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

2022 월드컵 대한민국 축구

복날집 2023. 12. 6. 08:17
  • 카카오톡 공유하기
  • 네이버블로그 공유하기
  • 네이버밴드 공유하기
  • https://tistory1.daumcdn.net/tistory/3073546/skin/images/facebook.png
  • 트위터 공유하기
반응형

2022 월드컵 대한민국 축구

2022년 FIFA 월드컵(아랍어: 2022 بطولة كأس العالم لكرة القد)은 2022년 11월 20일부터 12월 18일까지 카타르에서 개최된 제 22회 FIFA 월드컵으로, 사상 최초로 11월과 12월에 열린 월드컵이다.

아랍권뿐만 아니라 이슬람권에서 열리는 첫 번째 월드컵으로, 대한민국과 일본에 열린 2002년 FIFA 월드컵 이후 20년 만에 아시아 대륙에서 다시 열리는 월드컵[2]이다. 1998년 FIFA 월드컵부터 24년 동안 진행된 32개국 체제의 마지막 월드컵으로, 다음 대회인 2026년 FIFA 월드컵부터는 출전국이 48개국으로 늘어난다.

개최국 자격으로 본선 진출에 처음으로 성공한 카타르 축구 국가대표팀은 조별 리그 3경기에서 모두 패배를 기록하면서, 전패를 기록한 첫 번째 개최국이자 개막전에서 패배를 기록한 최초의 개최국, 2010년 남아프리카 공화국에 이어서 조별 리그를 통과하지 못한 두 번째 개최국이 되었다.

결승전에서 아르헨티나는 지난 대회 준우승국인 프랑스를 상대로 연장전 끝에 3-3으로 승부를 가르지 못한 후, 승부차기 끝에 4-2로 이겨 1986년 이후 36년 만의 우승을 차지했다. 2006년 결승전 이후 16년만에 승부차기로 우승국이 결정됐으며, 프랑스의 킬리안 음바페는 1966년 결승전의 제프 허스트 이후 결승전에서 해트트릭을 기록한 최초의 선수가 되었고, 대회에서 8골을 득점하며 골든 부츠를 수상했다. 아르헨티나의 주장 리오넬 메시가 팀의 우승을 이끌며 2014년 이후 두 번째 골든볼을 수상하면서 대회 최우수 선수에 선정됐고, 아르헨티나의 에밀리아노 마르티네스와 엔소 페르난데스가 각각 골든 글러브와 영플레이어상을 수상했다.

월드컵 우승을 이끈 리오넬 스칼로니는 1978년 5월 16일생(대회 당시 만 44세)으로 이 월드컵 출전 감독 중 최연소 감독이다.

개최국 선정
<nowiki /> 이 부분의 본문은 2018년 및 2022년 FIFA 월드컵 개최국 선정입니다.
2018년과 2022년 FIFA 월드컵 유치전은 2009년 1월에 막이 올랐고, 유치 의사가 있는 국가 협회는 2009년 2월 2일까지 등록할 수 있었다. 멕시코는 중도에 포기했고, 인도네시아의 유치 의사는 정부가 유치 의사를 담은 서류를 제출하지 않음에 따라 2010년 2월 FIFA에 의해 거절되었다.

2010년 12월 2일 스위스 취리히에서 열린 22명의 FIFA 집행위원회 위원의 투표를 통해 카타르 2022년 FIFA 월드컵 개최국이 결정되었다. 카타르는 대한민국과 일본이 공동 개최한 2002년 FIFA 월드컵 이후 아시아에서는 2번째, 중동에서는 1번째 월드컵 개최국이 되었는데, 이 과정에서 카타르 정부가 FIFA에게 500만 달러의 뇌물을 줘서 개최국 자격을 획득했다는 논란에 휩싸였다.[3]

투표 결과 (12표 이상 과반수)
국가 득표율
1차 투표 2차 투표 3차 투표 4차 투표
카타르의 기 카타르 11 10 11 14
미국의 기 미국 3 5 6 8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 4 5 5 –
일본의 기 일본 3 2 – –
오스트레일리아의 기 오스트레일리아 1 – – –
본선 참가국 확대 가능성
2018년 4월 12일 남미 축구 연맹(CONMEBOL)은 FIFA 측에 2026년 FIFA 월드컵 개최 4년 전에 열리는 2022년 FIFA 월드컵 참가국 수를 32개국에서 2026년 FlFA 월드컵부터는 48개국으로 확대할 것을 요구했다. 잔니 인판티노 FIFA 회장은 CONMEBOL의 구상을 지지했지만 FIFA는 해당 결정을 유보했다.[4] 이에 따라 FIFA는 개최국 카타르의 동의 여부를 확인한 이후에 FIFA 평의회에서 해당 안건을 다루기로 결정했다.

FIFA는 2019년 3월에 실시된 타당성 조사를 통해 2022년 FIFA 월드컵이 1개 이상의 이웃 나라와 2~4개의 경기장을 추가하면 2026 FlFA 월드컵부터는 48개국이 참가하는 대회로 확장할 수 있다는 결론을 내렸다. FIFA는 대회 형식을 변경함으로써 유치 경쟁자를 잃거나 법적 조치를 배제할 수는 없지만 그러한 위험은 낮다는 결론을 내렸다. 이에 따라 FIFA와 카타르는 2019년 6월에 열릴 FIFA 평의회, FIFA 총회에서 이웃 나라와의 공동 개최를 모색할 예정이라고 밝혔고 해당 안건이 받아들일 경우에는 2019년 6월에 프랑스 파리에서 열릴 제69차 FIFA 총회에서 해당 안건이 채택할 예정이었다.[5] 하지만 FIFA는 2019년 5월 22일에 공개된 공식 성명을 통해 2022년 FIFA 월드컵에서는 32개국이 참가한다고 밝혔다.

지역 예선
<nowiki /> 이 부분의 본문은 2022년 FIFA 월드컵 예선입니다.

  진출국
  예선 참가국
  예선 불참/기권/실격국
  FIFA 비회원국
  예선 탈락국
FIFA의 6개 대륙 연맹은 자체 예선 대회를 조직한다. 현재 211개국 모든 FIFA 회원 협회가 참가 자격이 있었다. 주최국인 카타르는 자동으로 토너먼트 진출 자격을 얻었다. 그러나 아시아 축구 연맹은 첫 두 라운드가 2023년 AFC 아시안컵 예선을 겸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카타르가 아시아 지역 예선에 참가할 것을 의무화했다.[6] 카타르가 아시아 2차예선 E조 1위를 기록하며 결승에 진출한 이후 각조 2위팀 중 5번째인 레바논(아시아 2차예선 H조 2위)이 대신 진출했다.[7] 현 월드컵 챔피언 프랑스도 예선을 통과했다.[8] 세인트루시아는 처음에 예선에 참가했지만 첫 경기 전에 예선에서 기권했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북한)은 코로나-19 감염증(코로나19) 팬데믹(세계적 대유행)으로 인한 안전 문제로 2차예선을 도중 기권하였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기권하는 바람에 투르크메니스탄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을 이긴 경기가 취소되어 억울하게 탈락했고 그 자리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게 패배한 레바논이 대신했다. 한편 미국령 사모아와 사모아는 오세아니아 지역 예선 조추첨 전에 모두 기권하였다. 통가는 2022년 훙가 통가-훙가 하아파이 화산 분화와 쓰나미 이후 철수했다. 대표팀 선수단에서 코로나-19 발생으로 인해 바누아투 축구 국가 대표팀과 쿡 제도 축구 국가대표팀 도 철수했다.(코로나19 범유행 재확산)

2022년 6월 5일 기준으로 2018년 이전 토너먼트에 참가한 22개국을 포함하여 30개국이 결승전에 진출했다. 카타르는 FIFA 월드컵에 데뷔한 유일한 팀으로 이탈리아 이후 처음으로 토너먼트 데뷔를 한 개최국이 되었다. 그 결과 2022년 월드컵은 예선을 통해 진출한 팀이 한 팀도 데뷔하지 못한 첫 월드컵이 됐다. 네덜란드, 에콰도르, 가나, 카메룬, 미국이 2018년 대회에서 지역예선 탈락한 뒤 본선 대회에 복귀했다. 캐나다는 36년 만에 돌아왔고, 그들이 참가한 이전 월드컵은 1986년이었다.[9] 웨일스는 64년만에 두번째 출전을 했다. 이는 유럽 팀의 기록 격차이며 1958년에 있었던 유일한 참가였다.[10]

4회 세계 챔피언이자 현 유럽 챔피언인 이탈리아는 사상 처음으로 2회 연속 월드컵 진출에 실패하여 유럽 예선 플레이오프 준결승전에서 졌다.[11] 이탈리아는 예선에 실패한 유일한 전 챔피언이었다. 2018년 월드컵 개최국인 러시아는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인해 출전 자격이 박탈되었다.[12] 칠레는, 2015년 및 2016년 코파 아메리카 우승팀이었지만 2회 연속 본선 진출에 실패했다. 나이지리아는 지난 3번의 월드컵과 지난 7번의 월드컵 중 6번의 월드컵 본선 진출에 성공했지만 아프리카 최종 플레이오프 라운드에서 원정 다득점으로 가나에 뒤져서 탈락했다. 이집트, 파나마, 콜롬비아, 아이슬란드, 스웨덴, 페루 등 2018년 월드컵에 진출한 팀들도 2022년 대회에는 출전하지 못했다.

지역 예선 통과 팀 국가/팀
유럽 (UEFA) 13팀 13장
남미 (CONMEBOL) 4팀 4.5장
북중미카리브 (CONCACAF) 4팀 3.5장
아시아 (AFC) 6팀 카타르 카타르 (개최국)+4.5장
아프리카 (CAF) 5팀 5장
오세아니아 (OFC) 0팀 0.5장
본선 진출 팀
국가대표팀 본선 진출 자격 본선 진출 확정일 이전 대회 성적1 이전 대회
최고 성적
 카타르 개최국 2010년 12월 2일 0 (첫 참가) 첫 참가
 독일 유럽 예선 J조 1위 2021년 10월 11일 19 (1934, 1938, 19542, 19582, 19622, 19662, 19702, 19742, 19782, 19822, 19862, 19902, 1994, 1998, 2002, 2006, 2010, 2014, 2018) 우승 (1954, 1974, 1990, 2014)
 프랑스 유럽 예선 D조 1위 2021년 11월 15일 15 (1934, 1938, 1954, 1958, 1962, 1966, 1982, 1986, 1998, 2002, 2006, 2010, 2014, 2018) 우승 (1998, 2018)
 덴마크 유럽 예선 F조 1위 2021년 10월 12일 5 (1986, 1998, 2002, 2010, 2018) 8강 (1998)
 브라질 남미 예선 1위 2021년 11월 11일 21 (1930, 1934, 1938, 1950, 1954, 1958, 1962, 1966, 1970, 1974, 1978, 1982, 1986, 1990, 1994, 1998, 2002, 2006, 2010, 2014, 2018) 우승 (1958, 1962, 1970, 1994, 2002)
 벨기에 유럽 예선 E조 1위 2021년 11월 13일 13 (1930, 1934, 1938, 1954, 1970, 1982, 1986, 1990, 1994, 1998, 2002, 2014, 2018) 3위 (2018)
 크로아티아 유럽 예선 H조 1위 2021년 11월 14일 5 (1998, 2002, 2006, 2014, 2018) 준우승 (2018)
 스페인 유럽 예선 B조 1위 2021년 11월 14일 16 (1934, 1950, 1962, 1966, 1978, 1982, 1986, 1990, 1994, 1998, 2002, 2006, 2010, 2014, 2018) 우승 (2010)
 세르비아 유럽 예선 A조 1위 2021년 11월 14일 12 (19303, 19503, 19543, 19583, 19623, 19743, 19823, 19903, 19983, 20064, 2010, 2018) 4위 (1930, 1962)
 잉글랜드 유럽 예선 I조 1위 2021년 11월 15일 15 (1950, 1954, 1958, 1962, 1966, 1970, 1982, 1986, 1990, 1998, 2002, 2006, 2010, 2014, 2018) 우승 (1966)
 스위스 유럽 예선 C조 1위 2021년 11월 15일 11 (1934, 1938, 1950, 1954, 1962, 1966, 1994, 2006, 2010, 2014, 2018) 8강 (1934, 1938, 1954)
 네덜란드 유럽 예선 G조 1위 2021년 11월 16일 10(1934, 1938, 1974, 1978, 1990, 1994, 1998, 2006, 2010, 2014) 준우승 (1974, 1978, 2010)
 아르헨티나 남미 예선 2위 2021년 11월 16일 17 (1930, 1934, 1958, 1962, 1966, 1974, 1978, 1982, 1986, 1990, 1994, 1998, 2002, 2006, 2010, 2014, 2018) 우승 (1978, 1986)
 이란 아시아 3차 예선 A조 1위 2022년 1월 27일 5(1978, 1998, 2006, 2014, 2018) 조별 리그 (1978, 1998, 2006, 2014, 2018)
 대한민국 아시아 3차 예선 A조 2위 2022년 2월 1일 10 (1954, 1986, 1990, 1994, 1998, 2002, 2006, 2010, 2014, 2018) 4위 (2002)
 일본 아시아 3차 예선 B조 2위 2022년 3월 24일 6 (1998, 2002, 2006, 2010, 2014, 2018) 16강 (2002, 2010 ,2018)
 사우디아라비아 아시아 3차 예선 B조 1위 2022년 3월 24일 5 (1994, 1998, 2002, 2006, 2018) 16강 (1994)
 에콰도르 남미 예선 4위 2022년 3월 24일 3 (2002, 2006, 2014) 16강 (2006)
 우루과이 남미 예선 3위 2022년 3월 24일 14 (1930, 1950, 1954, 1958, 1962, 1966, 1970, 1974, 1986, 1990, 2002, 2010, 2014, 2018) 우승 (1930, 1950)
 캐나다 북중미카리브 3차 예선 1위 2022년 3월 27일 1 (1986) 조별 리그 (1986)
 가나 아프리카 3차 예선 승자 2022년 3월 29일 3 (2006, 2010, 2014) 8강 (2010)
 세네갈 아프리카 3차 예선 승자 2022년 3월 29일 2 (2002, 2018) 8강 (2002)
 포르투갈 유럽 예선 플레이오프 C조 승자 2022년 3월 29일 7 (1966, 1986, 2002, 2006, 2010, 2014, 2018) 3위 (1966)
 폴란드 유럽 예선 플레이오프 B조 승자 2022년 3월 29일 8 (1938, 1974, 1978, 1982, 1986, 2002, 2006, 2018) 3위 (1974, 1982)
 튀니지 아프리카 3차 예선 승자 2022년 3월 29일 5 (1978, 1998, 2002, 2006, 2018) 조별 리그 (1978, 1998, 2002, 2006, 2018)
 모로코 아프리카 3차 예선 승자 2022년 3월 29일 5 (1970, 1986, 1994, 1998, 2018) 16강 (1986)
 카메룬 아프리카 3차 예선 승자 2022년 3월 29일 7 (1982, 1990, 1994, 1998, 2002, 2010, 2014) 8강 (1990)
 멕시코 북중미카리브 3차 예선 2위 2022년 3월 30일 16 (1930, 1950, 1954, 1958, 1962, 1966, 1970, 1978, 1986, 1994, 1998, 2002, 2006, 2010, 2014, 2018) 8강 (1970, 1986)
 미국 북중미카리브 3차 예선 3위 2022년 3월 30일 10 (1930, 1934, 1950, 1990, 1994, 1998, 2002, 2006, 2010, 2014) 3위 (1930)
 웨일스 유럽 예선 플레이오프 A조 승자 2022년 6월 5일 1 (1958) 8강 (1958)
 오스트레일리아 대륙간 플레이오프 아시아 지역 VS 남미 지역 승자 2022년 6월 13일 5 (1974, 2006, 2010, 2014, 2018) 16강 (2006)
 코스타리카 대륙간 플레이오프 오세아니아 지역 VS 북중미 지역 승자 2022년 6월 14일 5 (1990, 2002, 2006, 2014, 2018) 8강 (2014)
1 굵은 글씨는 당해년도 우승팀을 가리킨다. 이탤릭 체 글씨는 당해년도 개최국을 가리킨다.
2 서독으로 참가했다. 동독도 별도 대표팀으로 있었으며, 1974년 대회 본선에만 유일하게 본선 진출하였다.
3 유고슬라비아로 참가했다.
4 세르비아-몬테네그로로 참가했다.
개최 도시 및 경기장
루사일 알코르 도하
루사일 아이코닉 스타디움 알베이트 스타디움 스타디움 974 알투마마 경기장
수용인원: 88,996명 수용인원: 68,895명 수용인원: 44,089명 수용인원: 44,400명

카타르의 개최 도시
2022년 FIFA 월드컵은(는) 카타르 안에 위치해 있다루사일루사일도하도하알코르알코르알와크라알와크라알라이얀알라이얀
도하 부근의 경기장
2022년 FIFA 월드컵은(는) 도하 안에 위치해 있다에듀케이션에듀케이션974974칼리파칼리파알투마마알투마마
알라이얀 알와크라
칼리파 국제경기장 에듀케이션 시티 스타디움 아흐메드 빈 알리 스타디움 알자누브 스타디움
수용인원: 45,857명 수용인원: 44,667명 수용인원: 45,032명 수용인원: 44,325명

사건 및 논란
뇌물 수수와 관련된 논란
2014년 6월 1일 영국의 《선데이 타임스》는 모하메드 빈 함맘 전 아시아 축구 연맹(AFC) 회장이 자신의 모국인 카타르에 대한 지지를 호소하면서 FIFA 관계자들에게 거액의 뇌물을 전달했다고 보도했다. 이 신문은 2022년 FIFA 월드컵 개최국 결정을 1년 전부터 모하메드 빈 함맘이 로비 활동을 벌이는 과정에서 500만 달러에 가까운 뇌물이 오고 갔으며 이에 대한 이메일, 은행 거래 명세서 등을 입수했다고 밝혔다.

2015년 국제축구연맹 부패 사건을 계기로 2022년 FIFA 월드컵 유치 과정에 연루된 축구인 상당수가 미국 당국의 조사를 받았다.

개최 시기와 관련된 논란
카타르는 유치 과정에서 중동의 더운 기후 문제에 대해 모든 경기장에 에어컨을 설치하겠다는 파격적인 공약으로 대응했다. 이 때문에 환경 문제가 제시되기도 했지만 태양열을 이용한 친환경 냉방 장치를 설치하겠다고 공약했다. 카타르는 6월 ~ 7월의 평균 기온이 섭씨 40 ~ 50도에 육박하기 때문에 여름에 개최할 경우에는 선수단, 해설진, 관중들이 건강이 우려되기 때문에 국제 축구계에서는 겨울 개최안이 나왔다. 그러나 2022년 동계 올림픽과 일정이 중복되는 문제로 동계 스포츠 단체에서 반발하였다.

제프 블래터 FIFA 회장은 2013년 11월 8일 아랍에미리트 아부다비에서 열린 2013년 FIFA U-17 월드컵 결승전을 관전한 뒤 가진 인터뷰에서 1월이나 2월 개최는 동계 올림픽과 FIFA 월드컵 서로 간의 흥행을 저하시키기 때문에 반대 입장을 표명했으며 겨울에 개최할 경우에는 11월 - 12월에 개최해야 한다고 해명했다. 국제 동계 스포츠계는 올림픽과 겹치지 않는 시기에 개최하는 것도 동계 스포츠의 관심을 떨어트릴 우려로 반대하고 있다. 또한 유럽의 축구 리그 시기와 겹쳐 유럽 축구 리그에 방해가 된다는 이야기도 있어 카타르로선 큰 난관을 헤쳐나가야 하는 실정이었다. 4월에 개최하는 것은 이슬람교의 금식 기간인 라마단(2022년 라마단은 2022년 4월 2일부터 5월 1일까지임)과 겹치기 때문에 더더욱 불가능한 실정이었다.

2015년 3월 19일 FIFA 집행위원회에서 2022년 FIFA 월드컵 본선 개최 시기를 2022년 11월 21일부터 12월 18일까지로 결정하였다. 12월 18일은 개최국인 카타르의 국경일이기도 하다. 하지만 개최날짜를 1일 앞 당겨서 2022년 11월 20일 부터 2022년 12월 18일까지로 다시 결정하였다고 FlFA 집행위원회에서 다시 지침이 내려져지게 되었다.

외국인 노동자의 인권침해 논란
영국의 일간 신문 《가디언》은 카타르에 체류하는 많은 외국인 노동자가 열악한 노동 환경에서 생활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가디언》의 보도에 따르면 카타르의 월드컵 관련 기반 시설 공사에 참여하고 있는 외국인 노동자들은 하루 종일 물과 음식조차 먹지 못하고 있으며 열악한 숙소에서 생활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카타르는 카팔라(Kafala)라고 부르는 중동 고유의 노동 계약 시스템을 사용하고 있다.

휴먼 라이츠 워치, 국제 노동조합 연합은 카타르의 카팔라 시스템이 노동자가 고용주의 동의 없이 직업을 바꾸거나 그만둘 수 없으며, 임금 체불에도 항의할 수 없는 제도여서 노예 제도를 연상시킨다고 비판했다. 실제로 카타르의 외국인 노동자들 가운데 90%가 자신의 여권을 고용주에게 몰수당한 것으로 알려졌다.

조추첨과 일정
<nowiki /> 이 부분의 본문은 2022년 FIFA 월드컵 일정입니다.
월드컵 본선 조추첨은 지역 예선이 완료되기 전인 2022년 4월 1일 저녁 7시(UTC+3), 카타르 도하에 있는 도하 전시 컨벤션 센터에서 열렸다.[13][14] 2022년 4월 1일 기준, 대륙간 플레이오프의 두 승자와 유럽 지역 예선 플레이오프의 루트 A 승자는 추첨 당시 알려지지 않았다.[15]

추첨을 위해 32개 팀은 2022년 3월 31일의 FIFA 세계 랭킹에 따라 4개의 포트에 할당된다. 포트 1에는 개최국 카타르(A1 위치에 자동으로 배정됨)와 상위 7개 팀이 포함된다. 포트 2에는 상위 8개 팀이 포함되며, 그 다음 상위 8개 팀은 포트 3에 포함된다. 포트 4에는 최하위 5개 팀과 대륙간 플레이오프 승자 2팀 및 유럽 플레이오프 패스 A의 최종 승자가 포함된다. 플레이오프 승자들은 같은 대륙 연맹의 팀들은 유럽 팀을 제외하고 같은 조에 속할 수 없다. 이 원칙은 자리 표시자 팀에도 적용되며, 각 플레이오프 동점의 두 잠재적 승자의 연합을 기반으로 하는 제약 조건이 적용된다. 추첨은 포트 1에서 시작하여 포트 4에서 끝난다. 각 팀이 선택된 다음 알파벳 순으로 첫 번째 사용 가능한 그룹에 할당된다. 그런 다음 그룹 내 팀의 위치가 추첨되고 포트 1 팀이 각 그룹의 위치 1에 자동으로 추첨된다.[16] 조추첨 위한 포트는 다음과 같다.:

포트 1[17] 포트 2 포트 3 포트 4
카타르 카타르 (51위, 개최국)
브라질 브라질 (1위)
 벨기에 (2위)
 프랑스 (3위)
 아르헨티나 (4위)
잉글랜드 잉글랜드 (5위)
스페인 스페인 (7위)
포르투갈 포르투갈 (8위)

 멕시코 (9위)
 네덜란드 (10위)
 덴마크 (11위)
 독일 (12위)
우루과이 우루과이 (13위)
 스위스 (14위)
 미국 (15위)
크로아티아 크로아티아 (16위)

세네갈 세네갈 (20위)
이란 이란 (21위)
 일본 (23위)
모로코 모로코 (24위)
세르비아 세르비아 (25위)
 폴란드 (26위)
 대한민국 (29위)
튀니지 튀니지 (35위)

카메룬 카메룬 (37위)
 캐나다 (38위)
에콰도르 에콰도르 (46위)
사우디아라비아 사우디아라비아 (49위)
가나 가나 (60위)
웨일스 웨일스 (18위, 유럽 플레이오프 루트 A 승자)1
 오스트레일리아 (42위, 대륙간 플레이오프 승자)1
코스타리카 코스타리카 (31위, 대륙간 플레이오프 승자)1

1 추첨 당시에는 어느 팀인지 정해져 있지 않았다.

경기 일정은 2020년 7월 15일 FIFA에 의해 확인되었다.[18] 개최국 카타르가 참가하는 개막전은 현지 시간 2022년 11월 20일 19:00(UTC+3)에 알베이트 스타디움에서 열릴 것이다. 조별리그에서는 개막일 1경기, 개막일 다음날 3경기 후 매일 4경기가 진행되며, 첫 두 라운드는 킥오프 시간이 13:00, 16:00, 19:00, 22:00이고 조별리그 마지막 경기들은 18:00, 22:00이다. 마지막 라운드의 동시 킥오프와 녹아웃 토너먼트 경기. 3위 결정전은 2022년 12월 17일 칼리파 인터내셔널 스타디움에서, 결승전은 2022년 12월 18일 루사일 아이코닉 스타디움에서 18시에 열렸다.[19]

조 추첨 전에 경기 장소와 각 경기의 킥오프 시간을 정하는 기존 토너먼트와는 달리, 각 경기일의 조별 경기 일정은 조별리그 조 추첨 이후에 특정 장소 및 킥오프 시간으로 배정한다. 각 특정 고정구의 팀이 알려져 있다. 이는 주최측이 관중을 위한 경기장 할당과 텔레비전 관중을 위한 시작 시간을 최적화할 수 있도록 장소가 매우 가깝기 때문일 수 있다.[18] 각 조의 조별리그 경기는 다음 경기장에 할당된다.:[19]

A, B, E, F조 : 알베이트 스타디움, 칼리파 국제경기장, 알투마마 경기장, 아흐메드 빈 알리 경기장
C, D, G, H조 : 루사일 아이코닉 스타디움[20], 스타디움 974, 에듀케이션 시티 스타디움, 알자누브 스타디움
다음과 같은 순서대로 추첨되었다. 편성 방식은 유럽의 경우 같은 조에 2개국, 나머지 대륙의 경우 같은 조에 1개국이 편성되었으면 옆으로 1칸 이동해서 편성된다.

추첨 순서
선수 명단
<nowiki /> 이 부분의 본문은 2022년 FIFA 월드컵 선수 명단입니다.
심판진
<nowiki /> 이 부분의 본문은 2022년 FIFA 월드컵 심판입니다.
비디오 판독심
연맹 비디오 판독심
UEFA Ricardo de Burgos Bengoetxea (스페인)
조별 리그
모든 시간은 현지 시각(AST/UTC+3)을 따름.
순위 규정
A조
<nowiki /> 이 부분의 본문은 2022년 FIFA 월드컵 A조입니다.
순위 팀[ vte ] 경기 승 무 패 득 실 차 승점 통과
1  네덜란드 3 2 1 0 5 1 +4 7 녹아웃 토너먼트 진출
2  세네갈 3 2 0 1 5 4 +1 6
3  에콰도르 3 1 1 1 4 3 +1 4
4  카타르 (H) 3 0 0 3 1 7 −6 0
출처: FIFA
(H) 홈경기.

2022년 11월 20일
19:00
카타르  0 – 2  에콰도르 알베이트 스타디움, 알코르
관중: 67,372명
심판: 다니엘레 오르사토 (이탈리아)
리포트
발렌시아 16분, 31분에 득점 16′ (페널티), 31′
2022년 11월 21일
19:00
세네갈  0 – 2  네덜란드 알투마마 경기장, 도하
관중: 41,721명
심판: 위우통 삼파이우 (브라질)
리포트
학포 84분에 득점 84′
클라선 90+9분에 득점 90+9′
2022년 11월 25일
16:00
카타르  1 – 3  세네갈 알투마마 경기장, 도하
관중: 41,797명
심판: 안토니오 마테우 라오스 (스페인)
문타리 78분에 득점 78′
리포트
디아 41분에 득점 41′
디에디우 48분에 득점 48′
B. 디엥 84분에 득점 84′
2022년 11월 25일
19:00
네덜란드  1 – 1  에콰도르 칼리파 국제경기장, 알라이얀
관중: 44,833명
심판: 무스타파 고르발 (알제리)
학포 6분에 득점 6′
리포트
발렌시아 49분에 득점 49′
2022년 11월 29일
18:00
에콰도르  1 – 2  세네갈 칼리파 국제경기장, 알라이얀
관중: 44,569명
심판: 클레망 튀르팽 (프랑스)
카이세도 67분에 득점 67′
리포트
I. 사르 44분에 득점 44′ (페널티)
쿨리발리 70분에 득점 70′
2022년 11월 29일
18:00
네덜란드  2 – 0  카타르 알베이트 스타디움, 알코르
관중: 66,784명
심판: 바카리 가사마 (감비아)
학포 26분에 득점 26′
F. 더 용 49분에 득점 49′
리포트
B조
<nowiki /> 이 부분의 본문은 2022년 FIFA 월드컵 B조입니다.
순위 팀[ vte ] 경기 승 무 패 득 실 차 승점 통과
1  잉글랜드 3 2 1 0 9 2 +7 7 녹아웃 토너먼트 진출
2  미국 3 1 2 0 2 1 +1 5
3  이란 3 1 0 2 4 7 −3 3
4  웨일스 3 0 1 2 1 6 −5 1
출처: FIFA

2022년 11월 21일
16:00
잉글랜드  6 – 2  이란 칼리파 국제경기장, 알라이얀
관중: 45,334명
심판: 하파에우 클라우스 (브라질)
벨링엄 35분에 득점 35′
사카 43분, 62분에 득점 43′, 62′
스털링 45+1분에 득점 45+1′
래시퍼드 71분에 득점 71′
그릴리시 90분에 득점 90′
리포트
타레미 65분, 90+13분에 득점 65′, 90+13′ (페널티)
2022년 11월 21일
22:00
미국  1 – 1  웨일스 아흐메드 빈 알리 스타디움, 알라이얀
관중: 43,418명
심판: 압둘라흐만 알자심 (카타르)
웨아 36분에 득점 36′
리포트
베일 82분에 득점 82′ (페널티)
2022년 11월 25일
13:00
웨일스  0 – 2  이란 아흐메드 빈 알리 스타디움, 알라이얀
관중: 40,875명
심판: 마리오 에스코바르 (과테말라)
리포트
체슈미 90+8분에 득점 90+8′
레자에이안 90+11분에 득점 90+11′
2022년 11월 25일
22:00
잉글랜드  0 – 0  미국 알베이트 스타디움, 알코르
관중: 68,463명
심판: 헤수스 발렌수엘라 (베네수엘라)
리포트
2022년 11월 29일
22:00
웨일스  0 – 3  잉글랜드 아흐메드 빈 알리 스타디움, 알라이얀
관중: 44,297명
심판: 슬라브코 빈치치 (슬로베니아)
리포트
래시퍼드 50분, 68분에 득점 50′, 68′
포든 51분에 득점 51′
2022년 11월 29일
22:00
이란  0 – 1  미국 알투마마 경기장, 도하
관중: 42,127명
심판: 안토니오 마테우 라오스 (스페인)
리포트
풀리식 38분에 득점 38′
C조
<nowiki /> 이 부분의 본문은 2022년 FIFA 월드컵 C조입니다.
순위 팀[ vte ] 경기 승 무 패 득 실 차 승점 통과
1  아르헨티나 3 2 0 1 5 2 +3 6 녹아웃 토너먼트 진출
2  폴란드 3 1 1 1 2 2 0 4
3  멕시코 3 1 1 1 2 3 −1 4
4  사우디아라비아 3 1 0 2 3 5 −2 3
출처: FIFA

2022년 11월 22일
13:00
아르헨티나  1 – 2  사우디아라비아 루사일 아이코닉 스타디움, 루사일
관중: 88,012명
심판: 슬라브코 빈치치 (슬로베니아)
메시 10분에 득점 10′ (페널티)
리포트
알셰흐리 48분에 득점 48′
S. 알다우사리 53분에 득점 53′
2022년 11월 22일
19:00
멕시코  0 – 0  폴란드 스타디움 974, 도하
관중: 39,369명
심판: 크리스 비스 (오스트레일리아)
리포트
2022년 11월 26일
16:00
폴란드  2 – 0  사우디아라비아 에듀케이션 시티 스타디움, 알라이얀
관중: 44,259명
심판: 위우통 삼파이우 (브라질)
지엘린스키 39분에 득점 39′
레반도프스키 82분에 득점 82′
리포트
2022년 11월 26일
22:00
아르헨티나  2 – 0  멕시코 루사일 아이코닉 스타디움, 루사일
관중: 88,966명
심판: 다니엘레 오르사토 (이탈리아)
메시 64분에 득점 64′
페르난데스 87분에 득점 87′
리포트
2022년 11월 30일
22:00
폴란드  0 – 2  아르헨티나 스타디움 974, 도하
관중: 44,089명
심판: 다니 마켈리 (네덜란드)
리포트
마크 알리스테르 46분에 득점 46′
알바레스 67분에 득점 67′
2022년 11월 30일
22:00
사우디아라비아  1 – 2  멕시코 루사일 아이코닉 스타디움, 루사일
관중: 84,985명
심판: 마이클 올리버 (잉글랜드)
S. 알다우사리 90+5분에 득점 90+5′
리포트
마르틴 47분에 득점 47′
차베스 52분에 득점 52′
D조
<nowiki /> 이 부분의 본문은 2022년 FIFA 월드컵 D조입니다.
순위 팀[ vte ] 경기 승 무 패 득 실 차 승점 통과
1  프랑스 3 2 0 1 6 3 +3 6 녹아웃 토너먼트 진출
2  오스트레일리아 3 2 0 1 3 4 −1 6
3  튀니지 3 1 1 1 1 1 0 4
4  덴마크 3 0 1 2 1 3 −2 1
출처: FIFA

2022년 11월 22일
16:00
덴마크  0 – 0  튀니지 에듀케이션 시티 스타디움, 알라이얀
관중: 42,925명
심판: 세사르 아르투로 라모스 (멕시코)
리포트
2022년 11월 22일
22:00
프랑스  4 – 1  오스트레일리아 알자누브 스타디움, 알와크라
관중: 40,875명
심판: 빅터 고메스 (남아프리카 공화국)
라비오 27분에 득점 27′
지루 32분, 71분에 득점 32′, 71′
음바페 68분에 득점 68′
리포트
굿윈 9분에 득점 9′
2022년 11월 26일
13:00
튀니지  0 – 1  오스트레일리아 알자누브 스타디움, 알와크라
관중: 41,823명
심판: 다니엘 지베르트 (독일)
리포트
듀크 23분에 득점 23′
2022년 11월 26일
19:00
프랑스  2 – 1  덴마크 스타디움 974, 도하
관중: 42,860명
심판: 시몬 마르치니아크 (폴란드)
음바페 61분, 86분에 득점 61′, 86′
리포트
A. 크리스텐센 68분에 득점 68′
2022년 11월 30일
18:00
오스트레일리아  1 – 0  덴마크 알자누브 스타디움, 알와크라
관중: 41,232명
심판: 무스타파 고르발 (알제리)
레키 60분에 득점 60′
리포트
2022년 11월 30일
18:00
튀니지  1 – 0  프랑스 에듀케이션 시티 스타디움, 알라이얀
관중: 43,627명
심판: 매슈 콩거 (뉴질랜드)
카즈리 58분에 득점 58′
리포트
E조
<nowiki /> 이 부분의 본문은 2022년 FIFA 월드컵 E조입니다.
순위 팀[ vte ] 경기 승 무 패 득 실 차 승점 통과
1  일본 3 2 0 1 4 3 +1 6 녹아웃 토너먼트 진출
2  스페인 3 1 1 1 9 3 +6 4
3  독일 3 1 1 1 6 5 +1 4
4  코스타리카 3 1 0 2 3 11 −8 3
출처: FIFA

2022년 11월 23일
16:00
독일  1 – 2  일본 칼리파 국제경기장, 도하
관중: 42,608명
심판: 이반 바르톤 (엘살바도르)
귄도안 33분에 득점 33′ (페널티)
리포트
도안 75분에 득점 75′
다쿠마 83분에 득점 83′
2022년 11월 23일
19:00
스페인  7 – 0  코스타리카 알투마마 경기장, 도하
관중: 40,013명
심판: 모함메드 압둘라 하산 모하메드 (아랍에미리트)
올모 11분에 득점 11′
아센시오 21분에 득점 21′
F. 토레스 31분, 54분에 득점 31′ (페널티), 54′
가비 74분에 득점 74′
솔레르 90분에 득점 90′
모라타 90+2분에 득점 90+2′
리포트
2022년 11월 27일
13:00
일본  0 – 1  코스타리카 아흐메드 빈 알리 경기장, 알라이얀
관중: 41,479명
심판: 마이클 올리버 (잉글랜드)
리포트
풀레르 81분에 득점 81′
2022년 11월 27일
22:00
스페인  1 – 1  독일 알베이트 스타디움, 알코르
관중: 68,895명
심판: 다니 마켈리 (네덜란드)
모라타 62분에 득점 62′
리포트
퓔크루크 83분에 득점 83′
2022년 12월 1일
22:00
일본  2 – 1  스페인 칼리파 국제경기장, 도하
관중: 44,851명
심판: 빅터 고메스 (남아프리카 공화국)
도안 48분에 득점 48′
다나카 51분에 득점 51′
리포트
모라타 11분에 득점 11′
2022년 12월 1일
22:00
코스타리카  2 – 4  독일 알베이트 스타디움, 알코르
관중: 67,504명
심판: 스테파니 프라파르 (프랑스)
테헤다 58분에 득점 58′
바르가스 70분에 득점 70′
리포트
그나브리 10분에 득점 10′
하베르츠 73분, 85분에 득점 73′, 85′
퓔크루크 89분에 득점 89′
F조
<nowiki /> 이 부분의 본문은 2022년 FIFA 월드컵 F조입니다.
순위 팀[ vte ] 경기 승 무 패 득 실 차 승점 통과
1  모로코 3 2 1 0 4 1 +3 7 녹아웃 토너먼트 진출
2  크로아티아 3 1 2 0 4 1 +3 5
3  벨기에 3 1 1 1 1 2 −1 4
4  캐나다 3 0 0 3 2 7 −5 0
출처: FIFA

2022년 11월 23일
13:00
모로코  0 – 0  크로아티아 알베이트 스타디움, 알코르
관중: 59,407명
심판: 페르난도 라팔리니 (아르헨티나)
리포트
2022년 11월 23일
22:00
벨기에  1 – 0  캐나다 아흐메드 빈 알리 경기장, 알라이얀
관중: 40,432명
심판: 재니 시카즈웨 (잠비아)
바추아이 44분에 득점 44′
리포트
2022년 11월 27일
16:00
벨기에  0 – 2  모로코 알투마마 경기장, 도하
관중: 43,738명
심판: 세사르 아르투로 라모스 (멕시코)
리포트
사이스 73분에 득점 73′
아부클랄 90+2분에 득점 90+2′
2022년 11월 27일
19:00
크로아티아  4 – 1  캐나다 칼리파 국제경기장, 도하
관중: 44,374명
심판: 안드레스 마톤테 (우루과이)
크라마리치 36분, 70분에 득점 36′, 70′
리바야 44분에 득점 44′
마예르 90+4분에 득점 90+4′
리포트
데이비스 2분에 득점 2′
2022년 12월 1일
18:00
크로아티아  0 – 0  벨기에 아흐메드 빈 알리 경기장, 알라이얀
관중: 43,984명
심판: 앤서니 테일러 (잉글랜드)
리포트
2022년 12월 1일
18:00
캐나다  1 – 2  모로코 알투마마 경기장, 도하
관중: 43,102명
심판: 하파에우 클라우스 (브라질)
아게르드 40분에 득점 40′ (자책골)
리포트
지야시 4분에 득점 4′
엔네시리 23분에 득점 23′
G조
<nowiki /> 이 부분의 본문은 2022년 FIFA 월드컵 G조입니다.
순위 팀[ vte ] 경기 승 무 패 득 실 차 승점 통과
1  브라질 3 2 0 1 3 1 +2 6 녹아웃 토너먼트 진출
2  스위스 3 2 0 1 4 3 +1 6
3  카메룬 3 1 1 1 4 4 0 4
4  세르비아 3 0 1 2 5 8 −3 1
출처: FIFA

2022년 11월 24일
13:00
스위스  1 – 0  카메룬 알자누브 스타디움, 알와크라
관중: 39,089명
심판: 파쿤도 테요 (아르헨티나)
엠볼로 48분에 득점 48′
리포트
2022년 11월 24일
22:00
브라질  2 – 0  세르비아 루사일 아이코닉 스타디움, 루사일
관중: 88,103명
심판: 알리레자 파가니 (이란)
히샤를리송 62분, 73분에 득점 62′, 73′
리포트
2022년 11월 28일
13:00
카메룬  3 – 3  세르비아 알자누브 스타디움, 알와크라
관중: 39,789명
심판: 모함메드 압둘라 하산 모하메드 (아랍에미리트)
카스텔레토 29분에 득점 29′
아부바카르 63분에 득점 63′
슈포모팅 66분에 득점 66′
리포트
파블로비치 45+1분에 득점 45+1′
S. 밀린코비치사비치 45+3분에 득점 45+3′
A. 미트로비치 53분에 득점 53′
2022년 11월 28일
19:00
브라질  1 – 0  스위스 스타디움 974, 도하
관중: 43,649명
심판: 이반 바르톤 (엘살바도르)
카제미루 83분에 득점 83′
리포트
2022년 12월 2일
22:00
세르비아  2 – 3  스위스 스타디움 974, 도하
관중: 41,378명
심판: 페르난도 라팔리니 (아르헨티나)
A. 미트로비치 26분에 득점 26′
블라호비치 35분에 득점 35′
리포트
샤키리 20분에 득점 20′
엠볼로 44분에 득점 44′
프로일러 48분에 득점 48′
2022년 12월 2일
22:00
카메룬  1 – 0  브라질 루사일 아이코닉 스타디움, 루사일
관중: 85,986명
심판: 이스마일 엘파트 (미국)
아부바카르 90+2분에 득점 90+2′
리포트
H조
<nowiki /> 이 부분의 본문은 2022년 FIFA 월드컵 H조입니다.
순위 팀[ vte ] 경기 승 무 패 득 실 차 승점 통과
1  포르투갈 3 2 0 1 6 4 +2 6 녹아웃 토너먼트 진출
2  대한민국 3 1 1 1 4 4 0 4
3  우루과이 3 1 1 1 2 2 0 4
4  가나 3 1 0 2 5 7 −2 3
출처: FIFA

2022년 11월 24일
16:00
우루과이  0 – 0  대한민국 에듀케이션 시티 스타디움, 알라이얀
관중: 41,663명
심판: 클레망 튀르팽 (프랑스)
리포트
2022년 11월 24일
19:00
포르투갈  3 – 2  가나 스타디움 974, 도하
관중: 42,662명
심판: 이스마일 엘파트 (미국)
호날두 65분에 득점 65′ (페널티)
펠리스 78분에 득점 78′
레앙 80분에 득점 80′
리포트
A. 아유 73분에 득점 73′
부카리 89분에 득점 89′
2022년 11월 28일
16:00
대한민국  2 – 3  가나 에듀케이션 시티 스타디움, 알라이얀
관중: 43,983명
심판: 앤서니 테일러 (잉글랜드)
조규성 58분, 61분에 득점 58′, 61′
리포트
살리수 24분에 득점 24′
쿠두스 34분, 68분에 득점 34′, 68′
2022년 11월 28일
22:00
포르투갈  2 – 0  우루과이 루사일 아이코닉 스타디움, 루사일
관중: 88,668명
심판: 알리레자 파가니 (이란)
페르난드스 54분, 90+3분에 득점 54′, 90+3′ (페널티)
리포트
2022년 12월 2일
18:00
가나  0 – 2  우루과이 알자누브 스타디움, 알와크라
관중: 43,443명
심판: 다니엘 지베르트 (독일)
리포트
데 아라스카에타 26분, 32분에 득점 26′, 32′
2022년 12월 2일
18:00
대한민국  2 – 1  포르투갈 에듀케이션 시티 스타디움, 알라이얀
관중: 44,097명
심판: 파쿤도 테요 (아르헨티나)
김영권 27분에 득점 27′
황희찬 90+1분에 득점 90+1′
리포트
오르타 5분에 득점 5′
결선 토너먼트
<nowiki /> 이 부분의 본문은 2022년 FIFA 월드컵 결선 토너먼트입니다.
모든 시간은 현지 시간(AST/UTC+3)을 따름.
 
16강전 8강전 준결승전 결승전
 
                           
 
12월 3일 – 알라이얀 (칼리파)
 
 
 네덜란드 3
 
12월 9일 – 루사일
 
 미국 1
 
 네덜란드 2 (3)
 
12월 3일 – 알라이얀 (아흐메드 빈 알리)
 
 아르헨티나 (승) 2 (4)
 
 아르헨티나 2
 
12월 13일 – 루사일
 
 오스트레일리아 1
 
 아르헨티나 3
 
12월 5일 – 알와크라
 
크로아티아 크로아티아 0
 
 일본 1 (1)
 
12월 9일 – 알라이얀 (에듀케이션 시티)
 
크로아티아 크로아티아 (승) 1 (3)
 
크로아티아 크로아티아 (승) 1 (4)
 
12월 5일 – 도하 (974)
 
브라질 브라질 1 (2)
 
브라질 브라질 4
 
12월 18일 – 루사일
 
 대한민국 1
 
 아르헨티나 (승) 3 (4)
 
12월 4일 – 알코르
 
 프랑스 3 (2)
 
잉글랜드 잉글랜드 3
 
12월 10일 – 알코르
 
세네갈 세네갈 0
 
잉글랜드 잉글랜드 1
 
12월 4일 – 도하 (알투마마)
 
 프랑스 2
 
 프랑스 3
 
12월 14일 – 알코르
 
 폴란드 1
 
 프랑스 2
 
12월 6일 – 알라이얀 (에듀케이션 시티)
 
모로코 모로코 0 3위 결정전
 
모로코 모로코 (승) 0 (3)
 
12월 10일 – 도하 (알투마마) 12월 17일 – 알라이얀 (칼리파)
 
스페인 스페인 0 (0)
 
모로코 모로코 1 크로아티아 크로아티아 2
 
12월 6일 – 루사일
 
포르투갈 포르투갈 0 모로코 모로코 1
 
포르투갈 포르투갈 6
 
 
 스위스 1
 
16강전
2022년 12월 3일
18:00
네덜란드  3 – 1  미국 칼리파 국제경기장, 알라이얀
관중: 44,846명
심판: 위우통 삼파이우 (브라질)
데파이 10분에 득점 10′
블린트 45+1분에 득점 45+1′
뒴프리스 81분에 득점 81′
리포트
라이트 76분에 득점 76′
2022년 12월 3일
22:00
아르헨티나  2 – 1  오스트레일리아 아흐메드 빈 알리 스타디움, 알라이얀
관중: 45,032명
심판: 시몬 마르치니아크 (폴란드)
메시 35분에 득점 35′
알바레스 57분에 득점 57′
리포트
페르난데스 77분에 득점 77′ (자책골)
2022년 12월 4일
18:00
프랑스  3 – 1  폴란드 알투마마 경기장, 도하
관중: 40,989명
심판: 헤수스 발렌수엘라 (베네수엘라)
지루 44분에 득점 44′
음바페 74분, 90+1분에 득점 74′, 90+1′
리포트
레반도프스키 90+9분에 득점 90+9′ (페널티)
2022년 12월 4일
22:00
잉글랜드  3 – 0  세네갈 알베이트 스타디움, 알코르
관중: 65,985명
심판: 이반 바르톤 (엘살바도르)
헨더슨 38분에 득점 38′
케인 45+3분에 득점 45+3′
사카 57분에 득점 57′
리포트
2022년 12월 5일
18:00
일본  1 – 1 (연장전)  크로아티아 알자누브 스타디움, 알와크라
관중: 42,523명
심판: 이스마일 엘파트 (미국)
마에다 43분에 득점 43′
리포트
페리시치 55분에 득점 55′
    승부차기  
미나미노 실패
미토마 실패
아사노 성공
요시다 실패
1 – 3
성공 블라시치
성공 브로조비치
실패 리바야
성공 파샬리치
2022년 12월 5일
22:00
브라질  4 – 1  대한민국 스타디움 974, 도하
관중: 43,847명
심판: 클레망 튀르팽 (프랑스)
비니시우스 7분에 득점 7′
네이마르 13분에 득점 13′ (페널티)
히샤를리송 29분에 득점 29′
파케타 36분에 득점 36′
리포트
백승호 76분에 득점 76′
2022년 12월 6일
18:00
모로코  0 – 0 (연장전)  스페인 에듀케이션 시티 스타디움, 알라이얀
관중: 44,667명
심판: 페르난도 라팔리니 (아르헨티나)
리포트
    승부차기  
사비리 성공
지예시 성공
베눈 실패
하키미 성공
3 – 0
실패 사라비아
실패 솔레르
실패 부스케츠
2022년 12월 6일
22:00
포르투갈  6 – 1  스위스 루사일 아이코닉 스타디움, 루사일
관중: 83,720명
심판: 세사르 아르투로 라모스 (멕시코)
하무스 17분, 51분, 67분에 득점 17′, 51′, 67′
페페 33분에 득점 33′
게히우루 55분에 득점 55′
레앙 90+2분에 득점 90+2′
리포트
아칸지 58분에 득점 58′
8강전
2022년 12월 9일
18:00
크로아티아  1 – 1 (연장전)  브라질 에듀케이션 시티 스타디움, 알라이얀
관중: 43,893명
심판: 마이클 올리버 (잉글랜드)
페트코비치 117분에 득점 117′
리포트
네이마르 105+1분에 득점 105+1′
    승부차기  
블라시치 성공
마예르 성공
모드리치 성공
오르시치 성공
4 – 2
실패 호드리구
성공 카제미루
성공 페드루
실패 마르키뉴스
2022년 12월 9일
22:00
네덜란드  2 – 2 (연장전)  아르헨티나 루사일 아이코닉 스타디움, 루사일
관중: 88,966명
심판: 안토니오 마테우 라오스 (스페인)
베호르스트 83분, 90+11분에 득점 83′, 90+11′
리포트
몰리나 35분에 득점 35′
메시 73분에 득점 73′ (페널티)
    승부차기  
판 데이크 실패
베르하위스 실패
코프메이너르스 성공
베호르스트 성공
L. 더 용 성공
3 – 4
성공 메시
성공 파레데스
성공 몬티엘
실패 페르난데스
성공 마르티네스
2022년 12월 10일
18:00
모로코  1 – 0  포르투갈 알투마마 경기장, 도하
관중: 44,198명
심판: 파쿤도 테요 (아르헨티나)
엔네시리 42분에 득점 42′
리포트
2022년 12월 10일
22:00
잉글랜드  1 – 2  프랑스 알베이트 스타디움, 알코르
관중: 68,895명
심판: 위우통 삼파이우 (브라질)
케인 54분에 득점 54′ (페널티)
리포트
추아메니 17분에 득점 17′
지루 78분에 득점 78′
준결승전
2022년 12월 13일
22:00
아르헨티나  3 – 0  크로아티아 루사일 아이코닉 스타디움, 루사일
관중: 88,966명
심판: 다니엘레 오르사토 (이탈리아)
메시 34분에 득점 34′ (페널티)
알바레스 39분, 69분에 득점 39′, 69′
리포트
2022년 12월 14일
22:00
프랑스  2 – 0  모로코 알베이트 스타디움, 알코르
관중: 68,294명
심판: 세사르 아르투로 라모스 (멕시코)
T. 에르난데스 5분에 득점 5′
콜로 무아니 79분에 득점 79′
리포트
3위 결정전
2022년 12월 17일
18:00
크로아티아  2 – 1  모로코 칼리파 국제경기장, 알라이얀
관중: 44,137명
심판: 압둘라흐만 알자심 (카타르)
그바르디올 7분에 득점 7′
오르시치 42분에 득점 42′
리포트
다리 9분에 득점 9′
결승전
<nowiki /> 이 부분의 본문은 2022년 FIFA 월드컵 결승전입니다.
2022년 12월 18일
18:00
아르헨티나  3–3 (연장전)  프랑스 루사일 아이코닉 스타디움, 루사일
관중: 88,966명
심판: 시몬 마르치니아크 (폴란드)
메시 23분, 108분에 득점 23′ (페널티), 108′
디 마리아 36분에 득점 36′
리포트
음바페 80분, 81분, 118분에 득점 80′ (페널티), 81′, 118′ (페널티)
    승부차기  
메시 성공
디발라 성공
파레데스 성공
몬티엘 성공
4–2
성공 음바페
실패 (골키퍼 선방) 코망
실패 (실축) 추아메니
성공 콜로 무아니
우승국
FIFA 월드컵 우승
아르헨티나
아르헨티나
1978년 FIFA 월드컵1986년 FIFA 월드컵2022년 FIFA 월드컵
1978년・1986년・2022년
수상
골든 볼 실버 볼 브론즈 볼
아르헨티나 리오넬 메시 프랑스 킬리안 음바페 크로아티아 루카 모드리치
골든 부츠 실버 부츠 브론즈 부츠
프랑스 킬리안 음바페 아르헨티나 리오넬 메시 프랑스 올리비에 지루
8골 2도움
597분 출전 7골 3도움
690분 출전 4골 0도움
423분 출전
아디다스 골든 글러브
아르헨티나 에밀리아노 마르티네스
최우수 신인 선수상
아르헨티나 엔소 페르난데스
FIFA 페어 플레이 트로피
잉글랜드 잉글랜드
통계
<nowiki /> 이 부분의 본문은 2022년 FIFA 월드컵 통계입니다.
득점자
8골
프랑스 킬리안 음바페
7골
아르헨티나 리오넬 메시
4골
아르헨티나 훌리안 알바레스
프랑스 올리비에 지루
3골
브라질 히샤를리송
에콰도르 에네르 발렌시아
잉글랜드 마커스 래시퍼드
잉글랜드 부카요 사카
네덜란드 코디 학포
포르투갈 곤살루 하무스
스페인 알바로 모라타
2골
브라질 네이마르
카메룬 뱅상 아부바카르
크로아티아 안드레이 크라마리치
잉글랜드 해리 케인
독일 니클라스 퓔크루크
독일 카이 하베르츠
가나 모하메드 쿠두스
이란 메흐디 타레미
일본 도안 리쓰
모로코 유세프 엔네시리
네덜란드 바우트 베호르스트
폴란드 로베르트 레반도프스키
포르투갈 브루누 페르난드스
포르투갈 하파엘 레앙
사우디아라비아 살렘 알도사리
세르비아 알렉산다르 미트로비치
대한민국 조규성
스페인 페란 토레스
스위스 브릴 엠볼로
우루과이 히오르히안 데 아라스카에타
1골
아르헨티나 앙헬 디 마리아
아르헨티나 엔소 페르난데스
아르헨티나 알렉시스 마크 알리스테르
아르헨티나 나우엘 몰리나
오스트레일리아 미첼 듀크
오스트레일리아 크레이그 굿윈
오스트레일리아 매슈 레키
벨기에 미키 바추아이
브라질 카제미루
브라질 루카스 파케타
브라질 비니시우스 주니오르
카메룬 장샤를 카스텔레토
카메룬 에릭 막심 슈포모팅
캐나다 알폰소 데이비스
코스타리카 케이셔 풀러
코스타리카 옐친 테헤다
코스타리카 후안 파블로 바르가스
크로아티아 요슈코 그바르디올
크로아티아 마르코 리바야
크로아티아 로브로 마예르
크로아티아 미슬라브 오르시치
크로아티아 이반 페리시치
크로아티아 브루노 페트코비치
덴마크 안드레아스 크리스텐센
에콰도르 모이세스 카이세도
잉글랜드 주드 벨링엄
잉글랜드 필 포든
잉글랜드 잭 그릴리시
잉글랜드 조던 헨더슨
잉글랜드 라힘 스털링
프랑스 테오 에르난데스
프랑스 랑달 콜로 무아니
프랑스 아드리앵 라비오
프랑스 오렐리앵 추아메니
독일 세르주 그나브리
독일 일카이 귄도안
가나 앙드레 아유
가나 오스만 부카리
가나 모하메드 살리수
이란 루즈베 체슈미
이란 라민 레자에이안
일본 아사노 다쿠마
일본 마에다 다이젠
일본 다나카 아오
멕시코 루이스 차베스
멕시코 엔리 마르틴
모로코 자카리아 아부클랄
모로코 아슈라프 다리
모로코 로맹 사이스
모로코 하킴 지예시
네덜란드 데일리 블린트
네덜란드 멤피스 데파이
네덜란드 덴절 뒴프리스
네덜란드 프렝키 더 용
네덜란드 데이비 클라선
폴란드 피오트르 지엘린스키
포르투갈 주앙 펠리스
포르투갈 하파엘 게헤이루
포르투갈 히카르두 오르타
포르투갈 페페
포르투갈 크리스티아누 호날두
카타르 모하메드 문타리
사우디아라비아 살레 알셰흐리
세네갈 불라예 디아
세네갈 파마라 디에디우
세네갈 밤바 디엥
세네갈 칼리두 쿨리발리
세네갈 이스마일라 사르
세르비아 세르게이 밀린코비치-사비치
세르비아 스트라히냐 파블로비치
세르비아 두샨 블라호비치
대한민국 김영권
대한민국 백승호
대한민국 황희찬
스페인 마르코 아센시오
스페인 가비
스페인 다니 올모
스페인 카를로스 솔레르
스위스 마누엘 아칸지
스위스 레모 프로일러
스위스 제르단 샤키리
튀니지 와흐비 카즈리
미국 크리스천 풀리식
미국 티모시 웨아
미국 하지 라이트
웨일스 가레스 베일
1 자책골
아르헨티나 엔소 페르난데스 (오스트레일리아 상대)
모로코 나예프 아게르드 (캐나다 상대)

도움 기록
3도움
아르헨티나 리오넬 메시
크로아티아 이반 페리시치
잉글랜드 해리 케인
프랑스 앙투안 그리즈만
포르투갈 브루누 페르난드스
2도움
브라질 비니시우스 주니오르
크로아티아 미슬라브 오르시치
잉글랜드 필 포든
프랑스 우스만 뎀벨레
프랑스 테오 에르난데스
프랑스 킬리안 음바페
네덜란드 덴절 뒴프리스
네덜란드 데이비 클라선
포르투갈 주앙 펠리스
포르투갈 하파엘 게헤이루
세르비아 두샨 타디치
세르비아 안드리야 지브코비치
스페인 조르디 알바
미국 크리스천 풀리식
1도움
아르헨티나 앙헬 디 마리아
아르헨티나 엔소 페르난데스
아르헨티나 나우엘 몰리나
아르헨티나 니콜라스 오타멘디
오스트레일리아 매슈 레키
오스트레일리아 라일리 맥그리
벨기에 토비 알데르베이럴트
브라질 네이마르
브라질 루카스 파케타
브라질 호드리구
브라질 치아구 시우바
카메룬 뱅상 아부바카르
카메룬 장샤를 카스텔레토
카메룬 제롬 은곰 음베켈리
카메룬 니콜라 은쿨루
캐나다 테이존 뷰캐넌
코스타리카 옐친 테헤다
크로아티아 요시프 유라노비치
크로아티아 마르코 리바야
크로아티아 데얀 로브렌
덴마크 요아킴 아네르센
에콰도르 앙헬로 프레시아도
에콰도르 펠릭스 토레스
잉글랜드 주드 벨링엄
잉글랜드 해리 매과이어
잉글랜드 케빈 필립스
잉글랜드 루크 쇼
잉글랜드 라힘 스털링
잉글랜드 칼럼 윌슨
프랑스 아드리앵 라비오
프랑스 마르퀴스 튀람
독일 니클라스 퓔크루크
독일 세르주 그나브리
독일 자말 무시알라
독일 다비드 라움
독일 리로이 자네
가나 조르당 아유
가나 이냐키 윌리암스
이란 알리 골리자데
이란 메흐디 타레미
일본 이타쿠라 고
일본 이토 준야
일본 미토마 가오루
일본 요시다 마야
멕시코 세사르 몬테스
모로코 야히아 아티야트 알라
모로코 아슈라프 하키미
모로코 압델하미드 사비리
모로코 하킴 지예시
네덜란드 스티븐 베르하위스
네덜란드 데일리 블린트
네덜란드 프렝키 더 용
네덜란드 퇸 코프메이너르스
폴란드 로베르트 레반도프스키
포르투갈 디오구 달로
포르투갈 곤살루 하무스
카타르 이스마엘 모하마드
사우디아라비아 하탄 바헤브리
사우디아라비아 피라스 알부라이칸
세네갈 이스마일 야콥스
세네갈 일리만 은디아예
대한민국 김진수
대한민국 이강인
대한민국 손흥민
스페인 세사르 아스필리쿠에타
스페인 가비
스페인 알바로 모라타
스페인 다니 올모
스위스 제르단 샤키리
스위스 지브릴 소우
스위스 루벤 바르가스
스위스 실반 비드머
튀니지 아이사 라이두니
미국 세르지뇨 데스트
우루과이 루이스 수아레스
경기 수상
맨 오브 더 매치(경기별 MVP)
순위 선수 팀 상대팀 Awards
1 리오넬 메시  아르헨티나 멕시코 (조별),[22] 오스트레일리아 (16강),[23] 네덜란드 (8강),[24] 크로아티아 (준결승)[25] 프랑스 (결승)[26] 5
2 킬리안 음바페  프랑스 오스트레일리아 (조별),[27] 덴마크 (조별),[28] 폴란드 (16강)[29] 3
3 야신 부누  모로코 스페인 (16강),[30] 포르투갈 (8강)[31] 2
도미니크 리바코비치  크로아티아 일본 (16강),[32] 브라질 (8강)[33]
루카 모드리치  크로아티아 모로코 (조별),[34] 벨기에 (조별)[35]
크리스천 풀리식  미국 잉글랜드 (조별),[36] 이란 (조별)[37]
7 뱅상 아부바카르  카메룬 세르비아 (조별)[38] 1
모하메드 알오와이스  사우디아라비아 아르헨티나 (조별)[39]
가레스 베일  웨일스 미국 (조별)[40]
카제미루  브라질 스위스 (조별)[41]
루이스 차베스  멕시코 사우디아라비아 (조별)[42]
루즈베 체슈미  이란 웨일스 (조별)[43]
히오르히안 데 아라스카에타  우루과이 가나 (조별)[44]
케빈 더 브라위너  벨기에 캐나다 (조별)[45]
프렝키 더 용  네덜란드 에콰도르 (조별)[46]
불라예 디아  세네갈 카타르 (조별)[47]
미첼 듀크  오스트레일리아 튀니지 (조별)[48]
덴젤 둠프리스  네덜란드 미국 (16강)[49]
드비 에파시  카메룬 브라질 (조별)[48]
브루누 페르난드스  포르투갈 우루과이 (조별)[50]
케이셰르 풀레르  코스타리카 일본 (조별)[51]
코디 학포  네덜란드 세네갈 (조별)[52]
가비  스페인 코스타리카 (조별)[53]
올리비에 지루  프랑스 잉글랜드 (8강)[54]
곤다 슈이치  일본 독일 (조별)[55]
앙투안 그리즈만  프랑스 모로코 (준결승)[56]
요슈코 그바르디올  크로아티아 모로코 (3위 결정전)[57]
아슈라프 하키미  모로코 캐나다 (조별)[58]
카이 하베르츠  독일 코스타리카 (조별)[59]
황희찬  대한민국 포르투갈 (조별)[60]
해리 케인  잉글랜드 세네갈 (16강)[61]
와흐비 카즈리  튀니지 프랑스 (조별)[62]
데이비 클라선  네덜란드 카타르 (조별)[63]
칼리두 쿨리발리  세네갈 에콰도르 (조별)[64]
안드레이 크라마리치  크로아티아 캐나다 (조별)[65]
모하메드 쿠두스  가나 대한민국 (조별)[66]
아이사 라이두니  튀니지 덴마크 (조별)[67]
매슈 레키  오스트레일리아 덴마크 (조별)[68]
로베르트 레반도프스키  폴란드 사우디아라비아 (조별)[69]
알렉시스 마크 알리스테르  아르헨티나 폴란드 (조별)[70]
알바로 모라타  스페인 독일 (조별)[71]
네이마르  브라질 대한민국 (16강)[72]
기예르모 오초아  멕시코 폴란드 (조별)[73]
곤살루 하무스  포르투갈 스위스 (16강)[74]
마커스 래시퍼드  잉글랜드 웨일스 (조별)[75]
히샤를리송  브라질 세르비아 (조별)[76]
크리스티아누 호날두  포르투갈 가나 (조별)[77]
부카요 사카  잉글랜드 이란 (조별)[78]
얀 조머  스위스 카메룬 (조별)[79]
다나카 아오  일본 스페인 (조별)[80]
에네르 발렌시아  에콰도르 카타르 (조별)[81]
페데리코 발베르데  우루과이 대한민국 (조별)[82]
그라니트 자카  스위스 세르비아 (조별)[83]
하킴 지야시  모로코 벨기에 (조별)[84]
무실점
순위 이름 팀 상대팀 Awards[85]
1 야신 부누  모로코 크로아티아 (조별), 스페인 (16강), 포르투갈 (8강) 3
에밀리아노 마르티네스  아르헨티나 멕시코 (조별), 폴란드 (조별), 크로아티아 (준결승)
조던 픽퍼드  잉글랜드 미국 (조별), 웨일스 (조별), 세네갈 (16강)
4 알리송  브라질 세르비아 (조별), 스위스 (조별) 2
티보 쿠르투아  벨기에 캐나다 (조별), 크로아티아 (조별)
아이멘 다멘  튀니지 덴마크 (조별), 프랑스 (조별)
도미니크 리바코비치  크로아티아 모로코 (조별), 벨기에 (조별)
안드리스 노퍼르트  네덜란드 세네갈 (조별), 카타르 (조별)
세르히오 로체트  우루과이 대한민국 (조별), 가나 (조별)
매슈 라이언  오스트레일리아 튀니지 (조별), 덴마크 (조별)
우나이 시몬  스페인 코스타리카 (조별), 모로코 (16강)
보이치에흐 슈쳉스니  폴란드 멕시코 (조별), 사우디아라비아 (조별)
맷 터너  미국 잉글랜드 (조별), 이란 (조별)
14 디오구 코스타  포르투갈 우루과이 (조별) 1
드비 에파시  카메룬 브라질 (조별)
에르난 갈린데스  에콰도르 카타르 (조별)
호세인 호세이니  이란 웨일스 (조별)
위고 요리스  프랑스 모로코 (준결승)
무니르 모하메디  모로코 벨기에 (조별)
케일러 나바스  코스타리카 일본 (조별)
기예르모 오초아  멕시코 폴란드 (조별)
카스페르 슈마이켈  덴마크 튀니지 (조별)
김승규  대한민국 우루과이 (조별)
얀 조머  스위스 카메룬 (조별)
상금
$8M - 조별 리그 탈락국 (16개국)
$12M - 16강 탈락국 (8개국)
$16M - 8강 탈락국 (4개국)
$22M - 4위
$24M - 3위
$28M - 준우승국
$38M - 우승국
월드컵 복수 대회 참가 기록
월드컵 5개 대회 득점
선수 독일 2006 남아프리카 공화국 2010 브라질 2014 러시아 2018 카타르 2022 총 득점
득점 상대 득점 상대 득점 상대 득점 상대 득점 상대
포르투갈 크리스티아누 호날두 1 IRN 1 PRK 1 GHA 4 ESP (3), MAR 1 GHA 8
월드컵 4개 대회 득점
선수 독일 2006 브라질 2014 러시아 2018 카타르 2022 총 득점
득점 상대 득점 상대 득점 상대 득점 상대
아르헨티나 리오넬 메시 1 SCG 4 BIH, IRN, NGA (2) 1 NGA 7 KSA, MEX, AUS, NED, CRO, FRA (2) 13
월드컵 3개 대회 득점
선수 브라질 2014 러시아 2018 카타르 2022 총 득점
득점 상대 득점 상대 득점 상대
브라질 네이마르 4 CRO (2), CMR (2) 2 CRC, MEX 2 KOR, CRO 8
크로아티아 이반 페리시치 2 CMR, MEX 1 ISL 1 JPN 4
스위스 제르단 샤키리 3 HON (3) 1 SRB 1 SRB 5
월드컵 5개 대회 참가
선수 독일 2006 남아프리카 공화국 2010 브라질 2014 러시아 2018 카타르 2022 합계
출전 상대 출전 상대 출전 상대 출전 상대 출전 상대
아르헨티나 리오넬 메시 3 SCG, NED, MEX 5 NGA, KOR, GRE, MEX, GER 7 BIH, IRN, NGA, SUI, BEL, NED, GER 4 ISL, CRO, NGA, FRA 7 KSA, MEX, POL, AUS, NED, CRO, FRA 26
멕시코 안드레스 과르다도 1 ARG 3 RSA, URU, ARG 4 CMR, BRA, CRO, NED 4 GER, KOR, SWE, BRA 1 ARG 13
포르투갈 크리스티아누 호날두 6 ANG, IRN, NED, ENG, FRA, GER 4 CIV, PRK, BRA, ESP 3 GER, USA, GHA 4 ESP, MAR, IRN, URU 5 GHA, URU, KOR, SUI, MAR 22
최종 순위
최종 순위는 다음과 같다:

참고: 축구의 통계적인 법칙에 따라 연장전에서 승부가 난 경기는 똑같이 승패로 간주되지만, 승부차기를 통해 승부가 난 경기는 무승부로 간주된다.[86]

순 팀 조 전 승 무 패 득 실 차 점
1  아르헨티나 C 7 4 2 1 15 8 +7 14
2  프랑스 D 7 5 1 1 18 8 +10 16
3  크로아티아 F 7 2 4 1 8 7 +1 10
4 모로코 모로코 F 7 3 2 2 6 5 +1 11
8강전에서 탈락
5  네덜란드 A 5 3 2 0 10 4 +6 11
6  잉글랜드 B 5 3 1 1 13 4 +9 10
7  브라질 G 5 3 1 1 8 3 +5 10
8 포르투갈 포르투갈 H 5 3 0 2 12 6 +6 9
16강전에서 탈락
9  일본 E 4 2 1 1 5 4 +1 7
10  세네갈 A 4 2 0 2 5 7 -2 6
11  오스트레일리아 D 4 2 0 2 4 6 -2 6
12  스위스 G 4 2 0 2 5 9 -4 6
13  스페인 E 4 1 2 1 9 3 +6 5
14  미국 B 4 1 2 1 3 4 -1 5
15  폴란드 C 4 1 1 2 3 5 -2 4
16  대한민국 H 4 1 1 2 5 8 -3 4
조별 리그에서 탈락
17  독일 E 3 1 1 1 6 5 +1 4
18  에콰도르 A 3 1 1 1 4 3 +1 4
19  카메룬 G 3 1 1 1 4 4 0 4
20  우루과이 H 3 1 1 1 2 2 0 4
21  튀니지 D 3 1 1 1 1 1 0 4
22  멕시코 C 3 1 1 1 2 3 -1 4
23  벨기에 F 3 1 1 1 1 2 -1 4
24  가나 H 3 1 0 2 5 7 -2 3
25  사우디아라비아 C 3 1 0 2 3 5 -2 3
26  이란 B 3 1 0 2 4 7 -3 3
27  코스타리카 E 3 1 0 2 3 11 -8 3
28  덴마크 D 3 0 1 2 1 3 -2 1
29  세르비아 G 3 0 1 2 5 8 -3 1
30  웨일스 B 3 0 1 2 1 6 -5 1
31  캐나다 F 3 0 0 3 2 7 -5 0
32  카타르 A 3 0 0 3 1 7 -6 0
중계권
북아프리카-중동 – BeIN 스포츠 (중동-북아프리카 아랍 국가들)
알바니아의 기 알바니아 – RTSH[87]
아르메니아의 기 아르메니아 – ARMTV[87]
오스트레일리아의 기 오스트레일리아 – SBS[88]
오스트리아의 기 오스트리아 – ÖRF[87]
아제르바이잔의 기 아제르바이잔 – ITV Ictimai Television[87]
벨라루스의 기 벨라루스 – BTRC National State Television and Radio Company of the Republic of Belarus[87]
벨기에의 기 벨기에 – VRT (플란더런, 브뤼셀), RTBF (왈롱, 브뤼셀)[87]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기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 BHRT[87]
브라질의 기 브라질 – TV 글로부[89]
불가리아의 기 불가리아 – BNT[87]
캐나다의 기 캐나다 – 벨 미디어[90]
캐리비언 – International Media Content, SportsMax[91]
중국의 기 중국 – CCTV[92]
크로아티아의 기 크로아티아 – HRT[87]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 - KBS 1TV, KBS 2TV, KBS NEWS D, MBC TV, MBC 뉴스 NOW, SBS TV
키프로스의 기 키프로스 – CyBC[87]
체코의 기 체코 – ČT[87]
에스토니아의 기 에스토니아 –ERR Eesti Rahvusringhääling[87]
유럽 연합의 기 유럽 연합 – 유럽방송연맹 (37개국)[87]
프랑스의 기 프랑스-모나코의 기 모나코-안도라의 기 안도라 – TF1 (개막전을 포함한 조별리그 16경기, 프랑스 대표팀 경기, 16강전 5경기, 8강전 3경기, 준결승전 2경기, 3위 결정전, 결승전), BeIN 스포츠 (전 경기)
독일의 기 독일 – ARD, ZDF[93]
조지아의 기 조지아 – GPB Georgian Public Broadcasting[87]
헝가리의 기 헝가리 – MTVA[87]
아이슬란드의 기 아이슬란드 – RÚV[87]
아일랜드의 기 아일랜드 – RTÉ[87]
이스라엘의 기 이스라엘 – lPBC Israeli Broadcasting Corporation[87]
라트비아의 기 라트비아 – LTV Latvijas Televīzija[87]
리투아니아의 기 리투아니아 – LRT Lithuanian National Radio and Television[87]
북마케도니아의 기 북마케도니아 – MRT[87]
몰타의 기 몰타 – PBS Public Broadcasting Services [87]
멕시코의 기 멕시코 – 텔레비사, TV 아즈테카
몰도바의 기 몰도바 – TRM[87]
몬테네그로의 기 몬테네그로 – RTCG[87]
네덜란드의 기 네덜란드 – NOS[87]
뉴질랜드의 기 뉴질랜드 – 스카이스포츠 SKY SPORTS (뉴질랜드)[94]
폴란드의 기 폴란드 – TVP[87]
포르투갈의 기 포르투갈 – RTP[87][95]
루마니아의 기 루마니아 – TVR[87]
세르비아의 기 세르비아 – RTS[87]
슬로바키아의 기 슬로바키아 – RTVS[87][96]
영국의 기 영국 – BBC,[출처 필요] ITV
미국의 기 미국 – 폭스 스포츠 (영어),[97] 텔레문도 (스페인어)[98]
마케팅
FIFA 파트너 FIFA 월드컵 후원업체 아프리카-중동 서포터 북미 서포터 남미 서포터
독일 아디다스[99]
미국 코카콜라[100]
중국 완다
대한민국 현대자동차–기아자동차[101]
카타르 카타르항공[102]
카타르 카타르 에너지
미국 비자카드[103]
미국 버드와이저[104]
인도 Byju's
싱가포르 Crypto.com
중국 하이센스
벨기에 주필러
미국 맥도날드
중국 멍뉴
틱톡
중국 비보 스마트폰[105]
카타르 GWC 물류 센터 Archived 2021년 12월 1일 - 웨이백 머신
카타르 Ooredoo
카타르 Qatar National Bank
미국 Algorand
그리스 Betano Sport Bet
룩셈부르크 Globant
미국 The Look Company
Visit Saudi
YouTube Shorts
멕시코 Claro
콜롬비아 Inter Rapidisimo
브라질 Nubank
인도 UPL (회사)

https://ko.wikipedia.org/wiki/2022%EB%85%84_FIFA_%EC%9B%94%EB%93%9C%EC%BB%B5 위키백과

역대급으로 유명한 선수들이 많네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