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

국내 종합병원 소개

by 복날집 2023. 12. 1.

국내 종합병원 소개 

연세대학교 의료원(延世大學校 醫療院, 영어: Yonsei University Health System)은 1885년에 설립된 대한민국의 병원 단지로서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부속 병원을 총칭한다.

연세대학교 의료원은 1885년 미국 선교의사 호러스 뉴턴 알렌에 의해 세워진 한국 최초의 현대적 의료기관으로서 광혜원으로 출발하여 제중원, 세브란스병원을 거쳐 현재의 의료원으로 성장하였다. 우리나라 의료계를 선도하는 기관으로 창립 이래 한결같이 국민 대중의 건강을 지켜 온 연세의료원의 역사는 곧 이 땅의 기독교, 의학 교육과 연구, 병원의 역사와 그 맥을 같이하고 있다.

연세대학교 의무부총장 겸 의료원장 산하에 교육기관으로는 보건대학원, 간호대학원, 의․치학전문대학원과 의과대학, 치과대학, 간호대학이 있으며 현재까지 졸업생은 총 25,985명에 이르고 있다. 또한 진료기관으로는 세브란스병원, 강남세브란스병원, 치과대학병원, 용인세브란스병원 등이 있으며 세브란스병원 산하 연세암병원, 재활병원, 심장혈관병원, 안․이비인후과병원, 어린이병원과 강남세브란스병원 산하 척추병원, 치과병원, 암병원 등 총 9개의 전문병원이 있다. 행정부서는 원목실, 감사실, 기획조정실, 대외협력처, 인재경영실, 디지털헬스실, 사무처, 의과학연구처, 제중원보건개발원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밖에도 의학도서관, 대학부설연구소 및 연구협력센터 등이 있다.

개요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과 세브란스병원(연세대학교의과대학세브란스병원), 연세대학교 치과대학병원, 강남 세브란스병원(연세대학교의과대학강남세브란스병원), 용인세브란스병원(연세대의대부속용인세브란스병원)과 원주연세의료원 산하의 연세대학교 원주세브란스기독병원 등으로 구성된다. 연세대학교 본교가 있는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신촌동과 강남세브란스병원이 있는 서울특별시 강남구 언주로 211, 용인세브란스병원이 있는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금학로 225 등에 산재되어 있다.

연혁
1885년 : 미국 북장로교에서 파견된 앨런 박사에 의하여 광혜원 설립 (서울 종로구 재동)
1885년 : 제중원으로 개칭
1886년 : 최초의 의학생 선발
1904년 : 도동에서 제중원을 기반으로 한국 최초의 종합병원, 세브란스 병원 설립
1909년 : 사립 세브란스 의학교로 교명 제정
1917년 : 사립 세브란스연합의학전문학교 인가 - 조건부 10년 기한의 인가
1923년 : 세브란스의학전문학교 재인가
1942년 : 아사히의학전문학교로 변경(적산재산몰수정책에 의하여 교명 변경)
1945년 : 세브란스의학전문학교 명칭 회복 복권
1947년 : 세브란스의과대학으로 승격
1957년 : 연희대학교와 통합되어 연세대학교로 개명
1967년 : 치과대학 설치
1968년 : 간호대학 설치
1978년 :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원주분교 설치
1983년 : 영동병원 개원, 용인 및 광주분원 개원
1991년 : 세브란스병원 심장혈관센터 개원
1993년 : 광주세브란스병원 폐쇄
2008년 : 영동세브란스병원 -> 강남세브란스병원으로 명칭 변경
2009년 : 대한민국 최초 존엄사 시행[1]
병원 현황
세브란스병원
연세암병원
강남세브란스병원
용인세브란스병원
연세대학교 치과대학병원

https://ko.wikipedia.org/wiki/%EC%97%B0%EC%84%B8%EB%8C%80%ED%95%99%EA%B5%90_%EC%9D%98%EB%A3%8C%EC%9B%90 위키백과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가톨릭大學校서울聖母病院,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Seoul St. Mary's Hospital)은 서울특별시 서초구 반포대로 222(반포동)에 위치한 병원이다. 별관 앞에 국립중앙도서관이 위치하고 있기도 하다.

1980년 5월 3일 강남성모병원으로 개원하여 강남지역의 중요한 의료서비스를 담당하고 있다. 2009년 3월 23일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으로 이전 개원했다.국민보건과 의료복지 향상을 설립 목적으로 삼고 있다.

병원 단지 내에는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간호대학, 의과대학원 등 교육기관이 함께 자리하고 있으며 가톨릭중앙의료원, 의과학연구원 그리고 산학연구센터가 함께 있다.

연혁
1980년 강남성모병원으로 개원
2009년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으로 변경

주소 서울특별시 서초구 반포대로 222
개원 1980년
상급기관 가톨릭중앙의료원
종류 3차 의료급여기관
진료과목 28
병상수 1355

https://ko.wikipedia.org/wiki/%EA%B0%80%ED%86%A8%EB%A6%AD%EB%8C%80%ED%95%99%EA%B5%90_%EC%84%9C%EC%9A%B8%EC%84%B1%EB%AA%A8%EB%B3%91%EC%9B%90 위키백과

삼성의료원은 삼성그룹에서 설립한 병원들을 일컫는 대한민국의 의료집단이다. 삼성서울병원을 중심으로 강북삼성병원, 삼성창원병원, 삼성생명과학연구소, 경기도 수원시에 위치하는 성균관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과 의과대학을 운영한다. 1994년 11월 9일 삼성서울병원이 강남구 일원동에 1100병상 규모로 개원했다. 2010년, 삼성의료원 산하 마산삼성병원이 성균관대학교 의과부속대학병원으로 전환되어 성균관대학교 삼성창원병원으로 개칭했다.

병원 목록
삼성서울병원
삼성서울병원은 삼성생명공익재단에서 운영하는 병원이다. 서울특별시 강남구 일원로 81에 있으며, 지상 20층, 지하 5층의 본관과 지상 8층, 지하 4층의 별관 및 부속건물로 이루어져 있다. 2007년 현재 총 1,278개의 병상, 40개의 진료과와 8개의 특성화 센터, 100여 개의 특수 클리닉이 있다. 별관동에는 생명과학의 산업화를 위해 설립된 삼성생명과학연구소가 있다.

삼성서울병원(강남구 일원동)의 인력을 보면 의사 950여 명, 연구원 29명, 간호사 1380여 명, 의료기사 500여 명, 약사 70여 명과 기타 인원 등 모두 4700여 명의 인원이 근무하고 있다. 3개병원을 모두 합칠 경우 의사는 1400여 명을 비롯 모두 7100여 명이다.

2015년에 창궐한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의 병원 내 감염이 이 병원에서 대량으로 이루어짐으로 인해서 메르스 숙주병원이라는 오명을 쓰게 되었다.[1][2][3][4][5][6][7] 2015년 7월까지 국내 메르스 확진자 186명 중 절반에 가까운 90명의 확진자가 삼성서울병원에서 발생되었고, 현재로서는 메르스의 2차 이상의 감염의 진원지로 알려지고 있다.[8][9] 이 병원은 이로 인하여 병원의 일부를 폐쇄하는 결정을 내리기에 이르렀다.

강북삼성병원

강북삼성병원
강북삼성병원은 의료법인 삼성의료재단에서 운영하는 병원이다. 1968년 11월 2일 고려병원이란 이름으로 개원한 강북삼성병원은 설립 당시 최신 의료기자재와 병동 시설을 갖춘 대규모 민간의료기관으로 주목을 받았다. 1981년 국내최초로 종합건강검진센터를 개설하였으며, 1994년 삼성의료원으로 편입, 1995년에 강북삼성병원으로 명칭을 변경했다.

2002년 수원에 종합건강검진센터를 추가 오픈하였으며, 2007년에는 국내최대 당뇨혈관센터를 오픈했다. 미국 볼티모어 존스홉킨스 보건대학원과 2009년 MOU를 통해 세계적인 규모의 임상 역학연구를 진행하고 있으며 2011년에는 유방·갑상선 암센터를 오픈해 진단에서 수술까지 2주 프로세스를 정착시켰다. 2013년에는 진료당일 암 확진, 3일 내 수술, 수술 후 7일 내 퇴원이라는 1.3.7 원스톱 서비스를 앞세운 소화기 암센터를 오픈하여 운영하고 있다. 병원 내 김구가 해방 후 집무실 겸 숙소로 사용하던 경교장이 있다.

2014년 기준으로 300여명의 의사와 600여명의 간호사를 포함한 약 2,200여명의 인력이 근무하고 있으며 4개의 특성화 센터(건강검진, 당뇨, 유방·갑상선, 소화기암)를 중심으로 운영하고 있다. 서울특별시 종로구 새문안로 29에 있다.

의료법인 삼성의료재단은 한때 제일병원을 운영하기도 했으나 분리되었다.

성균관대학교 삼성창원병원

성균관대학교 삼성창원병원
2010년 7월 1일에 마산삼성병원이 학교법인 성균관대학으로 전환되어 성균관대학교 삼성창원병원이 되었다. 성균관대학교 삼성창원병원은 경상남도 최초로 심장수술과 불임환자 체외수정, 신장이식 수술에 성공한 병원이다. 심장센터와 불임센터가 있으며, 삼성제일병원과 연계해 불임클리닉을 운영하고 있다.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회원구 팔용로 158에 위치하고 있으며, 경상남도 권역응급의료센터[10]이다. 2021년 보건복지부로부터 창원시 최초의 상급종합병원으로 지정되었다.

대학 목록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은 경기도 수원시 장안구 서부로 2066에 위치하고 있는 성균관대학교 자연과학캠퍼스 내에 위치하고 있다. 현재 삼성그룹에서는 공식 부속병원이 아닌 삼성의료원 의사들을 성균관대학교 교수로 임용한 뒤, 그 급여를 성균관대학교에 매년 기부하는 방식으로 운영하고 있다.

https://ko.wikipedia.org/wiki/%EC%82%BC%EC%84%B1%EC%9D%98%EB%A3%8C%EC%9B%90 위키백과

이화여자대학교 의과대학부속 서울병원(梨花女子大學校 醫科大學部屬 서울病院 /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Hospital) 또는 이대서울병원은 서울특별시 강서구에 위치한 종합병원이다. 이화여자대학교에서는 의대 본과교육을 이대목동병원에서 이대서울병원으로 옮겨 시행하고 있다.

연혁
2014년 4월 이화의료원, 제2부속병원 및 의과대학 설계안 발표
2017년 7월 이화의료원, 서울특별시 강서구 마곡지구 새 병원 이름 '이대서울병원'으로 확정
2019년 2월 7일 이대서울병원 진료 개시
2019년 5월 23일 이대서울병원 정식 개원

주소 서울특별시 강서구 공항대로 260
개원 2019년
상급기관 이화여자대학교 의료원
종류 2차 의료급여기관
진료과목 40
병상수 747

https://ko.wikipedia.org/wiki/%EC%9D%B4%EB%8C%80%EC%84%9C%EC%9A%B8%EB%B3%91%EC%9B%90 위키백과

분당서울대학교병원(盆唐서울大學校病院)은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구미로173번길 82에 있는 대한민국의 의료기관이다.

개요
2003년 5월 성인 및 노인성 질환을 다루는 목적으로 병원을 개원하였다. 개원 때부터 한국 최초의 디지털 병원을 지향해 종이 차트, 종이 처방전, 영상 필름, 종이 서류가 없는 당시로서는 매우 첨단화된 병원으로 출범하였다. 서울대학교병원의 첫 번째 분원으로, 서울의대 의료진의 명성과 첨단시스템에 힘입어 빠르게 성장해 단일 병원을 기준으로 서울성모병원과 비슷한 5위 혹은 6위의 규모이다. 2013년에는 뇌신경 질환과 암센터에 특화된 신관을 건립하였으며, 이후 한국토지주택공사의 사옥을 인수해 헬스케어혁신파크(HIP)를 건립하여 의료 연구 개발에 나서고 있다. 수술로는 복강경(배에 작은 구멍만 뚫어 수술하는 기법)을 통한 암수술과 뇌신경 수술, 심장 수술 등이 유명하며, 로봇을 활용하는 수술 등 수술의 선진화를 지향하고 있다. 교육부 산하의 공공기관이다.

역사
2003년 3월 1일 설립이 결정되었으며, 그해 6월 25일에 서울대병원 분원으로 공식 개원하였다.

주소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구미로173번길 82
좌표 북위 37° 21′ 08″ 동경 127° 07′ 24″
개원 2003년 6월 25일
상급기관 서울대학교병원
종류 3차 급여기관
권역응급의료센터[1]
진료과목 28
병상수 1,432[2]

https://ko.wikipedia.org/wiki/%EB%B6%84%EB%8B%B9%EC%84%9C%EC%9A%B8%EB%8C%80%ED%95%99%EA%B5%90%EB%B3%91%EC%9B%90 위키백과

강릉아산병원(Gangneung Asan Hospital)은 강릉시에 위치한 상급종합병원이다. 아산사회복지재단이 설립하였다. 강원 영동지역의 최대 종합병원이며 2021년 10월 현재 허가 병상수는 804병상이다.

연혁
1996년 11월 1일 강릉병원으로 개원
2002년 4월 1일 강릉아산병원으로 명칭 변경
2015년 10월 14일 신관 개관
2021년 1월 제4기 상급종합병원 지정
권역응급의료기관
강원영동권역응급의료센터로 지정되어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고성군, 속초시, 양양군, 동해시, 삼척시, 정선군, 태백시, 평창군을 관할한다.[2]

주소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사천면 방동길 38
개원 1996년
상급기관 아산사회복지재단
종류 3차 급여기관
권역응급의료센터[1]
진료과목 33개
병상수 804

https://ko.wikipedia.org/wiki/%EA%B0%95%EB%A6%89%EC%95%84%EC%82%B0%EB%B3%91%EC%9B%90 위키백과

경상국립대학교병원(慶尙國立大學校病院)(GNUH)은 1987년 2월 21일 경상대학교 의과대학 부속병원으로 개원했다. 교육.연구와 진료를 통하여 의학발전을 도모하고 국민보건 향상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1995년 10월 4일 법인병원으로 변경되었으며, 2008년 12월 31일 현재 대지면적 58,449m2, 건물면적 73,180m2으로 1,390여명의 직원이 종사하고 898허가병상을 운용하고 있는 경남지역 거점병원이다. 교육부 산하 기타공공기관으로 경상남도 진주시 강남로 79(칠암동 90번지)에 위치하고 있다.

연혁
2019년 1월 31일 : 경남권역응급의료센터 개소[1]
2018년 1월 25일 : ISMS 인증 획득
2017년 9월 25일 : 수면다원검사실 개소
2017년 9월 21일 : 경남광역치매센터 개소
2017년 11월 29일 경남 권역외상센터 선정
2016년 11월 1일 : 간호·간병통합서비스병동 개소식
2016년 6월 17일 : 경남권역관절염센터 개소식
2016년 6월 10일 : 창원경상대학교병원 개원
2011년 12월 16일 : 상급종합병원 지정
2009년 10월 23일 : 전자의무기록시스템(EMR) 오픈
2007년 5월 15일 : 경남지역암센터 개원식
1998년 6월 1일 : 종합의료정보시스템 가동
1998년 2월 15일 : 응급의료센터 신축공사 준공
1994년 9월 2일 : 기숙사 준공
1992년 10월 28일 : 교육연구동 준공
1991년 9월 16일 : 병동 증축공사 준공 (173병상)
1989년 7월 1일 : 3차 진료기관으로 지정
1987년 2월 21일 : 의과대학 부속병원 개원
1982년 10월 5일 : 의과대학 신설 인가
주요 센터
구분 규모 면적(m²)
본관 지하1층, 지상7층 38.566
응급센터 및 심뇌혈관질환센터 지하1층, 지상7층 11,034
경남지역암센터 지하1층, 지상6층 12,308
사이버나이프센터 지하1층 372
권역경남관절센터 지하1층, 지상8층 14.847
기타 - 14,196
권역응급의료센터
경남진주권역응급의료센터로 지정되어 경상남도 진주시, 고성군, 남해군, 사천시, 산청군, 통영시, 하동군, 함양군을 관할한다.[2]

장례식장
병원직영의 종합 장례서비스를 제공한다. 1층 ~ 2층까지의 공간이 있고, 1층에 2개의 넓은 공간(66평, 87평), 2층에는 중소규모의 7개의 공간이 있어 모두 9개로 운영된다. 기타, 별도의 홈페이지를 운영하고 있다.

경상국립대학교 칠암 캠퍼스

의과대학

간호대학
의과대학
학습관
교육관
의학관
의학도서관
간호대학
간호대복합교육센터
학생생활관 홍지관
경상국립대학교병원
본관
경남지역암센터
응급의료센터
사이버나이프센터
장례식장
교수연구동
주차장
분원
창원경상국립대학교병원
경상남도마산의료원

주소 경상남도 진주시 강남로 79
(경상남도 진주시 칠암동 90)
개원 1987년
상급기관 경상국립대학교
종류 3차급여기관
진료과목 24
병상수 900

https://ko.wikipedia.org/wiki/%EA%B2%BD%EC%83%81%EA%B5%AD%EB%A6%BD%EB%8C%80%ED%95%99%EA%B5%90%EB%B3%91%EC%9B%90 위키백과

서울아산병원(영어: Seoul Asan Medical Center) 줄여서 AMC는 HD현대그룹 소속의 대한민국의 상급종합병원이다. 정주영이 설립하였으며, 총 2,715 병상을 보유하고 있다. 49개 진료과, 33개 전문센터, 6개의 전문 클리닉 및 암병원, 심장병원, 어린이병원을 운영하고 있다.

역사
현대그룹의 창업주인 정주영은 1977년 '아산사회복지재단'을 출범시킨 뒤 대한민국의 농촌, 어촌 등 의료 취약 지역에 병원을 지어왔다. 그러던 중 정주영은 운영 중인 병원들의 상위 병원 역할을 하면서, 대한민국의 의학 발전을 선도해, 세계 최고의 의료 수준을 보유할 병원을 만들겠다는 목표를 세운다. 그리하여 1989년 6월 23일 상위 병원의 역할을 강조한 '중앙'이라는 단어를 넣은 '서울중앙병원'이라는 이름으로 개원한다. 개원 당시 병상 규모는 1,100개였다. 당시 서울대학교병원의 내과 과장이었던 이문호와 고려대학교 구로병원 원장이었던 민병철을 초청해 병원 운영의 전권을 주었다. 이들은 각각 초대 병원장과 2대 병원장을 맡게 된다. 이들은 대한민국과 국외에서 활동 중인 실력 있는 의사들을 찾아 의사진을 구성하였다. 이후 넓은 부지를 활용해 동관과 신관을 증축하면서 병상은 2,680개까지 늘고, 의사 수도 2013년 기준으로 1,600여 명에 달하게 된다.[1][2][3]

연혁과 주요 기관
연혁
1989년 6월 23일 서울중앙병원으로 개원
1990년 생명과학연구소 개소
2002년 서울아산병원으로 명칭 변경
주요 기관
서울아산병원 암병원 : 서관 1층에 위치한 서울아산병원 암병원은 2003년 12월 암센터로 개소, 2014년 9월 암병원으로 개원되었다.
서울아산병원 심장병원 : 동관 1층에 위치한 서울아산병원 심장병원은 2006년 심장병센터로 개소, 2009년 11월 심장병원으로 개원되었다.
서울아산병원 어린이병원 : 신관 1층에 위치한 서울아산병원 어린이병원은 2009년 소아청소년병원으로 개원, 2014년 어린이병원으로 개칭되었다.

주소 서울특별시 송파구 올림픽로43길 88
개원 1989년 6월 23일
상급기관 현대중공업그룹, 아산사회복지재단
종류 3차 의료급여기관
진료과목 49개
병상수 2715개

https://ko.wikipedia.org/wiki/%EC%84%9C%EC%9A%B8%EC%95%84%EC%82%B0%EB%B3%91%EC%9B%90 위키백과

인제대학교 서울백병원(仁濟大學校 서울白病院)은 인제대학교 부속 종합병원이다.


상계백병원

서울백병원
1941년에 경성의학전문학교 외과 주임교수이던 백인제가 경성부에서 개원한 외과 병원을 모체로 삼고 있다. 백인제가 내건 표어는 인술제세(仁術濟世)와 인덕제세(仁德濟世)였다. 1946년에 한국 최초의 민립 공익법인으로 재단법인 백병원이 설립되었다.

그러나 1950년에 한국 전쟁이 발발하면서 초대 원장인 백인제가 동생 백붕제와 함께 납북되었다. 1946년 12월 17일 백인제가 우리나라 최초로 설립한 민립공익법인 ‘재단법인 백병원’은 ‘학교법인 인제학원’(1979.1.12. 문교부 정식허가. 설립자 대표 백낙조)으로 새롭게 태어났으며, 아울러 백중앙의료원이 탄생하였다.

인제대학교는 백병원을 모태로 설립되어 종합대학으로 승격한 학교이다. 서울백병원(270병상), 부산백병원(903병상), 상계백병원(790병상), 일산백병원(800병상), 해운대백병원(1004병상)의 다섯 개 병원을 운영 중이다. '한국의 슈바이처'로 불리는 장기려는 백인제의 제자였으며 부산백병원 명예원장을 지냈다.

주소 서울특별시 중구 마른내로 9
개원 1941년 1월 백인제외과병원
1946년 12월 한국 최초 민립공익 법인 '재단법인 백병원' 설립
폐원 2023년 8월 31일
종류 2차 의료급여기관

https://ko.wikipedia.org/wiki/%EC%9D%B8%EC%A0%9C%EB%8C%80%ED%95%99%EA%B5%90_%EC%84%9C%EC%9A%B8%EB%B0%B1%EB%B3%91%EC%9B%90 위키백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