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미아미아미 :: '축구공' 태그의 글 목록

아디다스 축구 공인구


스포츠

Written by 복날집 on 2023. 12. 4. 13:29

반응형

아디다스 축구공

아디다스 +팀가이스트(독일어: Adidas +Teamgeist ˈtiːmgaɪ̯st[*], +는 발음하지 않음)는 아디다스가 몰텐의 협조로 개발한 축구공이다. 이 공은 독일에서 열린 2006년 FIFA 월드컵의 공인구이기도 했다. + 표시가 이름에 들어간 이유는 상표 등록 목적으로 집어넣은 것으로, 독일어 단어인 팀 정신(Teamgeist)을 상표로 등록할 수 없기 때문이었다.[1]

구조[편집]

공 설계는 아디다스 혁신팀과 몰텐의 협조로 1970년 월드컵에 텔스타를 선보인 이래 월드컵 공인구를 계속 제작한 아디다스에서 제조했다. +팀가이스트 공은 기존의 공인구와 비슷한데 1970년 이래 표준으로 평가되는 32개 조각이 아닌 14개의 곡선 조각으로 만들어졌다.(깎은 정팔면체와 위상학적으로 동일) 32조각을 붙여 만든 호테이루의 경우처럼 +팀가이스트도 박음질이 아닌 열로 조각을 붙여 제작되었다.[1] 개발사는 +팀가이스트가 구형에 더 가깝고 어느 방향으로 차든지 간에 비슷한 궤적으로 날아가며 거의 완전 방수에 가까워 악천후에도 영향을 받지 않는다고 설명했다.[2]

월드컵 공식 경기구[편집]

베를린 "축구계" 아디다스의 팀가이스트 전시물

2006년 FIFA 월드컵 본선에 진출한 32개국 연맹에게는 연습용 축구공 40개가 지급되었다. 2006년 FIFA 월드컵 본선에 사용된 축구공에는 경기장명, 경기에 출전하는 두 국가명, 경기 개시 시간이 새겨졌고, 보호 코팅이 씌워졌다.

결승전에는 특수 공인구인 +팀가이스트 베를린이 사용되었다.[3] 팀가이스트 베를린은 기존의 팀가이스트와 같은 디자인을 사용했지만 표면을 금색, 흑색, 백색으로 강조한 것이 특징이다. 결승전에 진출한 프랑스이탈리아 대표팀에게는 연습용 결승전 공인구가 20개씩 지급되었다.

기술 사항[편집]

본래 이 공인구에 전자 추적 시스템을 도입하려 했지만, 페루에서 열린 2005년 U-17 월드컵을 계기로 계획이 폐기되었다.

국제 축구 연맹 표준[4]팀가이스트[4]

둘레 68.5 – 69.5 cm 69.0 – 69.25 cm
직경 ≤ 1.5% 편차 ≤ 1.0% 편차
흡수율 ≤ 10% 중량 증가 ≤ 0.1% 중량 증가
질량 420 - 445 g 441 - 444 g
형태 회복 50 km·h−1 조건에 2000회 50 km·h−1 조건에 3500회
반동 높이 ≤ 10 cm ≤ 2 cm
압력 손실 ≤ 20% ≤ 11%

팀가이스트는 전통적인 텔스타의 32조각을 탈피한 최초의 월드컵 공인구이다. 이 공인구는 14조각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3조각이 맞붙는 꼭지점 수가 60% 줄어들었고,(60개에서 24개로) 조각 모서리 길이는 15% 줄어들었다.(400.5 cm에서 339.3 cm로) 2004년에 열접합 방식의 제조법을 도입하면서, 팀가이스트는 월드컵에 처음으로 신기술을 접목한 공인구를 선보였다. 공인구를 제작하기 위해 러프버러 대학교는 독일 바이에른 주 샤인펠트의 아디다스 축구 연구소와 협력하여 엄격한 실험을 실시했다.[5]

비판[편집]

아디다스의 협찬을 받는 스위스의 요한 포겔과 잉글랜드의 데이비드 베컴을 비롯한 선수들은 새 공인구에 만족감을 나타냈다. 그러나 월드컵을 앞두고 많은 선수들이 비판을 하기도 했다. 새 공인구를 비판한 선수들로는 브라질 국가대표 호베르투 카를루스[6]와 잉글랜드의 폴 로빈슨 등이 있었는데,[7] 이들은 공이 너무 가볍고 우천시 공이 평소와는 다르다는 점에 불평을 제기했다. 공의 박음질 길이가 줄어들어 공기 저항이 줄어들었고, 공의 궤적도 바뀌었다.[8]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의 공인구로 활용된 "와와 아바"(Wawa Aba)도 대회에 참가한 선수들의 비판을 받았는데, 이집트의 호스니 압드 라보는 공을 주고 받기 나쁘다고 평했다.[9]

팀가이스트 2[편집]

아디다스는 일본에서 열린 2007년 클럽 월드컵에서 팀가이스트 2를 선보였다. 이후 2008년에 공식적으로 시판하여 2008년 하계 패럴림픽에서 7인제 뇌성마비장애인 축구 공인구로 사용했다.

파생 공인구[편집]

아디다스는 여러 대회에서 +팀가이스트와 팀가이스트 2의 파생 공인구를 사용했다.[10]

 
 
팀가이스트 파생 공인구 예시: (왼쪽) 팀가이스트 베를린, (오른쪽) 팀가2스트 마그누스 모에니아(2008년 하계 올림픽 공인구)

연도파생 공인구명사용 대회

2006 팀가이스트 2006년 월드컵
2006 팀가이스트 베를린 2006년 월드컵 결승전
  팀가이스트 블루  
  팀가이스트 레드 2006년 클럽 월드컵
2006 팀가이스트 RFEF 코파 델 레이 2006-07
2007 팀가이스트 블루 2007 차이나 2007년 여자 월드컵
2007 팀가이스트 레드 2007 캐나다 2007년 U-20 월드컵

이 공인구 외에도 2008년 하계 올림픽의 아디다스 팀가2스트 마그누스 모에니아와 유로 2008의 오이로파스도 팀가이스트의 파생 공인구로 볼 수 있다.

https://ko.wikipedia.org/wiki/%EC%95%84%EB%94%94%EB%8B%A4%EC%8A%A4_%ED%8C%80%EA%B0%80%EC%9D%B4%EC%8A%A4%ED%8A%B8 위키백과

아디다스 오이로파스(독일어: Adidas Europass)는 아디다스가 제작한 축구공이다. 오이로파스는 유로 2008의 공인구이다. 공인구는 2007년 12월 2일, 본선 조별 리그 추첨식에서 공개되었다. 대회 결승전용 공인구로 오이로파스 글로리아(Europass Gloria)를 사용했다. 이 공인구는 같은 공인구지만 외피 그림이 달랐으며,(대회에 따라) 2008년부터 2009년까지 챔피언스리그2009년 UEFA 슈퍼컵2009-10 시즌 유로파리그에서 사용되었다.

테라파스(Terrapass)는 오이로파스(Europass)와 외형적으로 유사한데, 2009년 U-21 선수권 대회와 여자 유로 2009를 비롯해 몇몇 국제 경기에서 활용되었다.

기술 사항[편집]

이 공인구는 기존의 32개 조각이 아닌 14개의 조각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공도 독일에서 열린 2006년 월드컵의 공인구로 활용된 팀가이스트의 파생 공인구이나, 표면에 돌기 기술을 처음으로 적용했다. 판 사이는 박음질이 아닌 특수 접착재를 이용해 열접합 기술로 이어져 내구력과 방수력이 한층 강화되었다.

비판 의견[편집]

대부분의 공에 대한 비판은 골키퍼들이 제기했다.[1] 안드레아스 쾨프케 독일 국가대표팀 골키퍼 코치는 기자 앞에서 "누구도 공인구에 100% 만족할 수는 없습니다"라고 의견을 표력했다. 그는 "공인구 가지고 한탄하는 건 의미없습니다"라고 덧붙이며 "[그러나] 공이 감기기 때문에 골을 많이 먹히진 않을 것입니다."라고 선수단이 최선을 다해 적응을 노력한다고 밝혔다.

"저는 한 주 전부터 적응 훈련을 했는데, 2006년 월드컵에서 썼던 공과는 매우 다릅니다. 전반전에서 공을 잡으려 했지만 좀 더 위로 떴기에 공인구를 다루는 데 애로가 있습니다."라고 옌스 레만 독일 골키퍼가 불만을 표의했다.

공동 개최국 오스트리아의 알렉스 만닝어와 체코의 페트르 체흐도 불만을 제기했는데, 만닝어는 "골키퍼에 전혀 친화적이지 않다"고 말하기도 했다.

이탈리아 골키퍼도 비슷하게 공에 대한 불만을 제기했다. 잔루이지 부폰은 "아마 우리는 공인구에 적응할 필요가 있습니다. 그렇지만 상관 없이 저는 공을 잡을 겁니다"라고 말했다. 한편 마르코 아멜리아는 기자들 앞에서 "공이 방향을 바꿉니다. 공을 문제 없이 잡으려면 공을 쳐내는 편이 낫습니다."라고 말을 건냈다.[2]

아디다스는 비판 의견에 "공에 신기술로 도잎된 돌기 구조는 어느 날씨에서든 완벽히 제어하고 다룰 수 있다"며 반박했다. 아디다스 측은 공 외피의 표면 질감은 "공과 축구화에 최적의 호환성"을 보장한다고 덧붙였고, 골키퍼가 장갑으로 잡기 더 좋다고도 언급했다.

https://ko.wikipedia.org/wiki/%EC%95%84%EB%94%94%EB%8B%A4%EC%8A%A4_%EC%98%A4%EC%9D%B4%EB%A1%9C%ED%8C%8C%EC%8A%A4 위키백과

텔스타 18(Telstar 18)은 러시아에서 열린 2018년 FIFA 월드컵의 공식 경기구이다. 아디다스에서 제작한 축구공이다. 2017년 11월 9일에 모스크바에서 일반 대중들에게 처음으로 공개되었다.[1]

이름은 1970년 FIFA 월드컵 당시 처음으로 도입된 FIFA 월드컵 공식 경기구인 텔스타에서 유래되었다.

특징[편집]

텔스타 18은 지난 대회인 2014년 FIFA 월드컵 공식 경기구인 브라주카의 기본 골격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6개의 다각형 모양 패널로 구성했다. 또한 월드컵 공식 경기구 최초로 쌍방향 인터랙티브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한 근거리 무선 통신 칩을 내장하였다. 디자인은 초기 텔스타 당시의 디자인을 그대로 유지하기 위해 흑백으로 구성되었다.[2] 또한 이 공은 2018년 아시안 게임에도 사용된 적이 있다.

텔스타 메치타[편집]

아디다스 텔스타 메치타

결선 토너먼트부터는 기존 텔스타 18에 색상을 바꾼 텔스타 메치타(Telstar Mechta)가 사용되었는데, 이는 결승전이 아닌 대회 기간 중 처음으로 공식 경기구를 변경하였다. '메치타'(Мечта)라는 단어는 러시아어로 '꿈'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으며, 지면 탈락하는 '꿈의 무대'를 의미한다. 또한 공에 사용된 빨간색은 개최국인 러시아의 국기에서 영감을 얻은 것이다

https://ko.wikipedia.org/wiki/%EC%95%84%EB%94%94%EB%8B%A4%EC%8A%A4_%ED%85%94%EC%8A%A4%ED%83%80_18 위키백과

피버노바(Fevernova)는 대한민국과 일본이 공동으로 개최한 2002년 FIFA 월드컵의 공식 경기구로, 아디다스가 제작하였다. 이 공식 경기구는 너무 가볍다는 비판을 많이 받았다.

피버노바는 전체적으로 탱고 형식에서 벗어난 디자인을 띠고 있으며 하얀색 바탕 안에는 삼각형 모양을 띤 황금색 육각형 무늬 4개가 그려져 있다. 육각형 무늬 안에는 붉은색 불꽃 무늬, 카키색 삼각형 무늬가 그려져 있다.

황금색은 대한민국과 일본 양국이 2002년 FIFA 월드컵 공동 개최를 위해 노력한 에너지를, 붉은색 불꽃은 대한민국과 일본 양국의 경제 성장의 원동력을, 카키색 삼각형 무늬는 대한민국과 일본 양국의 균형 있는 산업의 발전을 의미한다.

아디다스 측의 언론 공개 자료에 의하면, 피버노바에 대해 다음과 같이 서술하였다.

아디다스의 피버노바는 1978년 이후 전통적인 탱고 디자인에서 탈피한 최초의 월드컵 공식 경기구이다. 화려하고 혁명적인 외관과 색채는 전적으로 아시아권의 문화에 기반한 것이다. 피버노바의 특징은 공의 성능을 높여 주는 기포강화 플라스틱과, 공이 날아가는 방향을 언제나 예측하기 쉽게 해 주는 세 겹의 포대 구조를 삽입하였다.[1]

https://ko.wikipedia.org/wiki/%EC%95%84%EB%94%94%EB%8B%A4%EC%8A%A4_%ED%94%BC%EB%B2%84%EB%85%B8%EB%B0%94 위키백과

브라주카(포르투갈어: Brazuca)는 브라질에서 열린 2014년 FIFA 월드컵의 공식 경기구이다. 아디다스에서 제작한 축구공이며 FIFA 월드컵 공식 경기구로는 최초로 축구 팬들의 공모를 통해 명명된 공식 경기구이다. 결승전에서는 브라주카 피날 히우(포르투갈어: Brazuca Final Rio)가 사용되었다.

명칭[편집]

공식 경기구 명칭은 2014년 FIFA 월드컵 조직위원회와 아디다스가 공동으로 실시한 투표에 의해 결정되었다. 약 100만 명 이상에 달하는 브라질의 축구 팬들이 투표에 참가했으며 득표율 77.8%를 기록한 브라주카(Brazuca)가 공식 경기구 명칭으로 결정되었다. FIFA는 '브라주카'가 "브라질인의 삶 속에 있는 국가적인 자부심"을 담고 있는 단어이며 "축구를 대하는 브라질인의 정서, 자부심, 우호"를 담고 있는 단어라고 설명했다. 브라주카(Brazuca)는 "브라질인"을 뜻하는 포르투갈어 속어이며 세계 곳곳에 거주하는 브라질인 디아스포라를 뜻하는 포르투갈어 속어이기도 하다. 그 밖에 보사노바(Bossa Nova, 득표율 14.6%), 카르나발레스카(Carnavalesca, 득표율 7.6%)가 후보로 올랐다.

기술적인 특징[편집]

아디다스의 마케팅 담당자는 브라주카의 특징을 다음과 같이 설명했다.

  • 브라주카는 6개의 폴리우레탄 패널로 만들어졌으며 우천시에도 같은 무게나 구형을 유지할 수 있도록 접합되어 있다.
  • 지금까지 없었던 패널 형상을 채용하였기 때문에 경기의 속도와 공의 구형 유지에 큰 진전이 있을 것이예상된다.
  • 브라주카의 공기를 넣는 부분은 라텍스로 만들어졌기 때문에 불규칙적인 리바운드를 줄일 것으로 예상된다.
  • 2010년 FIFA 월드컵의 공식 경기구였던 자블라니보다 UEFA 챔피언스리그 공식 경기구인 아디다스 피날레 13(adidas' Finale 13)과 사용감이 가까운 편이다.
  • 하얀색과 파란색 이외에도 브라질을 연상시키는 초록색, 주황색 등을 사용하였으며 지금까지의 FIFA 월드컵 공식 경기구 중에서 색채가 가장 풍부한 편이다.

공개[편집]

아디다스는 2014년 FIFA 월드컵 본선 조 추첨을 2일 정도 앞둔 2013년 12월 3일에 리우데자네이루 파르키 라지(Parque Lage)에서 브라주카를 일반에 공개했다.

https://ko.wikipedia.org/wiki/%EC%95%84%EB%94%94%EB%8B%A4%EC%8A%A4_%EB%B8%8C%EB%9D%BC%EC%A3%BC%EC%B9%B4 위키백과

반응형
반응형

위키백과

처음 위치
공식 경기구 미지정 시대 (1930–1966)
공식 경기구 미지정 시대 (1930–1966) 하위섹션 토글하기
Tiento: 전반 / T-model: 후반 (1930년 우루과이 월드컵)
Federale 102 (1934년 이탈리아 월드컵)
Allen (1938년 프랑스 월드컵)
Duplo T (1950년 브라질 월드컵)
Swiss World Champion (1954년 스위스 월드컵)
Top Star (1958년 스웨덴 월드컵)
Crack Top Star (1962년 칠레 월드컵)
챌린지 4-스타 (1966년 잉글랜드 월드컵)
아디다스 공식 경기구 시대 (1970–현재)
아디다스 공식 경기구 시대 (1970–현재) 하위섹션 토글하기
텔스타 (1970년 멕시코 월드컵)
텔스타 두라스트 (1974년 서독 월드컵)
탱고 (1978년 아르헨티나 월드컵)
탱고 에스파냐 (1982년 에스파냐 월드컵)
아즈테카 (1986년 멕시코 월드컵)
에트루스코 유니코 (1990년 이탈리아 월드컵)
퀘스트라 (1994년 미국 월드컵)
트리콜로 (1998년 프랑스 월드컵)
피버노바 (2002년 한일 월드컵)
팀가이스트 (2006년 독일 월드컵)
자블라니 (2010년 남아공 월드컵)
브라주카 (2014년 브라질 월드컵)
텔스타 18 (2018년 러시아 월드컵)
각주
외부 링크
FIFA 월드컵 공식 경기구

문서
토론
읽기
편집
역사 보기

도구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취리히 FIFA 본부에 있는 역대 FIFA 월드컵 공식 경기구
FIFA 월드컵 공식 경기구(- 公式 競技球, 영어: FIFA World Cup Official Match Ball) 또는 FIFA 월드컵 공식 시합구(- 公式 試合球) 또는 FIFA 월드컵 공식 사용구(- 公式 使用球) 또는 FIFA 월드컵 공식 지정구(- 公式 指定球)는 FIFA 월드컵 축구 대회에 독점 사용을 FIFA에서 공인한 축구공이다. 국내에서는 FIFA 월드컵 공인구(- 公認球)라는 명칭으로 많이 불린다.

1970년 월드컵 대회부터 공식 경기구가 사용되고 있으며 독일의 아디다스가 독점 공급사이다.

2010년 남아공 월드컵에서는 오직 월드컵 결승전만을 위해 특수 제작한 결승전 공식 경기구 '조블라니'가 사용되었다.[1][2] 월드컵 결승전에만 사용하기 위해 만든 최초의 공식 경기구는 2006년 독일 월드컵 결승에서 사용된 '팀가이스트 베를린'이었다.[3]

월드컵 공식 경기구가 없었던 1930년 FIFA 월드컵 결승전에서 아르헨티나와 우루과이가 서로 자기나라의 공을 쓰자고 우겨서 전반전에는 아르헨티나의 공을, 후반전에는 우루과이의 공을 사용하기로 한 해프닝이 있었다. 이에따라 1970년부터 FIFA에서는 월드컵에 공식 경기구를 도입하기로 했고, 텔스타를 공식 경기구로 채택했다.

공식 경기구 미지정 시대 (1930–1966)
Tiento: 전반 / T-model: 후반 (1930년 우루과이 월드컵)
1930 World Cup Final ball Argentina.jpg (Tiento: 전반)
1930 World Cup Final Ball Uruguay.jpg (T-model: 후반) 대회: 우루과이 1930년 FIFA 월드컵
명칭:
제작사: 미상
Federale 102 (1934년 이탈리아 월드컵)
Federale 102.jpg 대회: 이탈리아 이탈리아 1934년 FIFA 월드컵
명칭:
제작사: Federale 102
Allen (1938년 프랑스 월드컵)
Allen-1938.jpg 대회: 프랑스 1938년 FIFA 월드컵
명칭:
제작사: Allen
Duplo T (1950년 브라질 월드컵)
Duplo T-1950.jpg 대회: 브라질 1950년 FIFA 월드컵
명칭:
제작사: Superball
Swiss World Champion (1954년 스위스 월드컵)
Swiss World Champion-1954.jpg 대회: 스위스 1954년 FIFA 월드컵
명칭:
제작사: Kost Sport, Basel
Top Star (1958년 스웨덴 월드컵)
Top Star-1958.jpg 대회: 스웨덴 1958년 FIFA 월드컵
명칭:
제작사: Sydsvenska Läder och Remfabriken
Crack Top Star (1962년 칠레 월드컵)
Crack-1962.jpg 대회: 칠레 1962년 FIFA 월드컵
명칭:
제작사: Senor Custodio Zamora H
챌린지 4-스타 (1966년 잉글랜드 월드컵)
Challenge 4-star-1966.jpg 대회: 잉글랜드 1966년 FIFA 월드컵
명칭:
제작사: 슬래진저
아디다스 공식 경기구 시대 (1970–현재)
텔스타 (1970년 멕시코 월드컵)
아디다스는 이미 1963년부터 축구공을 한 층 가볍고 탄성 있게 개량하기 위해 부단한 연구와 노력을 거듭해 왔다. 그 결과 아디다스가 제작한 텔스타는 FIFA에 의해 1970년 월드컵 공식 경기구로 지정됐고, 더 나아가 아디다스는 FIFA로부터 공식 경기구 제작 독점권까지 부여받았다. 텔스타의 가장 두드러진 특징은 가벼운 무게와 탄성 이외에도 당시로서는 혁명적이었던 디자인에 있었다. 1960년대까지만 하더라도 일반적인 축구공은 배구공과 같은 줄무늬 디자인을 채택하고 있었지만, 텔스타의 경우 12개의 검정 오각형과 20개의 흰 육각형으로 구성된 ‘깎은 정이십면체’를 기본 모양으로 삼았다. 이 디자인은 텔스타 등장 이후 축구공의 가장 일반적인 형태로 자리매김하게 된다.

Adidas Telstar Mexico 1970 Official ball.jpg 대회: 멕시코 1970년 FIFA 월드컵
명칭: 텔스타 (Telstar)
의미: TV 속의 별'이란 뜻을 지닌 줄임말이다.
특이사항: 이러한 이름은 1970년 대회의 월드컵 최초 텔레비전 위성 생중계를 기념하기 위해 만들어졌다

텔스타 두라스트 (1974년 서독 월드컵)
Fifaworldcup1974.JPG 대회: 서독 1974년 FIFA 월드컵
명칭: 텔스타 두라스트 (Telstar Durlast)
의미: TV 속의 별'이란 뜻을 지닌 줄임말이다.
특이사항: 텔스타 칠레가 새로운 공식 경기구로 인정 받아 공식 경기구 2개로 경기를 치르게 된다.

탱고 (1978년 아르헨티나 월드컵)
Adidas Tango Argentina (River Plate) 1978 cup Official ball.jpg| 대회: 아르헨티나 1978년 FIFA 월드컵
명칭: 탱고 (Tango)
의미: 활력, 우아, 열정을 상징한다.
특이사항: 축구공 디자인의 혁명을 이끌어 냈으며, 이러한 탱고 디자인은 1998년까지 계속된다.

탱고 에스파냐 (1982년 에스파냐 월드컵)
|Adidas Tango España.jpg 대회: 스페인 1982년 FIFA 월드컵
명칭: 탱고 에스파냐 (Tango España)
의미: 활력, 우아, 열정을 상징한다.
특이사항: 최초의 방수가죽을 사용하고 가죽과 폴리우레탄이 결합된 최초의 공이다.


아즈테카 (1986년 멕시코 월드컵)
Adidas Azteca Mexico 1986 Official ball.jpg 대회: 멕시코 1986년 FIFA 월드컵
명칭: 아즈테카 (Azteca)
의미: 아즈텍 문명의 벽화 문양을 형상화한 에스타디오 아스테카과 같은 명칭이다.
특이사항: 최초로 합성수지로만 이뤄졌고 100% 인조가죽으로 구성되었다.

에트루스코 유니코 (1990년 이탈리아 월드컵)
Etrusco Unico 1990 Fifa World Cup Italy Official Match Ball.jpg 대회: 이탈리아 1990년 FIFA 월드컵
명칭: 에트루스코 유니코 (Etrusco Unico)
의미:
특이사항: 리우레탄 폼(Foam)이라는 내부층을 가지고 완전 방수효과와 빠른 속도를 지향하였다.

퀘스트라 (1994년 미국 월드컵)
Adidas Questra USA 1994 Official ball.jpg 대회: 미국 1994년 FIFA 월드컵
명칭: 퀘스트라 (Questra)
의미: 스타를 찾아서', '별들의 향연'이란 명칭로 미국의 개척사를 표현한 것이다.
특이사항: 공기층이 들어가 있는 합성수지 표피로 반발력과 탄력을 이전의 공식 경기구보다 증가시켰다.

트리콜로 (1998년 프랑스 월드컵)

아디다스 트리콜로
대회: 프랑스 1998년 FIFA 월드컵
명칭: 트리콜로 (Tricolore)
의미: 3가지 색깔을 뜻하는데, 청색·백색·적색의 프랑스 국기를 상징한다
특이사항:

피버노바 (2002년 한일 월드컵)

피버노바
대회: 대한민국일본 2002년 FIFA 월드컵
명칭: 피버노바 (Fevernova)
의미: 축구열기(Fever)와 비교적 짧은 시간 환하게 빛나는 별(nova)의 합성어이다.
특이사항: 기존의 고전적 디자인을 벗어난 첫 축구공. 기존의 깎은 정이십면체의 구조를 바꾸지는 않았으나 피버노바 이후 매 대회마다 디자인을 신경쓰게 되었다.

팀가이스트 (2006년 독일 월드컵)

팀가이스트


팀가이스트 베를린
대회: 독일 2006년 FIFA 월드컵
명칭: 팀가이스트 (Teamgeist)
의미: '팀정신'이라는 뜻이다.
스페셜 경기구: 결승전에서는 스페셜 경기구 팀가이스트 베를린 (Teamgeist Berlin)"을 사용하였다.
특이사항:

자블라니 (2010년 남아공 월드컵)

자블라니


조블라니
대회: 남아프리카 공화국 2010년 FIFA 월드컵
명칭:자블라니 (Jabulani)
의미: 남아공 공용어 가운데 하나인 줄루어로 '축하하다'는 뜻이다.
스페셜 경기구: 결승전에서는 색상을 황금색으로 한 스페셜 경기구 "조블라니 (Jo'bulani)"를 사용하였다.
황금색으로 된 것은 결승전 장소인 요하네스버그의 애칭 "City of Gold"을 따온 것과
이 색깔이 FIFA 월드컵 트로피의 색깔과 같다는 이유로 황금색으로 하였고,
"자블라니"에 요하네스버그의 머리 글자 "Jo"를 더해 《조블라니》라고 이름지었다.
특이사항:

브라주카 (2014년 브라질 월드컵)

브라주카


브라주카 파이널 리우
대회: 브라질 2014년 FIFA 월드컵
명칭: 브라주카 (Brazuca)
의미: '브라질 사람'이라는 뜻을 지닌 말이다.
스페셜 경기구: 결승전에서는 스페셜 경기구 "브라주카 파이널 리우 (Brazuca Final Rio)"를 사용하였다.
특이사항:

텔스타 18 (2018년 러시아 월드컵)
Adidas Telstar 18 in Russia vs. Argentina.jpg 대회: 러시아 2018년 FIFA 월드컵
명칭: 텔스타 18 (Telstar 18)
의미: 처음 공인구가 도입된 1970년 멕시코 월드컵에서 전설 펠레(77ㆍ브라질)가 찼던 공을 48년 만에 리오넬 메시(30ㆍ아르헨티나)가
이어받는 그림은 축구공 하나로 FIFA 측이 제시할 수 있는 유산의 최고 가치다.
FIFA는 "클래식 모델을 새로운 패널 디자인과 최신 기술을 적용해 재창조했다"며
"텔스타 18은 1970년 월드컵의 잊지 못할 추억과 (당시 활약했던) 펠레, 게르트 뮐러(72ㆍ독일) 등
전설적인 선수들과의 추억을 소환할 것"이라고 의미를 부여했다.
스페셜 경기구: 16강전부터는 스페셜 경기구 "텔스타 메치타 (Telstar Mechta)"를 사용하였다.
특이사항:


각주
 남아공월드컵 결승전 공인구 '조블라니' 공개
 남아공월드컵 결승전엔 '금테 축구공' 찬다
 아디다스, 독일월드컵 결승 전용 공인구 '팀가이스트 베를린' 공개
외부 링크
“FIFA 월드컵 공식 경기구”. 《네이버캐스트》.
FIFA 월드컵 공식 경기구 역사 Archived 2016년 1월 24일 - 웨이백 머신 - Oh My News!
월드컵의 숨은 주인공, 그라운드 빛낸 공인구 역사
vte
FIFA 월드컵 공식 경기구
vte
FIFA 월드컵
vte
국제 축구
분류: FIFA 월드컵 공식 경기구
이 문서는 2022년 10월 15일 (토) 09:18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4.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
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처리방침위키백과 소개면책 조항행동 강령모바일 보기개발자통계쿠키 정책Wikimedia FoundationPowered by MediaWiki내용 폭 제한 전환          https://ko.wikipedia.org/wiki/FIFA_%EC%9B%94%EB%93%9C%EC%BB%B5_%EA%B3%B5%EC%8B%9D_%EA%B2%BD%EA%B8%B0%EA%B5%AC

반응형