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T80

HTTP 역사메시지 포맷메시지 포맷 하위분류 토글하기요청 메시지요약표응답 메시지예제 세션클라이언트 요청서버 응답응답 코드같이 보기각주외부 링크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 문화어: 초본문전송규약, 하이퍼본문전송규약)는 W3 상에서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는 프로토콜이다. 주로 HTML 문서를 주고받는 데에 쓰인다. 주로 TCP를 사용하고 HTTP/3부터는 UDP를 사용하며, 80번 포트를 사용한다. 1996년 버전 1.0, 그리고 1999년 1.1이 각각 발표되었다. HTTP는 클라이언트와 서버 사이에 이루어지는 요청/응답(request/response) 프로토콜이다. 예를 들면, 클라이언트인 웹 브라우저가 HTTP를 통하여 서버로부터 웹페이지(HTML)나 그림 정보를 요청하면, 서버는 이 요청에 응답하여 필요한 정보를 해당 사용자에게 전달하게 된다. 이 정보가 모니터와 같은 출력 장치를 통해 사용자에게 나타나는 .. 2022. 11. 8.
랜섬웨어 역사역사 하위분류 토글하기암호화된 랜섬웨어주요 사례작동 원리작동 원리 하위분류 토글하기흐름원리감염시 증상관련 항목각주외부 링크 랜섬웨어(영어: ransomware)는 컴퓨터 시스템을 감염시켜 접근을 제한하고 일종의 몸값을 요구하는 악성 소프트웨어의 한 종류다. 컴퓨터로의 접근이 제한되기 때문에 제한을 없애려면 해당 악성 프로그램을 개발한 자에게 지불을 강요받게 된다. 이때 암호화되는 랜섬웨어가 있는 반면, 어떤 것은 시스템을 단순하게 잠그고 컴퓨터 사용자가 지불하게 만들기 위해 안내문구를 띄운다. 랜섬웨어는 몸값을 뜻하는 Ransom과 Software(소프트웨어)가 더하여진 합성어이다. 처음 러시아에서 유행하면서 랜섬웨어를 이용한 사기는 국제적으로 증가하였는데[1][2], 보안 소프트웨어 개발사 맥아피는 2013년 1분기 동안 수집한 25만 개 이상의 고유한 랜섬웨어 표본 자료를 2013년 6월 공개했고, 이는 2012년 1분기.. 2022. 11. 7.
인공장기 목적사람의 지혜를 넘어선 정밀 기계간장과 신장의 복잡한 기능의 대행필요한 것은 기술 혁신, 의식 혁명인공 장기의 예인공 장기의 예 하위분류 토글하기회복을 넘어서마이크로칩.. 인공 장기(人工臟器, artificial organs) 또는 인공 기관은 인간의 신체 장기를 대용하기 위하여 인간 이외의 동물의 장기를 이용하거나 또는 생체 공학 기술을 토대로 하여 만들어 내는 인위적, 기계적 장치나 장기를 말한다. 필터나 화학 처리 장치와 같이 고정 전원 공급 장치 또는 다른 자원에 얽매인 것은 인공 장기로 정의되지 않는다. (정기적인 배터리 충전, 화학 물질의 보충, 필터를 청소하거나 교체하는 것들은 인공 장기라고 불리는 장치에서 제외된다.) 따라서 신장 투석 기계와 같은 신장의 기능을 완벽히 대체하는 성공적이고 매우 중요한 생명 유지 장치는 인공 장기가 아니다. 아직까지 완전한 의미의 효율적이고 독립적인 인공 신장은 개발되지 않았다. Organ transplantationICD-1.. 2022. 11. 7.
애드가드 특징특징 하위분류 토글하기AdGuard HomeAdGuard 브라우저 확장AdGuard 애플리케이션AdGuard DNS반응사건사고연구각주 AdGuard Software Limited에서 개발한 AdGuard는 오픈 소스, 무료 및 셰어웨어 제품을 제공한다. AdGuard의 DNS 앱은 Microsoft Windows, Linux, macOS, Android 및 iOS를 지원한다. AdGuard는 브라우저 확장으로도 사용할 수 있다. AdGuard Software Limited는 2009년 모스크바에서 설립되었다.[1] 2014년에 AdGuard Software Limited의 제품은 키프로스에서 사용할 수 있게 되었으며 이후 본사가 이전되었다.[2][3] 특징[편집] AdGuard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AdGuard Home[편집] AdGuard Home은 필터 목록 퀘스트에 나타나는 도메인에 대해 잘못된 주소로 응답하는 재귀적 DNS .. 2022. 11. 6.
티스토리 특징이름역사역사 하위분류 토글하기2006년2007년2008년2009년같이 보기각주외부 링크 티스토리(Tistory)는 대한민국의 가입형/설치형 블로그 서비스다. 2006년 5월 25일, 다음커뮤니케이션과 태터앤컴퍼니(TNC)가 함께 공동운영을 시작했으나, 서비스 시작 1년 2개월 만인 2007년 7월 10일에 모든 서비스의 운영권이 다음커뮤니케이션으로 이관되었다.[1] 특징[편집] 편리성 : 티스토리는 태터툴즈라는 설치형 블로그 프로그램을 서비스형 블로그에 옮겨둔 것이다. 서버를 직접 설정하고, 아파치 웹 서버, MySQL, PHP등에 적응하기 어려운 일반 사용자를 대상으로 태터툴즈의 소스를 거의 그대로 가져와서, 네이버 블로그, 다음 블로그처럼 서비스를 시작했다. 가입형 : 티스토리는 위지위그(화면에 나타난 것을 그대로 HTML로 바꿔주는 기능으로, 위지윅이라고도 함)을 사용하여 HTML을 .. 2022. 10. 27.
인텔740 그래픽처리장치 인텔740 언어 주시 편집 인텔740(Intel740) 또는 i740(코드명: 오번/Auburn)은 1998년 인텔이 출시한, AGP를 사용하는 350 nm 공정 그래픽 처리 장치이다. 인텔은 AGP 포트를 대중화하기 위해 i740 사용을 희망하고 있었으나 대부분의 그래픽스 업체들은 여전히 PCI를 사용하고 있었다. 상당한 팡파르와 함께 출시되었으나 i740은 실망스러운 실성능을 보여주었으며[1] 시장에 내놓은지 겨우 수개월 후 모습을 감추었다. 기술 중 일부는 인텔 GMA 형태로 남아있었으며 인텔이 제조한 그래픽스 프로세서의 개념은 인텔 HD 및 아이리스 그래픽스, 인텔 HD 및 아이리스 그래픽스의 형태로 남아있다. 인텔740 AGP 카드 인텔 i740이 있는 메인보드. 역사 편집 i740은 자신들의 .. 2022. 9. 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