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1451

율곡 이이 주 메뉴 열기 이이 조선의 유학자 언어PDF 다운로드주시편집 다른 뜻에 대해서는 율곡 (동음이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다른 뜻에 대해서는 이이 (동음이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율곡이이 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이 사람의 호와 이름을 딴 대한민국의 구축함에 대해서는 DDG-992 율곡이이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이이(李珥, 1536년 음력 12월 26일 ~ 1584년 음력 1월 16일)는 조선의 문신이자 성리학자이다. 본관은 덕수(德水). 자는 숙헌(叔獻), 호는 율곡(栗谷)이다. 관직은 이조판서(吏曹判書)에 이르렀다. 시호는 문성(文成)이다. 서인(西人)의 영수로 추대되었다. 이언적, 이황, 송시열, 박세채, 김집과 함께 문묘 종사와 종묘 배향을 동시에 이룬 6현 중 하나다. 아홉 차례의 과거에 장원급제.. 2022. 4. 17.
충주호 유람선 화재사고 충주호 유람선 화재사고는 1994년 10월 24일 충주호에서 충주호관광선 소속 충주 제5호 유람선에서 화재가 발생, 전소된 사고이다. 이 사고로 30명의 사망자 또는 실종자가 발생하였다. 충주 제5호 충주 제5호는 1986년 7월에 부산에서 건조되었다. 54톤급에 길이 28m, 폭 5m로, 워터제트식(물분사추진식) 디젤동력엔진을 사용하였다. 승선인원은 127명이다.[2][3][4][5] 화재 충주 제5호는 1994년 10월 24일 16시에 단양읍의 신단양선착장에서 승무원 3명을 포함한 132명의 승객을 싣고 충주로 향하여 출발하였다. 16시 15분경, 구단양철교를 지날 때에 기관실쪽에서 화재가 발생하였고, 10여 분 사이에 선실과 갑판으로 옮겨붙었다. 유람선은 1시간 만에 전소되었다.[5][6][7] 구.. 2022. 4. 17.
우리나라 위험지역 순위 제주 부산 경남 전남 광주 충남 강원 서울 대구 인천 충북 대전 경기 전북 울산 세종 순으로 범죄율이 높았습니다. 형법범죄율은 서울45 부산 40 대구 50 인천 48 광주 50 대전 48 울산 86 세종 84 경기 52 강원 48 충북 50 충남 54 전북 56 전남 56 경북 56 경남 45 제주 37 자료 kosis. 2022. 4. 16.
여드름 여드름(영어: acne vulgaris, acne), 또는 보통 여드름은 피부의 피지선, 염증성 질환을 의미한다. 보통 피부에서 붉게 나타나는데, 유형은 약 50여 가지가 있다. 인간은 사춘기에 많이 찾아온다. 잘못된 화장, 스트레스, 성 호르몬, 데모덱스균 환경 등이 여드름의 요인들이다. 남성의 여드름진료과피부과증상여드름집(블랙헤드, 화이트헤드), 뾰루지, 지성 피부, 흉터[1][2]합병증불안, 자아존중감 감소, 우울증[3][4]통상적 발병 시기사춘기[5]위험 인자유전[2]유사 질병모낭염, 주사, 화농성한선염, 땀띠[6]치료생활스타일 변경, 약물, 의료적 절차[7][8]투약아젤라익산, 과산화벤조일, 살리실산, 항생물질, 경구 피임약, 이소트레티노인[8]빈도633,000,000 (2015)[9] 원인 및.. 2022. 4. 16.
백색증 알비노 백색증(白色症; 영어: Albinism)은 동물이나 사람의 눈, 피부, 머리카락 등에서 멜라닌 색소가 합성되지 않는 질병이다. 이것은 멜라닌을 생성하는 티로시나아제가 돌연변이에 의해 형성되지 않거나 부분적으로 형성되어 발생하는 선천성 유전 질환이다. 이 증세를 겪는 생명체를 알비노(Albino)라고 통칭하며 대의어는 흑색증이다. 인간의 백색증은 전신성과 국한성으로 나눌 수 있다. 전신성은 상염색체성 열성 유전이 되며 국한성은 상염체성 우성유전(피부형)과 X염색체성 열성유전(눈형)이 되는 것이 차이점이다. 이밖에도 백색증은 포유류, 어류, 조류, 파충류 등 대부분의 동물에서도 관찰되기도 한다.[1] 인위적으로 동물을 알비노로 만드는 품종개량하기도 한다. 이렇게 알비노가 된 동물은 색깔이 몸이 노랗거나, 하.. 2022. 4. 15.
갈색 개 사건 동물학대 방지 갈색 개 사건은 생체 실험 찬반을 놓고 1903년에서 1910년 사이 영국에서 벌어진 정치적 논란이다. 1903년 스웨덴 여성주의 활동가들이 런던 대학교 의학대학 생체 실험 강의실에 난입한 사건으로 촉발되었고, 이후 1906년 생체 실험 반대론자들이 동상을 건립하자 의대생들은 동상 파괴를 위해 경찰과 충돌하였다. 논쟁은 명예훼손 소송으로 번졌고, 영국 정부가 동물 생체 실험의 실태를 조사하기 위한 심의회를 설치하기에 이르렀다. 이 사건은 영국 전역을 찬반으로 갈라놓는 “코즈 샐레브르”(프랑스어: cause célèbre, 유명한 쟁점)이었다.[1] 1903년 2월 런던 대학교 의과대학 교수 윌리엄 베일리스는 60명의 학생들 앞에서 갈색 테리어에 대한 생체 실험을 하고 있었다. 스웨덴 출신 여성주의 활동가.. 2022. 4.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