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406 입사하고 싶은 대기업 TOP10 입사하고 싶은 대기업 TOP10 https://www.leting.kr/bbs/board.php?bo_table=community_issue&wr_id=412 입사하고 싶은 대기업 TOP10 많이들 취준하며바로보는 기업들이 있을텐데요국내인들이 입사를 원하는대기업에는 어디가 있는지사람인에서 조사하였습니다공동 8위를 한 세기업!작년까지만해도카카오가 1위 였던것같은데 www.leting.kr 2022. 7. 18. [심층인터뷰] 네이버 카카오도 구글처럼 될 수 있을까? f. 권순우 취재팀장 [심층인터뷰] 네이버 카카오도 구글처럼 될 수 있을까? f. 권순우 취재팀장 https://youtu.be/DjH3dAM4C0o 한국도 미국처럼 액면분할하고 오르고 또오르고 할 수 있을까요 ㅜㅜ. 네이버와 카카오 권순우 취재팀장님이 심층분석 인터뷰하셨네요. 네이버 주가는 52주최고 46만 최저 23만 카카오 주가는 최고 16만 최저 7만 얼어붙은 민심이네요 ㅋㅋㅋ쿠ㅜㅜㅜㅜ. 2022. 7. 17. 신한울 3·4호기 2024년 건설 재개…연내 원전일감 1300억 공급[산업부 업무보고] 2030년까지 ‘에너지혁신벤처’ 5000개 육성민간 투자 활성화 3종세트 강화…첨단산업 전문인력 14만명 양성 정부가 신한울 3·4호기 건설을 오는 2024년 재개하고 연내 1300억원 규모의 원전 일감을 공급한다. 2030년까지 에너지 신산업 혁신을 선도할 ‘에너지혁신벤처’ 5000개도 육성한다. 또 민간 투자 활성화 3종 세트를 강화하고, 미래 첨단산업을 중심으로 전문인력 14만명을 양성한다. 이창양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12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에서 이같은 내용을 담은 ‘새 정부 산업통상자원 정책방향’을 윤석열 대통령에게 보고했다. 산업부는 정책방향으로 ▲성장지향 산업전략 ▲국익과 실용 중심의 통상전략 ▲에너지 공급·수요 혁신전략 등 3대 전략과 11대 핵심과제를 제시하고 이를 집중 추진한다. 먼저 원전산업 생태계 조속 복원을 위해 신한울 3·4호기 조기 건설을 추진한다. 이를위해 환경영향평가를 즉시 개시한.. 2022. 7. 15. 지역가입자도 국민연금 보험료 지원이 된다고? 요즘 들어 물가가 가파르게 치솟고 있습니다. 같은 월급이 이제 더 적다고 느껴질 텐데요. 게다가 직장인들은 월급에서 4대 보험을 공제하고 난 금액을 받게 됩니다. 그래서 더욱 적은 느낌이 들죠. 건강보험이든 국민연금이든 내가 원해서 가입하지 않았기 때문에 왠지 억울한 기분도 들고요. 하지만 건강보험도 그렇고 국민연금도 사회구조적 차원의 질병이나 빈곤 등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꼭 필요한 것도 사실입니다. 국민연금은 일을 할 수 있는 나이로 생각되는 18세 이상 60세 미만의 국민이 납부하게 되는 사회보장제도로 은퇴 후 의지할 수 있는 소득이 됩니다. 건강보험과 비슷하게 국민연금도 직장인은 사업장가입자로, 그 외에는 지역가입자로 구분하는데 연금보험료 납부에 있어서 사업장가입자는 회사에서 절반을 부담해주고 .. 2022. 7. 14. 반도체 등 초격차 스타트업 1000개 육성…납품단가 연동제 추진[중기부 업무보고] 비상장 벤처기업에 복수의결권 주식 발행 허용9월 소비 진작 ‘대한민국 동행세일’…기업가형 소상공인 양성 정부가 반도체·바이오·인공지능(AI) 등 신산업 분야 유망 스타트업을 집중 육성하는 ‘초격차 스타트업 1000 프로젝트’를 신설한다. 또 코로나19 사태에 이어 고물가·고금리·고환율 위기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소상공인에 대한 지원을 계속하고 중소기업계 고질적 병폐 중 하나인 불공정 납품단가 등에 대한 정상화를 위해 ‘납품단가 연동제’ 도입을 추진하기로 했다. 중소벤처기업부는 12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에서 윤석열 대통령에게 이 같은 내용의 업무계획을 보고했다. 중기부는 정책 비전을 ‘중소벤처가 주도하는 디지털 경제 시대 선도국가 도약’으로 삼고 창업벤처·소상공인·중소기업을 위한 3대 고객별 맞춤형 핵심과제와 하반기 추진 중점과제를 제시했다. 우선 중기부는 창업벤처기업의 글로벌 진출을 촉진하고 4차 산업혁명.. 2022. 7. 13. 전기 절약하고 캐시백 받자~ 연일 푹푹 찌는 더위에 전국 대부분의 지역에 폭염특보가 발효되고 있다. 엎친 데 덮친 격으로 밤사이 열대야까지 이어져 낮이고 밤이고 뜨거운 열기에 정신이 혼미해지는 기분이다. 전기요금 걱정에 에어컨을 하루 종일 틀어 놓을 수가 없어 한낮에 또는 가족들이 다 모여 저녁식사를 할 때 잠깐씩 켜 놓고 있는데 한여름에는 이용 시간이 배로 늘어날 것 같다는 생각이 든다. 아직 7월 초이니 넉넉히 2개월 동안은 분명 평소보다 전력 사용량이 꽤나 증가할 듯하다. 폭염은 자연재난 중 하나다. 열사병, 열경련 등의 온열질환을 유발할 수 있으며 여름철 전력 급증 등으로 생활의 불편을 초래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그렇다 보니 정부는 여름철이 되면 폭염 취약 계층을 집중 관리하거나 전력수급 대책을 마련하는 등 국민들의 안전과.. 2022. 7. 12. 이전 1 ··· 50 51 52 53 54 55 56 ··· 6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