, 정규 리그 우승 1회를 기록했다.
축구, FC 안양 (2013-현재) - 2013년 FC 안양이 창단했다. 2022년 2월 기준, 최고 성적은 3위이며 2019시즌과 2021시즌에 각각 기록했다.
과거 존재했던 스포츠 구단
K리그 - 안양 LG 치타스 (1996-2003, 2004년 서울로 연고지 이전)
교육
국공립대학교
  
경인교육대학교 경기캠퍼스
사립대학교
  
성결대학교
안양대학교
사립전문대학
  
대림대학교
연성대학교
원격대학
  
서울사이버대학교 인덕원캠퍼스
고등학교
  
경기게임마이스터고등학교
관양고등학교
동안고등학교
부흥고등학교
안양고등학교
안양공업고등학교
인덕원고등학교
충훈고등학교
평촌고등학교
평촌공업고등학교
평촌경영고등학교
근명고등학교
백영고등학교
성문고등학교
신성고등학교
안양여자고등학교
안양여자상업고등학교
안양예술고등학교
안양외국어고등학교
양명고등학교
양명여자고등학교
평생교육
  
안양상업고등학교
중학교
  
관양중학교
귀인중학교
대안중학교
대안여자중학교
박달중학교
범계중학교
부림중학교
부안중학교
비산중학교
신기중학교
신안중학교
안양중학교
안양부흥중학교
안양서중학교
연현중학교
인덕원중학교
임곡중학교
평촌중학교
호계중학교
호성중학교
근명중학교
성문중학교
신성중학교
안양여자중학교
초등학교
  
관양초등학교
귀인초등학교
나눔초등학교
달안초등학교
덕천초등학교
동안초등학교
만안초등학교
명학초등학교
민백초등학교
박달초등학교
벌말초등학교
범계초등학교
부림초등학교
비산초등학교
비산초등학교
삼성초등학교
샘모루초등학교
석수초등학교
신안초등학교
안양초등학교
안양관악초등학교
안양남초등학교
안양덕현초등학교
안양동초등학교
안양부안초등학교
안양부흥초등학교
안양서초등학교
안양신기초등학교
안양양지초등학교
안양중앙초등학교
안양호암초등학교
안일초등학교
연현초등학교
인덕원초등학교
평촌초등학교
해오름초등학교
호계초등학교
호성초등학교
호원초등학교
화창초등학교
희성초등학교
특수학교
  
안양해솔학교
공공기관
수원지방법원 안양지원
수원지방검찰청 안양지청
안양시 동안구 선거관리위원회, 안양시 만안구 선거관리위원회
경기도안양과천교육지원청
안양동안경찰서, 안양만안경찰서
안양소방서
안양우체국, 서안양우체국, 안양우편집중국, 안양우편물류센터
안양세무서, 동안양세무서
안양등기소
출신 인물
<nowiki /> 분류:안양시 출신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조규성 (축구 선수)

이지이 (여성 래퍼)

정치
<nowiki /> 안양시 동안구의 국회의원 및 안양시 만안구의 국회의원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현행 국회의원 선거구는 제17대 국회때 획정됐으며, 동안구 갑, 동안구 을, 만안구로 총 3개이다. 동안구 을은 평촌동, 호계동(법정동), 동안구 갑은 비산동, 관양동이며, 만안구는 만안구 전체이다. 제20대 국회는 2명이 더불어민주당, 1명이 국민의힘 소속이다.
<nowiki /> 경기도의회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경기도의회 의원은 6개 선거구에서 6명을 선출한다. 동안구는 4개의 선거구, 만안구는 2개의 선거구로 나뉜다. 10대 경기도의회는 6명 모두 더불어민주당 소속이다.

<nowiki /> 안양시의회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안양시의회 의원은 9개 선거구에서 21명을 선출한다. 지역구의원 18명과 비례대표의원 3명이다. 제8대 안양시의회는 13명이 더불어민주당, 8명이 국민의힘 소속이다.
<nowiki /> 안양시장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1973년 읍에서 시로 승격되어 설치된 안양시장직은 첫 전국동시지방선거 전인 1995년까지는 간선제로 선출하였다.

민선1기 시장은 이석용 시장이며, 현임은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선출된 민선5·7·8기 더불어민주당 소속, 최대호 시장이다.

자매결연도시·우호도시
국내 자매결연도시
강원도 영월군 (1996. 04. 26)[17]
충청북도 괴산군 (1996. 04. 26)[17]
충청남도 예산군 (1996. 04. 26)[17]
전라북도 장수군 (1996. 04. 26)[17]
전라남도 함평군 (1996. 04. 26)[17]
경상북도 울릉군 (1996. 04. 26)[17]
경상남도 하동군 (1996. 04. 26)[17]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2001. 10. 12)[17]
국내 우호도시
경기도 연천군 (2016. 09. 02)[17]
충청남도 서천군 (2016. 09. 20)[17]
강원도 양양군 (2019. 06. 21)[17]
국제 자매결연도시
미국의 기 미국
버지니아주 햄튼
캘리포니아주 가든그로브
중국의 기 중국 산둥성 웨이팡 시
러시아의 기 러시아 울란우데
멕시코의 기 멕시코 멕시코시티
브라질의 기 브라질 소로카바
일본의 기 일본 사이타마현 도코로자와시
국제 우호도시
일본의 기 일본 아이치현 고마키 시
중국의 기 중국 허난성 안양 시
교류
전국다문화도시협의회
전국평생학습도시협의회
전국대도시시장협의회

입지 좋은 안양은 외국인이 몰려 투자처로도 괜찮은거 같습니다

https://ko.wikipedia.org/wiki/%EC%95%88%EC%96%91%EC%8B%9C 위키백과

자이(Xi)는 GS건설에서 만든 아파트 전문 브랜드다.

유래
Xi는 eXtra Intelligent의 약자다.

단지 현황
2013년 기준으로 총 140개 이상의 아파트가 지어져 있다.

서울 지역
단지 이름 소재지 규모(세대) 입주 비고
강동자이 서울특별시 강동구 천호대로 1239 596 2003년 11월
개포자이 서울특별시 강남구 개포로109길 69 212 2004년 6월
신도림자이 서울특별시 구로구 새말로18길 64 299 2004년 2월
한강자이 서울특별시 용산구 이촌로54길 15 656 2003년 4월
황실자이 서울특별시 서초구 서초대로 156 67 2005년 11월
강서자이 서울특별시 강서구 가양동 1500 790 2013년 9월
금호자이1차 서울특별시 성동구 금호동2가 1215 401 2012년 1월
금호자이2차 서울특별시 성동구 금호동3가 700 403 2012년 7월
남산세트럴자이 서울특별시 중구 토계로 235 273 2009년 12월
수색자이 서울특별시 은평구 수색동 75 209 2009년 9월
마포자이 서울특별시 마포구 독막로42길 2 53 2003년 12월
마포자이2차 서울특별시 마포구 대흥동 60 558 2014년 3월
묵동자이1차 서울특별시 중랑구 숙천옹주로 6-9 137 2010년 12월
묵동자이2차 서울특별시 중랑구 동일로 932 274 2010년 12월
문래자이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당산로4길 12 1302 2001년 12월
반포자이 서울특별시 서초구 반포동 20-43 3410 2008년 12월
방배자이 서울특별시 서초구 방배로18길 67 136 2003년 10월
보문파크뷰자이 서울특별시 성북구 보문로13길 61 1186 2017년 1월
사당자이 서울특별시 동작구 사당로2가길 102 719 1999년 12월
서울역센트럴자이 서울특별시 중구 만리재로 175 1341 2017년 8월
서초아트자이 서울특별시 서초구 반포대로 58 164 2009년 6월
서초자이 서울특별시 서초구 효령로68길 81 184 2006년 4월
신구로자이
나인스에비뉴 서울특별시 구로구 구로중앙로 134 299 2007년 5월
신길자이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가마산로79길 19 198 2010년 1월
신대림자이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대림동 1121 155 2007년 9월
여의도자이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동로3길 10 202 2008년 4월
영등포아트자이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도림동 - 2014년 3월
용산파크자이 서울특별시 용산구 한강로1가 50-1 995 2005년 12월
이수자이 서울특별시 동작구 사당로 300 140 2010년 12월
청담자이 서울특별시 강남구 영동대로138길 12 708 2011년 10월
청암자이 서울특별시 용산구 삼개로 60 170 2005년 8월
한강밤섬자이 서울특별시 마포구 토정로 158 488 2010년 3월
경기/인천 지역
단지 이름 소재지 규모(세대) 입주 비고
광명역센트럴자이 경기도 광명시 광명역로 28 1005 2018년 12월
그랑시티자이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사동 7653 2020년 2월
구월 아시아드선수촌
센트럴자이 인천광역시 남동구 선수촌로 55 850 2015년 6월
부평자이 인천광역시 부평구 일신로 120 719 2006년 9월
검단자이1차 인천광역시 서구 버들로 27 418 2010년 12월
검단자이2차 인천광역시 서구 오동로 32 413 2010년 12월
서창자이 인천광역시 남동구 장아산로 157 500 2008년 12월
송도자이
하버뷰1차 인천광역시 연수구 컨벤시아대로130번길 58 546 2011년 2월
송도자이
하버뷰2차 인천광역시 연수구 컨벤시아대로130번길 32 523 2011년 2월
영종자이 인천광역시 중구 운남서로 7 1022 2009년 11월
청라자이 인천광역시 서구 청라에메랄드로 30 884 2010년 6월
광교상록자이 경기도 용인시 수지구 광교마을로 62 1035 2012년 8월
교동마을자이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마북로 182 450 2001년 8월
다람마을태안자이 경기도 화성시 진안동 929 386 2004년 9월
만현마을자이 경기도 용인시 수지구 만현로133번길 33 1034 2003년 6월
망포마을수원자이 경기도 수원시 영통구 태장로71번길 19 816 2002년 7월
백동상동자이 경기도 부천시 원미구 조마루로 48 476 2003년 8월
버들치마을성복자이 경기도 용인시 수지구 성복1로164번길 20 719 2010년 5월
서수원자이 경기도 수원시 권선구 입북로 50 921 2009년 2월
성남자이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둔촌대로 363 910 2007년 7월
성동마을수지자이 경기도 용인시 수지구 성복2로 174 500 2010년 9월
신봉마을자이1차 경기도 용인시 수지구 신봉2로 26 1990 2003년 12월
신봉마을자이2차 경기도 용인시 수지구 신봉2로 72 1626 2005년 8월
신봉마을자이3차 경기도 용인시 수지구 신봉1로71번길 25 401 2007년 3월
신산봉자이1차 경기도 군포시 용호1로 55 453 2003년 2월
신산본자이2차 경기도 군포시 고산로151번길 26-23 914 2003년 4월
양주자이1차 경기도 양주시 삼숭로38번길 78-30 786 2005년 8월
양주자이2차 경기도 양주시 삼숭로38번길 78-12 574 2005년 8월
양주자이3차 경기도 양주시 삼숭동 683-1 742 2005년 8월
양주자이4차 경기도 양주시 삼숭동 682-1 852 2005년 8월
양주자이5차 경기도 양주시 삼숭동 681-1 652 2005년 8월
양주자이6차 경기도 양주시 삼숭동 688 735 2006년 4월
양주자이7차 경기도 양주시 삼숭동 689 561 2006년 4월
연원마을자이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연월로 5 396 1999년 12월
오산자이 경기도 오산시 동부대로 332-14 1060 2007년 8월
위시티자이1차 경기도 고양시 일산동구 식사동 1487 1244 2010년 8월
위시티자이2차 경기도 고양시 일산동구 식사동 1498 1975 2010년 9월
위시티자이4차 경기도 고양시 일산동구 식사동 1504 1288 2010년 8월
위시티자이5차 경기도 고양시 일산동구 식사동 1565 915 2010년 10월
자연앤자이1차 경기도 수원시 영통구 에듀타운로 35 273 2012년 12월
자연앤자이2차 경기도 수원시 영통구 에듀타운로 65 522 2012년 12월
자연앤자이3차 경기도 수원시 영통구 도청로17번길 23 378 2012년 12월
죽전자이 경기도 용인시 수지구 죽전동 78-1 109 1998년 1월
죽전자이2차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용구대로2469번길 20 275 2006년 1월
죽현자이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보정로 88 238 2004년 6월
철산래미안자이 경기도 광면시 철산동 634 2072 2009년 11월
평택서재자이 경기도 평택시 동삭동 서재토지구확정리사업지구 72BL-IL 802 2014년 5월
포일자이 경기도 의왕시 내손로 13 2540 2009년 1월
풍무자이1차 경기도 김포시 풍무로96번길 42 445 2010년 6월
풍무자이2차 경기도 김포시 풍무로96번길 100 373 2010년 6월
하남자이 경기도 하남시 덕풍공원로 38 875 2006년 4월
한강센트럴자이 경기도 김포시 감정동 감정1지구 A2블록 1로트 3841 2017년 1월
상동스카이뷰자이 경기도 부천시 부일로 203 405 2018년 9월
충청 지방
단지 이름 소재지 규모 입주 비고
대전센트럴자이1차 대전광역시 중구 대흥동 400-20 874세대 2013년 10월
대전센트럴자이2차 대전광역시 중구 대흥동 400-20 - 2013년 10월
유성자이 대전광역시 유성구 계룡로 55 350세대 2010년 10월
한밭자이 대전광역시 동구 대전로 935 1,063세대 2006년 8월
조치원자이 세종특별자치시 조치원읍 죽림리 396 1,429세대 2008년 10월
쌍용자이 충청남도 천안시 서북구 월봉1길 15 564세대 2007년 1월
청주자이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방서동 - 2018년 9월
천안시티자이 충청남도 천안시 서북구 성성6로 21 1,646세대 2018년 10월
영남 지방
단지 이름 소재지 규모 입주 비고
GS하이츠자이 부산광역시 남구 용호동 1,149세대 2008년 4월
해운대자이 1차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우2동 1,059세대 2013년 2월
해운대자이 2차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우2동 813세대 2018년 1월
대연 자이 부산광역시 남구 대연동 965세대 2019년 1월
마린시티자이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우3동 마린시티 258세대 2019년 9월
거제 센트럴 자이 부산광역시 연제구 거제동 847세대 2018년 10월
명륜자이 부산광역시 동래구 명륜동 671세대 2019년 2월
사직자이 부산광역시 동래구 사직동 사직로 36 249세대 2007년 4월
신화명리버뷰자이 부산광역시 북구 금곡동 1021 792세대 2005년 6월
연산자이 부산광역시 연제구 연산동 괴정로343번길 43 1,598세대 2010년 7월
연지자이1차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동평로183번길 67 547세대 2007년 12월
연지자이2차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초연로 11 1,011세대 2011년 5월
대구역센트럴자이 대구광역시 중구 서성로99 1,245세대 2017년 10월
대신센트럴자이 대구시 중구 달구벌대로 1955 1,147세대 2015년 4월
상인자이 대구광역시 달서구 상원로 142 646세대 2007년 2월
신천자이 대구광역시 동구 신천동 1503 854세대 2013년 8월
월성자이 대구광역시 달서구 월성동 1261 480세대 2006년 11월
안동센트럴자이 경상북도 안동시 당북동 952세대 2015년 3월
포항 자이 경상북도 포항시 남구 대잠동 1,597세대 2018년 8월
무거위브자이 울산광역시 남구 북부순환도로 35 922세대 2013년 8월
울산센트럴자이 울산광역시 남구 달동 1364-6 288세대 2015년 11월
거제자이 경상남도 거제시 해명로 52 1,196세대 2008년 12월
무학자이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합포구 노산서18길 19 705세대 2010년 11월
진영자이 경상남도 김해시 진영읍 김해대로361번길 31 977세대 2007년 12월
진해자이 경상남도 창원시 진해구 동진로21번길 26 516세대 2006년 4월
진주센트럴자이 경상남도 진주시 도동천로 48 401세대 2013년 12월
광려천메트로자이 경상남도 함안군 칠원읍 삼호길 181 1,794세대 2006년 9월
호남 지방
단지 이름 소재지 규모 입주 비고
그린자이1차 광주광역시 북구 양산로71번길 10 467세대 2006년 11월
그린자이2차 광주광역시 북구 양산택지로34번길 22 506세대 2006년 7월
상무자이 광주광역시 서구 백석길 22-23 269세대 2008년 5월
수완자이 광주광역시 광산구 장덕동 1116 433세대 2008년 12월
첨단자이1차 광주광역시 북구 신용동 549 594세대 2010년 3월
첨단자이2차 광주광역시 북구 신용동 863 546세대 2012년 8월
송천자이 전라북도 전주시 덕진구 두간6길 10 428세대 2006년 6월
익산자이 전라북도 익산시 동서로 509 749세대 2006년 6월

역대급 보유 현황, 브랜드의 끝판왕이죠

https://ko.wikipedia.org/wiki/%EC%9E%90%EC%9D%B4_(%EC%95%84%ED%8C%8C%ED%8A%B8) 위키백과

부동산(不動産, 영어: real estate, immovable property)은 토지와 그것에 정착된 건물이나 수목(樹木) 등, 움직여 옮길 수 없는 재산이다. 또한 나라에 따라 특별한 법률에 의하여 입목(대한민국, 일본)이나 철도재단(일본) 등의 준부동산(의제부동산)도 넓은 의미로 하나의 부동산이 될 수 있다.

대한민국 민법은 “토지 및 그 정착물은 부동산”(제99조 제1항)이라고 정의하고 있다. 그리고 “부동산 이외의 물건은 동산이다”(제99조 제2항). 이 외에도 여러 가지 법률을 통해 토지 및 그 정착물에는 토지, 토지와 별개의 독립한 부동산인 건물, 토지에 부착된 수목의 집단(입목)으로 입목등기를 마친 수목, 명인방법을 갖춘 수목이나 수목에서 분리하지 아니한 열매 등의 천연 과실, 토지에서 경작·재배하여 토지에서 분리하지 아니한 농작물 등도 부동산에 해당한다고 규정되어 있다.[1][2]

독립된 부동산으로서의 건물이라고 하기 위하여는 최소한의 기둥과 지붕 그리고 주벽이 이루어지면 된다.

일본 민법은 대한민국 민법과 동일한 정의를 내리며, 다만 부동산은 이동이 용이하지 아니하고 고가의 재산이기 때문에 동산과는 다른 규제를 받는다(제177조)고 정의하고 있다. 또한 부동산은 특별법에 의하여 공장재단, 광업재단, 어업재단, 관광시설재단, 항만운송사업재단, 도로교통사업재단, 자동차교통사업재단, 철도재단, 궤도재단 등도 등기를 통하여 부동산으로 인정된다.

21세기에는 재테크가 필수죠

https://ko.wikipedia.org/wiki/%EB%B6%80%EB%8F%99%EC%82%B0 위키백과

아(어)파트먼트(영어: apartment, 중국어: 公寓, 일본어: アパート, 문화어: 아빠트) 또는 아파트는 공동 주택 양식의 하나로 2층 이상의 건물을 층마다 여러 집으로, 일정하게 구획하여 각각의 독립된 가구가 생활할 수 있도록 만든 주거 형태의 건물이다. 두세 개 이상의 아파트가 모이면 '아파트 단지(n차)'가 되는데, 일반적으로 아파트 단지를 아파트라고 부른다.

어원 및 쓰임새
영어의 apartment(아|어파트먼트)가, 일본어의 アパート(아파토)를 거쳐 한국어 아파트가 되었다. 즉 전형적인 일본어식 영어(Janglish)에 속한다. 이렇게 어원은 본디 하나이지만 실제 쓰임새는 언어권별로 조금씩 다르다.

한국어 '아파트'가 분양용 다층 공동 주택이라는 의미로 쓰이는 데 반해, 영어 'apartment'는 임대용 공동 주택을 뜻하며, 일본어 'アパート'는 서민형 연립 주택을 뜻한다. 한국어 '아파트'의 개념에 가까운 영어 용어를 살펴볼 때, 임대용이 아닌 분양용이라는 점에서는 콘도미니엄에 해당하며, 형태상으로 아(어)파트먼트 빌딩이라 할 수 있다. 특히 고층 아파트의 경우에는 하이 라이즈(high-rise) 또는 아(어)파트먼트 타워라고 한다. 한편 한국어 '아파트'에 해당하는 일본어는 マンション(mansion, 맨션)이며, 일본어 'アパート'는 다세대 주택의 의미이다.

공간 구성 및 면적
대한민국에서 아파트 한 채의 규모는 1972년 12월 30일에 제정된 법률 제2409호와 1977년 12월 31일에 전문개정된 주택건설촉집법의 시행령과 시행규칙에 따라 건축법시행령의 규정에서 밝힌 바닥면적을 기준으로 한다.[1]

아파트의 공간구성은 전용부분과 공유부분으로 구분된다. 대한민국에서는 1995년 11월에 주택법시행규칙이 개정되면서 법적으로 아파트 면적을 주거전용면적과 주거공용면적, 기타공용면적으로 구분하고 있다. 주거전용면적은 1998년 11월에 동시행규칙이 개정되면서 마련되었는데, 외벽의 내부선을 기준으로 산정하되 복도, 계단, 옥탑, 전기 및 기계실, 보일러실, 지하실, 관리사무실, 경비실, 세대간 경계벽, 파이트덕트 및 환기덕트 등을 제외한 면적이다. 주거공용면적에는 아파트의 지상층에 있는 공용 부분(계단, 복도, 현관 등)과 아파트 발코니 바닥면적 공제분 초과면적, 그리고 외벽 중심선 안쪽과 호간 경계벽이 포함된다. 기타 공용면적에는 지하주차장[2]을 포함한 지하층과 관리사무소, 경비실, 노인정 등이 포함된다. 이 외에도 전면 발코니 및 후면 발코니와 덕트, 슈트 등의 면적을 뜻하는 서비스면적[3]이 있는데, 대한민국 법령에서 규정한 용어는 아니다.[4] 그런데 서비스면적 중 하나인 발코니를 확장하여 거실, 침실, 창고 등의 실내공간으로 바꾸어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5]

등기면적은 집합건물의 구분소유권을 정의할 목적으로 대한민국 건축법에서 정의한 용어로, 공용면적을 제외한 세대별 주거전용 면적을 뜻한다. 분양면적은 주거전용면적과 주거공용면적을 합한 것이고 계약면적은 분양면적에 기타공용 면적까지 더한 것이다. 분양면적과 계약면적은 대한민국 법령에서 정한 용어는 아니다. 한편 계약면적과 같은 개념으로 법령에서 정한 용어는 아파트 (주택)공급면적이다. (주택)공급면적은 사업주체가 각각의 세대에 공급하는 주택의 면적으로 건축법에서 정한 바닥면적을 의미한다. 총(공급)면적은 (주택)공급면적에 서비스면적까지 합한 것인데, 법령에서 정한 용어가 아니다.[6]

아파트 면적과 관련된 비율로는 공급면적대비 전용율(=전용면적/공급면적), 계약면적대비 전용률(=전용면적/계약면적) 등이 있다.[7] 일반적으로 '아파트 전용율'이라고 하면 공급면적대비 전용율을 뜻한다.

각국의 아파트
현재 이 문단은 주로 한국에 한정된 내용만을 다루고 있습니다.
다른 국가·지역에 대한 내용을 보충하여 문서의 균형을 맞추어 주세요. 내용에 대한 의견이 있으시면 토론 문서에서 나누어 주세요. (2021년 5월)
대한민국
대한민국의 아파트는 중앙정원형 아파트, 주상복합 아파트의, 외인 아파트, 선형식아파트, 주공아파트, 초고층 주상복합 아파트 등이 있다.

1958년에는 2층짜리 아파트를 지었으며, 2002년에서 2004년 사이에는 서울에 위치한 타워팰리스가 준공되었다. 2011년에는 부산 해운대에 위치한 해운대 두산 위브 더 제니스가 준공되었으며, 2015년에는 인천 송도에 위치한 송도 아트윈 푸르지오가 준공되었다.

역사
<nowiki /> 이 부분의 본문은 대한민국 아파트의 역사입니다.
해방 이후 등장한 아파트는 1958년에 152가구가 생활하도록 지어진 종암아파트였다. 1969년에는 주택난 해소를 위해 서울시가 건설에 참여하였으며, 이후로 민간업체들이 다수 참여하게 되었으며, 석유 파동 이후로 물가가 폭등하면서 환물 대상으로 인식되어 아파트 건설에 과열 현상이 시작되었다.[8]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현재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 가장 높은 아파트는 려명거리 아파트다. '아빠트'라고 표기되며 '다층살림집'은 이것보다 적은 층수의 주택을 의미한다.

주택보다 선호도가 높아 한국에서는 불패신화를 이어가고 있죠

https://ko.wikipedia.org/wiki/%EC%95%84%ED%8C%8C%ED%8A%B8 위키백과

전체 평균 경쟁률 11.98대1 최고는 190대1이라니 어마어마하네요

사계절 숲으로 둘러싸여 있어 쾌적한 환경을 조성하는 숲세권으로 친환경적인 분위기로 아이들의 정서에도 좋습니다.

이 글을 공유합시다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nav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